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98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726601 | |
005 | 20121107155524 | |
007 | ta | |
008 | 121023s2012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66805662 ▼g 02760 | |
035 | ▼a (KERIS)BIB000012948931 | |
040 | ▼a 211006 ▼c 211006 ▼d 244002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401 ▼2 23 |
085 | ▼a 401 ▼2 DDCK | |
090 | ▼a 401 ▼b 2012z2 ▼c 2 | |
100 | 1 | ▼a Benveniste, Emile, ▼d 1902-1976 |
245 | 1 0 | ▼a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n 2 / ▼d 에밀 벵베니스트 지음 ; ▼e 김현권 옮김 |
246 | 1 9 | ▼a Problemes de linguistique generale |
260 | ▼a 서울 : ▼b 지식을만드는지식, ▼c 2012 | |
300 | ▼a 205 p. ; ▼c 19 cm | |
440 | 0 0 | ▼a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Linguistics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
700 | 1 | ▼a 김현권, ▼e 역 |
900 | 1 0 | ▼a 벵베니스트, 에밀,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01 2012z2 2 | Accession No. 1513129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에밀 뱅베니스트(지은이)
인도유럽어 비교언어학자이자 일반언어이론가로서, 1902년 오스만 제국 알레포의 스파라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1927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했다. 실뱅 레비의 추천으로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제자인 앙투안 메이예의 제자가 되었고, 고대 페르시아어, 소그드어, 아베스타어, 아르메니아어 등을 연구했다. 비교언어학자로서 다양한 언어와 접하며 점차 일반언어이론에까지 관심을 가졌다. 『고대 페르시아어 문법』(Grammaire de vieux perse, 1931, 앙투안 메이예와의 공저), 『소그드어 문법』(Grammaire sogdienne, 1929), 『소그드어 텍스트』(Textes sogdiens, 1940), 『아베스타어 부정법』(Infinitifs avestiques, 1935), 『오세트어 연구』(Etudes sur la langue ossete, 1959), 『고대 이란어의 칭호와 고유명사』(Titres et noms propres en iranien ancien, 1966),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Le vocabulaire des institutions indo-europeens, 1969),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Problemes de linguistique generale, 1966/1974) 등의 저서를 남겼다. 1969년 뇌졸중에 걸려 교수직을 사임했으나, 같은 해에 국제기호학회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어 1972년까지 역임했다. 1976년 파리에서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지금까지도 인도유럽어 비교문법의 역사에서 소쉬르-메이예의 연구 노선을 계승하는 가장 탁월한 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김현권(옮긴이)
1975년에 서울대 문리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파리7대학(DEA)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초빙교수로서 파리13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에서 연구했다. 한국언어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 벵베니스트의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와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 『마지막 강의』, 바르트부르크의 『프랑스어 발달사』, 로지의 『프랑스어 사회언어학사』, 렌프류의 『언어고고학』 등이 있고, 「소쉬르와 역사언어학의 전통」, 「동사의 다의와 전자사전에서의 표상」, 「소쉬르의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체계 논고』와 『일반언어학 강의』의 방법론적 비교」,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와 《제3차 강의노트》의 비교」 등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했다. 또한 방송대학 대학원(아프리카 불어권 언어문화학과)에 있으면서 『아프리카 지정학』,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한 권으로 읽는 아프리카』를 번역 출간했다.

Table of Contents
해설 지은이에 대해 제1장 구조주의와 언어학 제2장 인간언어가 만들어내는 역사 제3장 언어의 기호학 제4장 인간언어와 인간 경험 제5장 발화행위의 형식적 장치 제6장 언어의 구조와 사회의 구조 제15장 인간언어의 형태와 의미 옮긴이에 대해 제17장 이자와 화폐의 본질적 성질들 제18장 고용 일반이론 재론 제5책 화폐임금과 물가 제19장 화폐임금의 변화 제20장 고용함수 제21장 물가 이론 제6책 일반이론이 제시하는 단편적 사상들 제22장 경기순환에 관한 단상 제23장 중상주의, 고리대 금지법, 인지 화폐 및 과소소비설에 관한 단상 제24장 일반이론을 통해 도달할 사회철학에 관한 결론적 단상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