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악과 천재 : 음악적 천재미학의 역사와 담론

음악과 천재 : 음악적 천재미학의 역사와 담론 (2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희숙
서명 / 저자사항
음악과 천재 : 음악적 천재미학의 역사와 담론 / 오희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형태사항
395 p. : 삽화 ; 24 cm
ISBN
9788952113740
일반주기
부록: 음악적 천재에 대하여 - 슈바르트  
서지주기
참고문헌(p. 370-382)과 색인수록
000 00826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727521
005 20121108185943
007 ta
008 121108s2012 ulka b AK 001c kor
020 ▼a 9788952113740 ▼g 93600
035 ▼a (KERIS)BIB000012957525
040 ▼a 211019 ▼d 211009
082 0 4 ▼a 781.17 ▼2 23
085 ▼a 781.17 ▼2 DDCK
090 ▼a 781.17 ▼b 2012
100 1 ▼a 오희숙 ▼0 AUTH(211009)115475
245 1 0 ▼a 음악과 천재 : ▼b 음악적 천재미학의 역사와 담론 / ▼d 오희숙 지음
246 1 1 ▼a Music and genius : ▼b history and discourse on musical genius aesthetics
260 ▼a 서울 : ▼b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12
300 ▼a 395 p. : ▼b 삽화 ; ▼c 24 cm
500 ▼a 부록: 음악적 천재에 대하여 - 슈바르트
504 ▼a 참고문헌(p. 370-382)과 색인수록
900 1 0 ▼a Oh, Hee Sook,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117083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212221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310452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51318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117083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2122211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310452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1.17 2012 등록번호 1513180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음악적 천재미학의 역사와 담론. 다른 어떤 예술 분야보다도 천재의 예술로 간주되어 온 음악에서 천재의 개념과 역할을 추적한 역사서이자 그 이면에 담긴 미학적 의미를 검토한 이론서이다.

어떤 음악가를 천재라 하는가? 음악적 천재는 타고난 것인가 아니면 학습되는 것인가? 천재는 어떤 음악적 능력의 소유자를 지칭하는가? 음악적 천재와 다른 예술 분야에서의 천재는 어떻게 다른가? 음악적 천재는 언제 처음 나타났는가? 음악적 천재는 음악사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으로 하여, 이 책에서는 음악이라는 예술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천재, 그리고 천재를 둘러싼 사상을 폭넓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천재의 죽음이 선고되는 시대에
천재의 의미를 다시 묻다!"


