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24884 | |
005 | 20150717155641 | |
007 | ta | |
008 | 120904s201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2053600 ▼g 93670 | |
035 | ▼a (KERIS)BIB000012903307 | |
040 |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781.6401 ▼2 23 |
085 | ▼a 781.6401 ▼2 DDCK | |
090 | ▼a 781.6401 ▼b 2012 | |
100 | 1 | ▼a Negus, Keith |
245 | 1 0 | ▼a 대중음악이론 : ▼b 문화산업론과 반문화론을 넘어서 / ▼d 키스 니거스 지음 ; ▼e 송화숙 [외]옮김 |
246 | 1 9 | ▼a Popular music in theory : ▼b an introduction |
260 | ▼a 서울 : ▼b 마티, ▼c 2012 | |
300 | ▼a 382 p. ; ▼c 21 cm | |
500 | ▼a 공역자: 윤인영, 이은진, 허지연 | |
504 | ▼a 참고문헌(p. 358-37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opular music ▼x Social aspects |
650 | 0 | ▼a Popular culture ▼x History ▼y 20th century |
653 | ▼a 대중음악 ▼a 서양대중음악 ▼a 대중음악이론 | |
700 | 1 | ▼a 송화숙, ▼e 역 |
700 | 1 | ▼a 윤인영, ▼e 역 |
700 | 1 | ▼a 이은진, ▼e 역 |
700 | 1 | ▼a 허지연, ▼e 역 |
900 | 1 0 | ▼a 니거스, 키스,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401 2012 | 등록번호 1117389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1.6401 2012 | 등록번호 1513122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81.6401 2012 | 등록번호 1117389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81.6401 2012 | 등록번호 1513122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 니거스의 공헌은, 문화생산의 자본주의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경향과 문화소비의 해방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상찬하는 경향, 이 양자 모두를 넘어설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해 준 것이다. 그가 이를 완전한 형태로 제일 처음 주장한 선구자라고 말하는 것은 조심스럽지만, 이 책을 통해 그 주장이 가장 체계적이고 명확하게 제시되었다고 말하는데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생산과 소비의 이분법을 벗어나, 대중음악이 어떻게 매개되는지를 미디어, 테크놀로지, 역사, 지리, 정치 등을 논한 각 장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대중음악이론”은 서로 낯선 두 단어가 나란히 붙어 있는 모습이다. 단 한 구절의 후크, 혼을 빼놓는 리듬 등 다른 어떤 문화보다도 즉각적이고 감각적으로 수용되는 “대중음악”과 이성적이고 지적이며 오랜 시간의 반성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이론”은 서로를 배척하는 듯 보이기 때문이다. 아이폰과 멜론으로 어디에서나 대중음악을 즐기며 음악은 머리가 아닌 몸으로 느끼는 것이라 생각하는 이들에게 “이론”은 부차적이다. 반면, 철저하게 관리되어 생산되는 아이돌 그룹은 결코 창조적인 아티스트가 아니며, 대중음악은 근본적으로 현대자본주의의 문화산업일 뿐이라는 비판이론의 후예들에게 “대중음악”은 해야 할 대상이다.
대중음악과 이론 사이의 낯섦 못지않게, 그간 대중음악은 생산과 소비, 상업성 대 창의성, 결정론 대 자유의지, 강제성 대 자율성, 문화산업 대 저항이라는 이분법 사이에서 이해되어 왔다.
