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 협화회

(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 협화회 (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樋口雄一, 1940- 정혜경, 역 동선희, 역 김인덕, 역
서명 / 저자사항
(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 협화회 / 히구치 유이치 저 ; 정혜경, 동선희, 김인덕 역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2  
형태사항
281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재일코리안총서 ;004
기타표제
한자표제: 協和會
ISBN
9788959335718
일반주기
이 책은 1986년에 출판한 『협화회-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에 관한 연구(協和會 : 戰時下朝鮮人統制組織の硏究)』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2009·2011년에 『해협(海峽)』에 발표한 논문들을 추가한 것임  
일반주제명
Immigrants --Government policy --Japan --Societies, etc. Assimilation (Sociology) --Government policy --Japan --Societies, etc. Koreans --Government policy --Japan --Sources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26060
005 20160628153834
007 ta
008 121031s2012 ulka 000c kor
020 ▼a 9788959335718 ▼g 93900
035 ▼a (KERIS)BIB000012948932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25.52 ▼2 23
085 ▼a 325.52 ▼2 DDCK
090 ▼a 325.52 ▼b 2012
100 1 ▼a 樋口雄一, ▼d 1940- ▼0 AUTH(211009)40416
245 2 0 ▼a (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 협화회 / ▼d 히구치 유이치 저 ; ▼e 정혜경, ▼e 동선희, ▼e 김인덕 역
246 0 ▼i 한자표제: ▼a 協和會
260 ▼a 서울 : ▼b 선인, ▼c 2012
300 ▼a 281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재일코리안총서 ; ▼v 004
500 ▼a 이 책은 1986년에 출판한 『협화회-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에 관한 연구(協和會 : 戰時下朝鮮人統制組織の硏究)』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2009·2011년에 『해협(海峽)』에 발표한 논문들을 추가한 것임
650 0 ▼a Immigrants ▼x Government policy ▼z Japan ▼x Societies, etc.
650 0 ▼a Assimilation (Sociology) ▼x Government policy ▼z Japan ▼x Societies, etc.
650 0 ▼a Koreans ▼x Government policy ▼z Japan ▼v Sources
700 1 ▼a 정혜경, ▼e▼0 AUTH(211009)45661
700 1 ▼a 동선희, ▼e▼0 AUTH(211009)95698
700 1 ▼a 김인덕, ▼e▼0 AUTH(211009)19063
740 2 ▼a 協和會 : 戰時下朝鮮人統制組織の硏究
900 1 0 ▼a 히구치 유이치, ▼e
900 1 0 ▼a Higuchi, Yuichi, ▼e
940 ▼a Kyowakai : senjika chosenjin tosei soshiki no kenkyu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5.52 2012 등록번호 1116788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재일코리안총서' 4권. 중앙협화회의 설립은 1939년이지만, 실질적인 재일조선인 대책은 이미 관동대지진 때 자행된 재일조선인 학살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이후 중일전쟁의 확대에 따른 파시즘 체제 강화와 함께 조선인 통제를 조직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이 경과를 제1장부터 제4장까지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협화회가 가진 목적과 논리를 규명하고자 했다.

제6장에서는 협화회의 골격이 된 경찰조직과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했고, 제7장에서는 황민화정책의 구체적 실시 상황을 다루었다. 제8장은 조선인들의 황민화에 대한 저항, 제9장은 이러한 저항을 배경으로 한 협화회의 재편=흥생회의 결성, 제10장은 전후 협화회체제의 붕괴를 정리했다.

중앙협화회의 설립은 1939년이지만, 실질적인 재일조선인 대책은 이미 관동대지진 때 자행된 재일조선인 학살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이후 중일전쟁의 확대에 따른 파시즘 체제 강화와 함께 조선인 통제를 조직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이 경과를 제1장부터 제4장까지 살펴보고, 제5장에서는 협화회가 가진 목적과 논리를 규명하고자 했다. 제6장에서는 협화회의 골격이 된 경찰조직과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했고, 제7장에서는 황민화정책의 구체적 실시 상황을 다루었다. 제8장은 조선인들의 황민화에 대한 저항, 제9장은 이러한 저항을 배경으로 한 협화회의 재편=흥생회의 결성, 제10장은 전후 협화회체제의 붕괴를 정리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히구치 유이치(지은이)

1940년 중국 심양 출생. 메이지학원대학 졸업. 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회 회원. 고려박물관 관장

김인덕(옮긴이)

청암대학교 교수/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20년대 재일조선인 민족해방운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청암대학교 교수, 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현대사와 박물관』(2018, 국학자료원),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일상』(2020, 선인), 『갈등과 화합의 재일코리안 단체의 역사』(2021, 선인) 등이 있다.