‘천재’는 사실 수수께끼와 같은 존재이다. 수많은 음악가?문필가?철학자?과학자 등이 천재로 숭상되었으며, 존경과 찬탄의 대상으로 신격화되면서 거대한 ‘신화’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천재’는 허구적 이데올로기로 비판되면서 현대에는 이를 둘러싼 ‘신화 깨기’가 시도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음악이라는 예술에 나타난 ‘천재’ 그리고 ‘천재를 둘러싼 미학적 사상’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음악적 천재’는 매우 흥미로운 연구 주제이다. 평범함을 넘어서는 뛰어난 음악적 재능의 소유자, 인류에게 큰 감동과 의미를 던져준 음악가들은 일차적으로 학문적 호기심을 자극할 뿐 아니라, 이와 연관된 많은 의문점을 쏟아 내기 때문이다. 어떤 음악가를 천재라 하는가? 음악적 천재는 타고난 것인가 아니면 학습되는 것인가? 천재는 어떤 음악적 능력의 소유자를 지칭하는가? 음악적 천재와 다른 예술 분야에서의 천재는 어떻게 다른가? 음악적 천재는 언제 처음 나타났는가? 음악적 천재는 음악사의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으로 하여, 이 책에서는 음악이라는 예술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천재, 그리고 천재를 둘러싼 사상을 폭넓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다른 어떤 예술 분야보다도 천재의 예술로 간주되어 온 음악에서 천재의 개념과 역할을 추적한 역사서이자 그 이면에 담긴 미학적 의미를 검토한 이론서이다.
하나의 유형으로 고정되지 않고 역사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는 천재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보면서 우리는 음악이라는 예술의 실체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희숙(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이론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대 피아노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음악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음악미학연구회’ 대표로 활동하면서. 음악미학과 현대음악을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2021), 『상호문화성으로 보는 한국의 현대음악』(2020), 『작곡으로 보는 한국현대음악사』(2019), 『음악과 천재: 음악적 천재 미학의 역사와 담론』(2012), 『음악 속의 철학』, 『철학 속의 음악』(2009), 『쇤베르크의 달에 홀린 피에로』(2008), 『20세기 음악 1, 2』(2004)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일러두기 = ⅹ
프롤로그 
 천재란 무엇인가?: 논의의 출발 = 1
 예술과 음악 그리고 천재 = 4
 천재개념과 미학적 담론 = 8
 책의 구성과 목적 = 10
제1부 역사적 접근 : 음악적 천재 유형과 미학적 사상의 역사적 흐름 
 제1장 천재 예술가에 대한 초기 미적 담론 = 15
  1. 고대: 영감론-시학-숭고론 = 16
  2. 르네상스 = 27  
 제2장 모방미학과 천재: 음악적 천재상의 초기 형태 = 35 
  1. 미학적 전제: 뒤보-바퇴-레싱의 '모방적 천재론' = 37
  2. 음악적 천재의 초기 유형 1: J. S. 바흐 = 44
  3. 음악적 천재의 초기 유형 2: 헨델과 하이든 = 54
 제3장 독창적 천재: 음악적 천재의 본격적 등장 = 65
  1. 미학적 전제: 질풍노도 시대의 문학적 천재상 = 67
  2. 미학적 전제 2: 칸트의 천재미학 = 73
  3. 독창적 천재의 초기 유형: C. P. E. 바흐 = 83
  4. 고전시대 독창적 음악 천재 = 90
  5. 영감의 천재: 모차르트 = 96
  6. 영웅적 천재: 베토벤 = 113  
 제4장 낭만적 천재: 음악 천재의 전성시대 = 125 
  1. 미학적 전제: 낭만주의 감정미학 = 129
  2. 낭만주의 문학에 나타난 음악적 천재상 = 135
  3. 낭만적 천재의 전형: '무의식적 영감'의 천재 = 143
  4. 낭만적 천재의 두 얼굴: 불행한 천재와 문화적 영웅의 두 얼굴 = 152
  5. 미학적 마무리: 쇼펜하우어의 천재미학 = 162
 제5장 현대적 천재: 20세기 음악적 천재상 = 169
  1. 낭만적 천재 신화 비판 = 171
  2. "천재는 죽었다": 새로운 사회적 환경 속의 천재 = 179
  3. 은폐된 천재: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음악 속의 천재상 = 185
  4. 거부된 천재: 포스트모더니즘에서의 음악적 천재 = 194  
  5. 마성(魔性)의 천재 vs. 수도자적 천재: 토마스 만과 헤르만 헤세 소설 속의 음악적 천재 = 198
  6. 현대 영화 속에 나타난 음악적 천재 = 214 
제2부 음악적 천재를 둘러싼 미적 담론 
 제6장 음악적 천재는 어떤 능력을 가졌는가?: 음악적 천재의 척도 = 225 
  1. 독창성: 혁신적 새로움과 주관적 표현성 (vs. 모방성과 작곡론) = 229
  2. 영감과 무의식 (vs. 수공예론) = 239
  3. 악마성과 광기 = 244
  4. 조숙성: 음악 신동 = 254
  5. 근면성과 집중성 = 262
 제7장 음악적 천재는 타고난 것인가, 만들어진 것인가? = 267
  1. 선천적 재능과 후천적 학습 = 267
  2. 타고난 재능과 사회적 환경: 모차르트의 경우 = 276
  3. '만들어진 천재'에 대한 논쟁: 베토벤의 경우 = 289
 제8장 Pro&Contra: '음악적 천재'에 대한 찬반론 = 305  
  1. Pro: 음악적 천재의 미학적ㆍ사회학적 의미 = 307
   (1) 예술가의 '주체적 정체성' 형성 = 307
   (2) 음악적 자율미학의 성립 = 318
   (3) 음악가의 사회적 위치 상승 = 325
  2. Contra: 음악적 천재미학의 이데올로기 벗기기 = 332
   (1) 음악가의 주체적 정체성 문제 = 332
   (2) 천재적 영감의 이데올로기 비판: 니체 = 341
   (3) 천재를 통한 삶과 세계의 축소 비판: 가다머 = 345
   (4) 역사와 사회의 축소: 아도르노의 반(反)천재론 = 349
에필로그 : 이 시대의 진정한 천재를 위하여 = 355  
부록|음악적 천재에 대하여: 슈바르트(Christian Friedrich Daniel Schubart) = 365
참고문헌 = 370
그림 출처 = 383
찾아보기 = 38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