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0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24095 | |
005 | 20121018200516 | |
007 | ta | |
008 | 121017s2012 ggka b 000c kor | |
020 | ▼a 978899404446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91146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70 ▼a 160 ▼2 23 |
085 | ▼a 370 ▼2 DDCK | |
090 | ▼a 370 ▼b 2012z5 | |
100 | 1 | ▼a 신창호 ▼0 AUTH(211009)116970 |
245 | 2 0 | ▼a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학 논리 및 논술 : ▼b 논리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기초 이론 / ▼d 신창호, ▼e 장지원 공저 |
260 | ▼a 고양 : ▼b 서현사, ▼c 2012 | |
300 | ▼a 246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부록: 동양의 논리 1. 명가의 논리, 동양의 논리 2. 선종의 비논리성, 동양의 논리 3. 이슬람의 논리학 | |
504 | ▼a 참고문헌: p. 244-246 | |
700 | 1 | ▼a 장지원, ▼e 저 ▼0 AUTH(211009)22307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0 2012z5 | Accession No. 1116774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신창호(지은이)
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학력 및 경력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철학 부전공)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철학 전공)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교육철학 및 교육사학 전공)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실장 고려대학교 평생교육원장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주요 저․역서 교육철학,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철학 및 교육사, 수기(修己), 유가 교육철학의 핵심, 유교의 교육학 체계, 대학, 유교의 지도자 교육철학, 유교 사서(四書)의 배움론, 율곡 이이의 교육론 외 다수
장지원(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Ph.D. 교육철학 및 교육사학) 경희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강사 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연구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교육과 논리적 사고의 필요성 = 9 1. 교육에 관한 다양한 시선들 = 11 2. 교육에서 로고스: 이성과 언어 = 14 3. 교육의 논리적 기반들: 토의와 논쟁 = 16 4. 교육논리의 필요성 = 19 5. 교육논리의 주변 환경들 = 23 제2장 토의와 논쟁의 기원 = 33 1. 희랍의 여가와 토론문화 = 35 2. 다양한 대화의 방식: 변증술과 수사학, 그리고 네 가지 논의 형식 = 39 3. 대화를 위한 기반: 토대와 가설 = 46 4. 대화의 궁극적 의미 = 48 제3장 변증술의 방법 -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 = 57 1. 변증술의 의의 = 59 2. 변증술의 유용성 1: 개인의 지적 훈련 = 61 2. 변증술의 유용성 2: 진리 탐구와 성장 = 63 3. 변증술의 유용성 3: 철학적 사색의 정초 = 65 4. 변증술의 속성과 방법 = 68 제4장 수사학의 방법 - 키케로의 경우 = 77 1. 수사학의 목표: 이상적 연설가 = 79 2. 이상적 연설가의 자격 = 82 3. 이상적 연설의 단계 = 86 제5장 토론의 기술 - 쇼펜하우어의 경우 = 97 1. 쇼펜하우어의 토론술 제안 = 99 2. 논제 반박의 기술 = 100 3. 논쟁의 화법과 방법 = 102 4. 토론 승리를 위한 요령 = 104 5. 인신공격에 대하여 = 106 제6장 근대 논리학의 기초 - 논증과 비논증 = 113 1. 논증의 구성 = 115 2. 논증과 비논증 = 116 3. 대표적인 비논증의 유형 = 120 제7장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논리적 사고 활동 = 135 1. 교육의 개념 분석 = 137 2. 교육과 유사한 개념들 = 139 3. 교육의 주변 개념 = 140 제8장 적절한 근거 제시와 비판 1 - 언론 보도 = 151 1. 헤드라인의 함정 = 153 2. 보도의 사실성 = 156 3. 보도의 경직성 = 158 4. 여론 호도 = 160 제9장 적절한 근거 제시와 비판 2 - 프레임 이론 = 171 1. 사고를 지배하는 틀 = 173 2. 긍정적 이미지 포함 = 175 3. 엄격한 아버지 모형 = 178 제10장 적절한 근거 제시와 비판 3 - 과학기술 = 189 1. 과학기술에 대한 통념 = 191 2. 과학기술과 삶의 변화 = 194 3. 과학기술과 민주적 가치 = 198 제11장 적절한 근거 제시와 비판 4 - 대중선동 = 209 1. 대중선동과 군중심리 = 211 2. 감정에의 호소 = 212 3. 연기와 연출 = 215 4. 투박한 표현과 핵심의 반복 = 217 5. 대중선동의 비민주성 = 220 부록 = 229 동양의 논리 1. 명가(名家)의 논리 = 230 동양의 논리 2. 선종의 비논리성 = 234 동양의 논리 3. 이슬람의 논리학 = 239 참고문헌 =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