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2488camcc2200637 c 4500 | |
001 | 000045726029 | |
005 | 20121101200758 | |
007 | ta | |
008 | 121031s2012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46054882 ▼g 93330 | |
035 | ▼a (KERIS)REW000000163010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h ger |
082 | 0 4 | ▼a 321.8 ▼2 23 |
085 | ▼a 321.8 ▼2 DDCK | |
090 | ▼a 321.8 ▼b 2012z9 ▼c 1 | |
245 | 0 0 | ▼a 사회민주주의의 기초 / ▼d 토비아스 곰베르트 외 지음 ; ▼e 한상익 옮김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 ▼a Foundations of social democracy |
246 | 1 9 | ▼a Grundlagen der sozialen Demokratie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 |
300 | ▼a 175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사회민주주의 총서 ; ▼v 1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1488 |
500 | ▼a 원서총서표제: Lesebuch der sozialen Demokratie = Social democracy reader ; 1 | |
500 | ▼a 기획: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민주정책연구원 | |
500 | ▼a 공저자: 율리아 블래지우스(Julia Blasius), 프레데리케 볼(Frederike Boll), 요헨 담(Jochen Dahm), 크리스토프 에글레(Christoph Egle), 에릭 구르크스디즈(Erik Gugsdies), 마크 헤르터(Marc Herter), 크리스티안 크렐(Christian Krell), 이은정, 마티아스 나이스(Matthias Neis), 크리스티나 렌츠(Christina Rentzsch), 마틴 팀페(Martin Timpe) | |
504 | ▼a 참고문헌: p. 163-166 | |
546 | ▼a 독일어로 된 원저작이 영어로 번역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 |
700 | 1 | ▼a Gombert, Tobias, ▼d 1975-, ▼e 저 ▼0 AUTH(211009)85996 |
700 | 1 | ▼a Blasius, Julia, ▼d 1981-, ▼e 저 |
700 | 1 | ▼a Boll, Frederike, ▼d 1983-, ▼e 저 |
700 | 1 | ▼a Dahm, Jochen, ▼d 1981-, ▼e 저 |
700 | 1 | ▼a Egle, Christoph, ▼d 1974-, ▼e 저 |
700 | 1 | ▼a Gurgsdies, Erik, ▼d 1944-, ▼e 저 |
700 | 1 | ▼a Herter, Marc, ▼d 1974-, ▼e 저 |
700 | 1 | ▼a Krell, Christian, ▼d 1977-, ▼e 저 |
700 | 1 | ▼a 이은정, ▼d 1963-, ▼e 저 |
700 | 1 | ▼a Neis, Matthias, ▼d 1976-, ▼e 저 |
700 | 1 | ▼a Rentzsch, Christina, ▼d 1982-, ▼e 저 |
700 | 1 | ▼a Timpe, Martin, ▼d 1978-, ▼e 저 |
700 | 1 | ▼a 한상익, ▼e 역 ▼0 AUTH(211009)135281 |
740 | 2 | ▼a Lesebuch der sozialen Demokratie. ▼n 1 |
740 | 2 | ▼a Social democracy reader. ▼n 1 |
900 | 1 0 | ▼a 곰베르트, 토비아스, ▼e 저 |
900 | 1 0 | ▼a 블래지우스 , 율리아, ▼e 저 |
900 | 1 0 | ▼a 볼, 프레데리케, ▼e 저 |
900 | 1 0 | ▼a 담, 요헨, ▼e 저 |
900 | 1 0 | ▼a 에글레, 크리스토프, ▼e 저 |
900 | 1 0 | ▼a 구르크스디즈, 에릭, ▼e 저 |
900 | 1 0 | ▼a 헤르터, 마크, ▼e 저 |
900 | 1 0 | ▼a 크렐, 크리스티안, ▼e 저 |
900 | 1 0 | ▼a 나이스, 마티아스, ▼e 저 |
900 | 1 0 | ▼a 렌츠, 크리스티나, ▼e 저 |
900 | 1 0 | ▼a 팀페, 마틴,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116788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310455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513136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116788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310455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1.8 2012z9 1 | Accession No. 1513136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회민주주의 총서 첫 번째 책. 21세기에 사회민주주의가 지니는 뜻에 대해 살펴본다. 사회민주주의의 기반을 이루는 가치는 무엇인가? 사회민주주의의 목표는 무엇인가? 사회민주주의를 어떻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한 가지 답을 내놓기보다는 루소, 몽테스키외, 로크, 마르크스, 존 롤스, 낸시 프레이저 등 정치철학자들의 논의와 독일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실제 사례를 들어 토론을 이끌어낸다.