정혜경(옮긴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식민지 시기 재일 한인의 노동운동사를 주제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고, 구술사(Oral History)와 기록학(Achival Science) 분야도 공부했다. 전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에서 11년간 조사과장으로 일하며 수 천 명의 피해자들의 경험과 마주했다. 현재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주요 저서로는 『조선민중이체험한 ‘징용’』 (동북아역사재단, 2021), 『반대를 론하다 - ‘반일종족주의’의 역사부정을 넘어』 (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9),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섬앤섬, 2019), 『일본지역 탄광·광산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 - 미쓰비시(三菱) 광업(주)사도(佐渡)광산을 중심으로-』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2019), 『우리지역의 아시아태평양전쟁 유적 활용 - 방안과 사례』 (도서 출판 선인, 2018) 등이 있다.

동선희(옮긴이)

한국근대사, 한일관계사 연구자이자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식민권력과 조선인 지역유력자』(선인),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공저, 선인) 등이 있다. 역서로는 『일제하 재일조선인 통제조직 협화회』(공역, 선인),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어문학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4
머리말 = 8
제1장 협화회 전사(前史) = 15
 1. 내선협화회의 설립 동기와 사업 = 15
 2. 초기 내선협화회의 성격 = 21
 3. 초기 내선협화회의 좌절 = 26
 4. 새로운 재일조선인정책의 전개 = 31
 5. 오사카부 내선융화사업조사회의 활동 = 35
제2장 오사카지역의 교풍회 활동 = 45
 1. 경찰의 조선인대책 = 45
 2. 교풍회 활동 = 50
 3. 교풍회 조직과 사업의 확대 = 55
제3장 협화회 이행기의 조선인친목ㆍ융화ㆍ동향단체 = 61
 1. 전전기(戰前期)의 조선인단체 개관 = 61
 2. 경찰의 조선인단체 통합과정 - 미에현(三重縣)을 중심으로 = 65
 3. 협화회 이행기의 단체활동 = 70
제4장 지방협화회의 설립과정 = 75
 1. 협화사업단체의 설치 = 75
 2. 지방협화회 설립과 예산 조치 = 78
 3. 1936∼1937년 시기의 협화사업 = 80
 4. 교토부협화회의 설립과 전개 = 82
 5. 협화회 지부결성 과정 - 효고현을 중심으로 = 86
제5장 중앙협화회의 설립 = 89
 1. 중앙협화회의 설립 동기 = 89
 2. 협화회의 논리 = 93
 3. 중앙협화회 설립의 경과 = 96 
 4. 중앙협화회의 임원 구성 = 98
 5. 협화회 조직 = 101 
 6. 중앙협화회의 기능 = 104
 7. 협화회의 '획기적 확충' = 108
제6장 협화회 지부ㆍ분화ㆍ지도원 = 113
 1. 재일조선인과 경찰 = 113
 2. 협화회와 경찰조직 = 115
 3. 협화회 조직에 참여한 재일조선인 = 121
제7장 황민화정책의 전개 = 135
 1. 신사참배와 가미다나(神柵) = 136
 2. 각종 근로봉사와 군사헌금ㆍ헌품의 강요 = 137
 3. 각종 황민화 강습회와 교련ㆍ단체훈련 동원 = 140
 4. 강제연행노동자에 대한 협화 훈련 = 145
 5. 기타 황민화정책의 실시 =147
제8장 협화회체제 속에서 재일조선인의 저항 = 155
 1. 재일조선인촌의 적극적 역할 = 155
 2. 협화회 시책과 재일조선인의 저항ㆍ비동조 = 164
 3. 강제연행노동자의 저항 = 181
제9장 협화회체제의 붕괴 = 191
 1. 흥생회로의 전환 =191
 2. 중앙흥생회의 탄생 = 196
 3. 조선인 통제기능의 해체 = 202
 4. 협화회와 전후 재일조선인사회 = 205
제10장 협화회에서 흥생회체제로의 전환과 전후 이행 = 209
 1. 중앙흥생회사업계획과 지방흥생회의 결성 = 209
 2. 흥생회의 조직 붕괴와 전후 조선인 억압체제의 유지 = 217
 3. 조선인에 대한 새로운 대응 = 220
보론 = 231
 1. 일본인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대응 - 고다 다마(幸田 夕マ)와 야하타시(入幡市) 마루야마(丸山)학원 = 231 
 2. 일본인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대응 - 야나기하라 기치베(柳原吉兵衛)와 협화회 = 240 
 3. '반도동포'ㆍ'반도인'이라는 말 = 253 
 4. 일본정부의 조선인 도항관리 = 260
역자후기 = 275 

관련분야 신착자료

Hollifield, James Frank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