사회학과 음악학을 함께 공부한 이 책의 저자 키스 니거스(Keith Negus)는 이 이분법을 넘어서서 대중음악을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저자는 이론적 접근이 음악을 즐기고 음악에 감동하는 가장 원초적인 방식을 결코 부정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가슴 깊숙한 곳에서부터 솟아오르는 감동과 흥분을 “느끼는” 것이 음악을 사랑하는 방식임을 충분히 공감한다. 하지만 이 경험을 소통하고 공유하려는 순간 우리는 이론과 비평의 언어를 빌리지 않을 수 없다. 저자의 관심은 바로 이 지점에서 생겨난다. 몰락하는 음반산업과 커져가는 기획사의 영향력에 대해 논의하려고 할 때, 누구의 힙합이 다른 이의 힙합보다 더 “진짜”라고 주장하고 싶을 때, 어떤 아이돌 그룹의 음악은 반복되고 진부한 것인지 아니면 도전적이고 복잡한 것인지 토론하려 할 때, 전복적이고 급진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을 가장 상업적인 방송을 통해 소개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이야기하고자 할 때, 우리는 이미 대중음악에 관한 이론적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음악을 개인적인 경험과 이해의 차원이 아니라 유통과 통제의 문제로 바라보는 순간 사정은 더 복잡해지지만, 이 역시 우리의 일상 깊숙이 들어와 있다. 대형 할인마트에서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특정한 음악을 틀 경우, 레스토랑이나 바에서 손님들이 좀 더 빨리 마시거나 식사를 좀 더 천천히 하도록 하기 위해 선곡을 고심하는 경우, 특정한 곡이 정치집회나 종교의식에 사용되는 경우 등 음악이 단순히 개인의 감동과 체험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는 오히려 드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중음악은 거의 언제나 특정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 “매개”되어 있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주장이다.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저자는 정체성, 역사, 지리, 정치 등 대중음악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거의 모든 논점들을 꼼꼼하게 살핀다.
그 자체로 완결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기보다는 여러 쟁점에 관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제공하기 위해 저술된 이 책은 각 이슈에 대한 충실한 참고문헌을 소개함으로써 대중음악이론의 핵심 논자들과 그들의 입장을 명쾌하게 정리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키스 니거스(지은이)
미들섹스 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뒤 사우스뱅크 대학에서 레코딩 아티스트 박사 학위를 받았다. 레스터 대학, 푸에르토리코 대학을 거쳐 현재 골드스미스 대학 음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음악 장르와 기업문화』Music Genres and Corporate Cultures(1999)이 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에서 발행하는 저널 『파퓰러 뮤직』Popular Music의 편집인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송화숙(옮긴이)
서울대학교 작곡과 이론전공을 통해 처음 음악학에 발 담그기 시작했다. 관두나 싶었는데 한 발자국 더 깊숙이 들어가고 있었고, 또 관두나 싶었는데 또 한 발자국 더 들어가는 일을 반복하다 보니 어느새 독일 베를린에서 석, 박사를 마치게 되었다. 또 관두나 싶었는데 지금도 여전히 음악학에 관련된 공부를 하고 강의를 하고 글을 쓰고 있다. 다양한 음악학 주제에 열려있는 편인데, 특히 대중성, 미디어, 젠더 등에 집중하고 있다.
윤인영(옮긴이)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음악이론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음악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학부 때부터 줄곧 서양음악사와 중세음악에 관심이 많았지만, 이제는 특정 시대나 장르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 이것저것 건드리는 중이다. 지금은 세련된 글쓰기를 꿈꾸며 음악과 관련된 글을 쓰거나 번역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은진(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음악학 전공으로 학부와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음악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지금은 박사논문을 준비하면서 나날이 새롭게 젠더 감수성을 충전하고 있으며,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음악에서 드러나는 섹슈얼리티와 젠더의 문제를 다루고자 하는 열망을 키워가고 있다.
허지연(옮긴이)
서울대학교 작곡과 이론 전공, 동대학원 석사, 헝가리 코다이 음악원 디플로마(음악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음악학 박사과정 수료. 현재 서울대학교 강사.