규범적 - 이론적 논의뿐 아니라 사회민주주의적 정책이 실행되는 국가들에서 정치제도, 노동유연성, 의료, 사회보험, 교육, 연금 등 주요 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어떤 장단점이 있고 어떤 평가를 받는지 정리함으로써 고담준론이 아닌 현실적 사회정치 모델을 고민할 기회를 준다.
‘사회민주주의’, 혼돈과 위기의 시대에
새로운 세상을 위한 생각의 원천을 제공하다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논쟁은, 사회민주주의는 정체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 발전을 주시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기회를 얻고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한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바로 이것이 사회민주주의가 다른 정치 모델들과 구분되는 특징이다.”
21세기에 필요한 정치는 무엇인가?
세계 경제위기와 금융위기의 시대라는 말은 너무도 익숙해져 이제는 위기가 일상이 되어버린 듯하다. 세계화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눈앞에 닥친, 그리고 앞으로 수십 년간 직면할 가장 중요한 도전 중 하나이다. 세계화는 위험과 기회 모두를 품고 있다. 이것은 이상적인 사회정치 모델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박하게 필요하다는 말이고, 그 대안 중 하나가 사회민주주의이다. 사회민주주의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실행하고 있는 사회정치 모델이지만, 그동안 사회민주주의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기란 쉽지 않았다. 이 책 『사회민주주의의 기초』는 독일의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이 시민교육을 목적으로 발간한 사회민주주의 총서의 첫 번째 책이다.
자유, 정의, 연대를 찾는 이들을 위한 길잡이
『사회민주주의의 기초』는 21세기에 사회민주주의가 지니는 뜻에 대해 살펴본다. 사회민주주의의 기반을 이루는 가치는 무엇인가? 사회민주주의의 목표는 무엇인가? 사회민주주의를 어떻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한 가지 답을 내놓기보다는 루소, 몽테스키외, 로크, 마르크스, 존 롤스, 낸시 프레이저 등 정치철학자들의 논의와 독일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실제 사례를 들어 토론을 이끌어낸다. 규범적 ? 이론적 논의뿐 아니라 사회민주주의적 정책이 실행되는 국가들에서 정치제도, 노동유연성, 의료, 사회보험, 교육, 연금 등 주요 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어떤 장단점이 있고 어떤 평가를 받는지 정리함으로써 고담준론이 아닌 현실적 사회정치 모델을 고민할 기회를 준다.
사회적이고 다원적인 민주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현재 한국은 나날이 더해가는 경쟁과 사회경제적 양극화로 위기를 겪고 있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유사한 도전에 직면해, 어떤 국가는 성공했고 또 어떤 국가는 실패했다. 이런 역사를 직시하며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실패에서 교훈을 배우는 것이다. 수준과 형태는 모두 다르지만, 사회민주주의적 정책은 스웨덴, 독일, 프랑스 같은 유럽대륙의 국가들뿐 아니라 미국과 영국 등 앵글로아메리칸 국가들도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바 있으며, 독일의 사회민주당이나 영국의 노동당 같은 진보 정당뿐 아니라 기독교민주당, 보수당도 국민의 행복을 위해 그 일부분을 채택했다. 이 총서가 지금 한국이 처한 상황을 해결할 실마리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독일의 비영리 교육기관에서 기획·발간, 전 세계가 주목하는 시민교육서!
