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 5
시작하는 글 = 23
1. 연구목적 = 25
2. 연구범위와 방법 = 27
3. 참고자료와 책의 구성 = 34
제1장 총력전에 관한 이론과 발전 = 39
제1절 전쟁이란 무엇인가? = 41
1. 전쟁이란 무엇인가? = 41
2. 전쟁의 본질은 무엇인가? = 42
3. 전쟁의 원인은 무엇인가? = 44
4. 전쟁의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46
5. 전쟁의 피해는 얼마나 발생되었는가? = 51
제2절 총력전의 개념과 기원 = 53
1. 총력전의 개념 = 53
2. 총력전의 기원 = 54
제3절 총력전 등장배경 = 59
1. 산업혁명 이전의 전쟁 = 59
2. 산업혁명 이후 대량 소비시대의 전쟁 = 60
제4절 총력전 관련 주장과 영향을 주는 요소 = 63
1. 루덴도르프의『국가총력전』 = 63
2. 다카하시 하지메의『현대총력전』 = 64
3. 앙드레 보프르의 총력전략 = 67
4.『합동기본교리』의 국가총력방위 = 69
5. 그 외의 주장들 = 71
제5절 총력전 제 이론의 문제점 = 75
제2장 남북전쟁 시 북부군의 총력전 = 77
제1절 당시 미국의 일반정세 = 79
제2절 전쟁 원인 = 82
제3절 전쟁 경과 = 86
제4절 전쟁 결과 = 88
제5절 북부의 총력전 준비와 실시 = 90
1. 자신의 의지를 굽히지 않았지만 통합과 관용을 중시한 지도자 = 90
2. 링컨 행정부를 지원한 북부 연방의회의 정치력 = 94
3. 유럽의 개입을 방지한 북부의 외교력 = 95
4. 남부를 압도한 북부의 재정ㆍ경제력 = 97
5. 초기의 열세를 극복한 북부의 군사력 = 100
6. 북부의 우세한 예비전력 동원능력 = 103
7. 재정 및 경제력과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용한 북부의 전투장비 양산 = 105
8. 흑인과 백인의 통합을 지향한 북부사회 = 106
9. 소결론 = 107
제3장 제1차 세계대전 시 강대국의 총력전 = 111
제1절 당시 유럽의 일반상황 = 113
1. 독일의 통일과 군비확장 = 114
2. 이탈리아 반도의 통일 = 116
3. 영국의 명예로운 고립정책 포기 = 117
4. 독일에 대한 프랑스의 복수심 = 118
5. 재정러시아의 전제정치와 민중의 저항 = 118
6. 미국의 경제력 확대와 고립주의 지향 = 119
7. 다민족 국가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혼란 = 120
제2절 전쟁 원인 = 126
1. 강대국의 군비경쟁 = 126
2. 범게르만주의와 범슬라브주의 대립과 황태자 암살사건 = 127
제3절 전쟁 경과 = 130
1. 독일-프랑스의 국경선 전투 = 132
2. 프랑스 마른 전역 = 133
3. 독일군-러시아군의 타넨베르크 전투 = 134
4. 베르? 전투와 솜므 공세 = 135
5. 러시아군의 전선이탈 = 136
6. 미국의 참전 = 137
7. 독일군 최후공세와 연합군 반격 = 138
8. 휴전협정 체결과 종전 = 139
제4절 전쟁 결과 = 142
1. 동맹국의 항복과 베르사유 조약 체결 = 142
2. 국제연맹의 창설 = 144
3. 총력전의 결과 = 144
4. 독일의 비밀재군비 추진 = 146
제5절 강대국의 총력전 준비와 실시 = 148
1. 사회적 분열과 전쟁지속능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독일 = 148
2. 다민족 국가의 취약성을 극복하지 못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181
3. 영광스런 고립에서 개입으로 전환한 영국 = 201
4. 독일에 대한 복수심으로 승리한 프랑스 = 223
5. 방대한 잠재력을 활용하지 못하고 분열로 패한 러시아 = 237
6. 중립주의에서 연합국으로 참전한 미국 = 254
7. 소결론 = 273
제4장 제2차 세계대전 시 강대국의 총력전 = 277
제1절 당시 세계의 일반상황 = 279
1. 배르사유 체제에 대한 우려 = 279
2. 미국의 경제적 성장과 대공항 발생 = 281
3. 전후 영국의 경제력 약화 = 283
4. 마지노선에 안주한 프랑스 = 284
5. 히틀러의 제3제국 등장과 재무상 선언 = 284
6. 스탈린의 압제와 공산주의 확산 = 285
7. 일본의 강대국 부상 = 286
제2절 전쟁 원인 = 289
1. 히틀러의 재무장 선언과 생활권 주장 = 289
2. 일본의 대동아공영권 주장과 주변국 침공 = 292
3. 국제연맹의 역할 미흡 = 293
제3절 전쟁 경과 = 295
1. 폴란드 전역과 북유럽 전역 = 296
2. 프랑스 전역 = 297
3. 영국 본토 공방전 = 300
4. 발칸 전역 = 301
5. 독일군의 소련 침공과 소련군의 반격 = 302
6. 북아프리카-지중해 전역 = 305
7.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독일군의 패망 = 306
8. 진주만 기습과 태평양전쟁의 발발 = 309
9. 일본군 공세와 미군의 반격 = 312
10. 원폭의 투하와 일본의 무조건 항복 = 315