목차
목차 추천사 / 신현준 = 11 서문 = 21 제1장 청중(AUDIENCES) = 30 아도르노의 아이들 - 청취의 퇴행 = 32 아도르노의 청자 - 혼자 침실에 머무는 혹은 군중 속에서 길을 잃은 = 35 다수에 저항하는 능동적 소수 = 38 젊은 세대 = 40 하위문화와 스타일 = 41 하위문화와 젠더 - 거리의 소년들 = 47 하위문화 이론의 엘리트주의 = 48 하위문화적 소수[성]과 주류 = 49 하위문화에서 씬으로 = 53 상동성과 하위문화 스타일의 국제화 = 55 창조적 청중과 상상력이 풍부한 팬 = 58 일상생활 속 대중음악 = 61 결론 : 능동적 청중과 산업 = 68 제2장 산업(INDUSTRIES) = 74 문화산업 - 표준화와 사이비 개성 = 75 흡수와 기업 통제 = 79 인디 대 메이저 = 83 상업성과 창의성 = 88 상업적인 것과 창의적인 것 배열하기 = 92 생산의 결정 = 94 전달 - 아티스트로부터 청중에게로 = 101 문화 생산이라는 관점 - 시스템, 순환 그리고 변수 = 103 생산의 매개 - 청중의 경향 감지하기 = 108 생산 문화 = 110 결론 : 기업의 통제와 창작의 자율 사이 = 114 제3장 매개(MEDIATIONS) = 116 대중음악과 활자어 = 125 라디오 매개 - 전달 기술의 발전 = 130 그룹 청취에서 개인 청취로 = 131 음악 라디오 프로그램 - 예술가와 청중의 연결 = 133 레퍼토리 배열하기 = 134 공공서비스로서의 라디오 혹은 상업적 상품으로서의 라디오 = 138 커뮤니티와 해적행위 - 대안들 = 142 라디오의 음악적 매개 - 간략한 요약 = 146 뮤직비디오 - 사운드와 동영상의 매개 = 147 이미지의 지배? = 147 사운드와 시각 - 기호학적 연결 = 149 뮤직비디오의 반복과 미학 = 156 기호 입자들 - 뮤직비디오의 다중적 후크 = 157 결론 : 유통 투쟁으로서의 매개 = 160 제4장 정체성(IDENTITIES) = 166 흑인 음악과 백인 음악 = 169 흑인 음악의 범주를 풀다 = 171 흑인 음악에 대한 비본질주의적 접근 = 175 레게와 랩 - 검은 대서양의 음악들 = 178 흑인 음악의 전유, 착취, 회복 = 183 세계로 - 대서양 밖의 흑인 음악 = 185 살사 - 라틴 정체성과 대중음악 = 187 음악적 혼합물 - 살사 소스에 담긴 쿠바적 본질 = 189 살사와 라틴 카리브해 연안 = 191 가사 - 민족성과 계급을 드러내는 살사 = 193 젠더, 섹슈얼리티, 음악적 정체성 = 201 남성적 섹슈얼리티를 드러내는 록 음악 = 203 록과 정체성 퍼포먼스 - 남성성의 위조 = 205 라이오트 걸이 남성적 록에 도전하다 = 207 섹슈얼리티와 젠더 - 디스코는 재즈에 비해 더 게이적인가? = 208 컨트리 음악, 케이디 랭과 레즈비언 스타일 = 211 결론 : 음악과 정체성의 절합 = 216 제5장 역사(HISTORIES) = 220 역사적 지식의 중요성 = 222 혁명적 순간 = 226 한 시대의 종말 = 238 록의 정점 - 페퍼 상사 = 247 결론 : 록은 계속 된다 = 257 제6장 지리(GEOGRAPHIES) = 262 문화 지배 - 미국화에서 문화제국주의까지 = 264 제국주의와 자본주의 = 265 음악과 미디어 제국주의의 방식 = 268 효과를 느끼다 - 문화제국주의와 글로벌화 = 273 로컬, 그리고 장소의 중요성 = 286 장소의 음악 듣기 - 리버풀 사운드 = 292 장소의 음악 만들기 - 마이애미 사운드 = 294 결론 : 음악의 지리적 경로 = 298 제7장 정치(POLITICS) = 300 상상하기 - 모호한 정치적 메시지 = 303 국가, 그리고 음악에 대한 두려움 = 310 나치 독일에서의 음악에 대한 국가적 억압과 통제 = 318 나치 음악 정책과 민족음악적 자부심 = 320 미국음악에 대한 투쟁 = 322 나치 음악 정책의 경제학 - 산업과 일자리 = 324 나치 정책의 실제적 문제들 - 능동적 청중, 창조적 예술가, 국제적 문화산업 = 325 음악 실제와 온정적인 정부 - 정책과 자원 = 328 문화의 보호와 장려 - 음악쿼터제도 = 329 지역 자원의 제공자로서의 국가 = 339 다원성, 음악지식에 대한 정책과 생산 = 340 결론: 공공지식과 정서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음악정책을 위하여 = 344 옮긴이의 글 = 352 참고문헌 = 358 찾아보기 =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