사회민주주의 총서는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이 독일에서 민주시민 교육을 위해 사용하는 책으로, 사회민주주의의 기본 원칙과 사회민주적 경제정책 및 사회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국제판이 제작돼 전 세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이 총서 가운데 첫 세 권이 한국에서 민주통합당의 민주정책연구원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의 공동기획하에 발간되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사회민주주의를 보는 다양한 접근방법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첫째권인 『사회민주주의의 기초』에서는 사회민주주의의 핵심가치인 자유, 정의, 연대에서 시작해, 이 가치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민주주의가 그 밖의 정치적 이념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볼 수 있다.
이 책은 사회민주주의와 관련한 토론의 출발점이 될 다양한 정치적?이론적 접근을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즉, 규범적 차원, 이론적 차원, 경험적 차원이라는 세 가지 측면을 통해 사회주의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규범적 차원은 사회민주주의의 기본원칙과 핵심가치를 찾는 것이며, 이론적 차원은 사회민주주의의 이론과 관련되어 있다. 경험적 차원은 여러 국가에서 실행되고 있는 사회민주주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규범적 차원에 대해 다룬다. 자유, 정의, 연대의 핵심가치들을 존 로크, 칸트, 마르크스, 존 롤스, 낸시 프레이저 등의 관점을 빌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다양한 사회 모델들, 즉 자유주의, 보수주의, 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가 이 핵심가치들을 어떻게 현실에 적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토마스 마이어의 사회민주주의이론을 기준으로 해 이론적 차원을 다룬다. 시장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자유주의/자유방임주의/사회민주주의의 근본적 차이, 소극적 자유권과 적극적 자유권의 차이 등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스웨덴 등 여러 국가의 사례를 통해 경험적인 차원에서 기본법, 정치체계, 경제, 복지와 교육 등의 상황을 분석해 자유방임주의 국가에서 높은 수준의 포괄적 사회민주주의 국가를 나누고 차이를 설명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토비아스 곰베르트(지은이)
사회민주주의의 기본적 이념과 가치를 지향하는, 독일의 비영리 민간교육기관이다. 에버트 재단의 사업은 개발 협력, 국제 대화, 정치교육, 경제적?사회정치적 발전, 그리고 장학 사업에 걸쳐 있다. 에버트 재단은 전 세계에 100여 개의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한국 사무소는 1960년대 말에 설립되었다. 그동안 활동 형태가 약간 변하기도 했지만, 에버트 재단이 추구하는 기본 목표, 즉 한국과 독일 간의 대화를 추진함으로써 적절한 정책을 찾아내고, 한국과 독일, 한국과 유럽, 아시아와 유럽 간에 바람직한 관계를 이루고자 하는 것은 변함없다. 에버트 재단은 사회적이고 다원적인 민주주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일환으로서 사회적으로 균형 잡힌 경제정책에 기여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한반도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유럽의 역사로부터 얻은 경험을 공유하는 데도 노력하고 있다.
한상익(옮긴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와 국무총리실 등을 거쳐 현재 민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있다. 선거연합의 특징과 효과에 관한 논문 등을 발표했고, 국민대와 숭실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어판 발간사 = 5 한국어판 서문 = 7 독일어 초판 서문 = 9 국제판 서문 = 11 1. 사회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15 2. 기본 가치 = 19 2.1. 자유 = 20 2.2. 평등/정의 = 28 2.3. 연대 = 47 2.4. 독일 비사민주의 정당들의 관점 = 49 2.5. 현실에서의 핵심가치 = 53 3. 사회 모델 비교 = 72 3.1. 시장자본주의와 민주주의 = 75 3.2. 자유주의 = 80 3.3. 보수주의 = 83 3.4. 사회민주주의와 민주사회주의 = 85 4. 토마스 마이어의 사회민주주의 이론 = 100 4.1. 출발점 = 103 4.2. 자유방임주의 대 사회민주주의 = 107 4.3. 추가논의: 핵심가치, 기본권, 수단의 삼각체계 = 110 4.4. 적극적ㆍ소극적 시민권과 자유 = 114 4.5. 국가의 의무 = 118 5. 국가별 모델 = 120 5.1. 미국 = 121 5.2. 영국 = 128 5.3. 독일 = 137 5.4. 일본 = 144 5.5. 스웨덴 = 151 6. 결론, 그리고 또 다른 시작 = 160 참고문헌 = 163 핵심어 = 166 추천도서 =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