제4절 전쟁 결과 = 318
1. 제국주의의 종언과 국제연합의 창설 = 318
2. 양극체제의 성립과 냉전의 시작 = 320
제5절 강대국의 총력전 준비와 실시 = 323
1. 1차 세계대전 당시의 상황이 유사하게 반복된 독일 = 323
2.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오판과 전쟁지속능력의 한계가 부른 패배 = 378
3. 피와 땀과 눈물을 요구한 영국 수상 처칠의 리더십 = 407
4. 대공황을 극복하고 막대한 잠재력을 군사력으로 전환한 미국 = 437
5. 마지노선에 대한 과신과 분열이 초래한 프랑스의 비극 = 466
6. 1차 세계대전의 경험과 스탈린의 압제 및 히틀러의 탄압이 가져다준 승리 = 489
7. 소결론 = 516
제5장 중동전에서 이스라엘의 총력전 = 521
제1절 중동의 일반정세와 이스라엘의 건국 = 523
제2절 제1차 중동전(이스라엘 독립전쟁) = 527
제3절 제2차 중동전(수에즈 운하 전쟁) = 530
제4절 제3차 중동전(6일 전쟁) = 532
제5절 제4차 중동전(욤 키푸르 전쟁) = 535
제6절 에스라엘의 총력전 준비와 실시 = 537
1. 국가의 생존에 명운을 거는 지도자 = 538
2. 시오니즘을 바탕으로 하는 국민정신 = 540
3. 다당제에도 불구하고 강한 이스라엘을 뒷받침하는 정치 = 543
4. 해외 유태인의 외교지원 활동 = 544
5. 사막의 불모지에서 일구어낸 경제 = 546
6. 규모는 작지만 하이테크 무기로 무장한 군사력 = 548
7. 세계의 모범이 되는 예비전략의 관리 및 운용 = 552
8. 첨단 장비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과학기술력 = 554
9. 다민족다종교로 이루어진 사회와 문화 속에서의 조화 = 556
10. 소결론 = 557
제6장 6ㆍ25전쟁 시 한국의 총력전 = 559
제1절 당시의 한반도와 주변국의 일반정세 = 561
1. 한반도의 독립관련 국제적 선언 = 561
2. 주변국의 정세 = 563
3. 한반도의 분단과 북한의 정권수립 = 564
제2절 전쟁원인 = 567
1. 6ㆍ25전쟁의 원인에 관한 주장 = 567
2. 북한의 군사력 증강과 남침준비 = 568
제3절 전쟁 경과 = 570
1. 북한군의 기습남침과 낙동강 방어선으로 후퇴 = 570
2. 유엔군의 반격과 북진 = 575
3. 중공군의 침공과 유엔군의 재반격 = 576
4. 교착전과 휴전회담 = 576
제4절 전쟁 결과 = 578
제5절 한국의 총력전 준비와 실시 = 580
1. 신생국 지도자로서 이승만 대통령의 강고한 리더십 = 581
2. 전란극복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국민 = 289
3. 전쟁수행을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한 정치 = 592
4. 국제적 지지와 참전을 유도하기 위한 외교적인 노력 = 293
5. 전쟁지속을 뒷받침하기에는 미약하였던 경제 = 296
6. 전쟁을 하면서 강화된 군사력 = 598
7. 예비전력의 조직화 추진과 그 한계 = 604
8. 초보적인 과학기술력을 활용한 장비생산 = 610
9. 이념대립을 극복한 사회문화 = 611
10. 소결론 = 613
제7장 전쟁사에 나타난 총력전의 교훈과 발전방향 = 615
제1절 전쟁사에서 나타난 총력전의 교훈 = 617
1. 지도자는 합리적인 강력한 리더십이 있어야 한다 = 617
2. 국민은 극한의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 620
3. 정치는 국민의지를 결집시키는 역할로 총력전을 뒷받침해야 한다 = 623
4. 외교활동은 국제적 지지와 지원을 획득하는 데 지향되어야 한다 = 624
5. 국가의 재정능력과 경제력은 전쟁을 지속하는 핵심요소이다 = 625
6. 군사력의 혁신은 전투의 승리를 보장한다 = 627
7. 예비전력은 전쟁지속능력을 유지하고 확대하는 데 있어 핵심 요소이다 = 629
8. 과학기술력은 군사작전의 성공을 보장한다 = 630
9.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사회문화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 632
10. 소결론 = 633
제2절 한국의 총력전 준비 실태 = 635
1. 한반도에서의 장차전 양상 전망 = 635
2. 예상되는 문제점 = 637
3. 총력전 수행체계 및 능력 분석 = 640
제3절 총력전 이론의 발전방향 = 657
1. 총력전 이론의 정립 = 657
2. 총력전 핵심요소의 구체화 = 659
3. 총력전 효과의 달성 = 660
4. 전쟁양상의 변화를 반영하는 총력전 수행체제의 발전 = 662
제4절 한반도 전쟁 시 대비 총력전 발전 제언 = 664
1. 총력전 수행을 위한 대비방향 = 664
2. 단기전에 대비한 총력전 준비 = 676
3. 장기전에 대비한 총력전 준비 = 681
제5절 기타 = 686
마치는 글 = 689
EPILOGUE = 695
참고문헌 = 698
찾아보기 = 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