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국의 당과 국가 : 정치체제의 궤적

중국의 당과 국가 : 정치체제의 궤적 (Loan 1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西村成雄, 1944- 國分良成, 1953-, 저 이용빈, 역
Title Statement
중국의 당과 국가 : 정치체제의 궤적 / 니시무라 시게오, 고쿠분 료세이 지음 ; 이용빈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2  
Physical Medium
340 p. : 삽화, 도표 ; 24 cm
Series Statement
한울아카데미 ;1466
Varied Title
黨と國家 : 政治體制の軌跡
ISBN
9788946054660
General Note
중국공산당의 독재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01-314
000 01185camcc2200373 c 4500
001 000045723733
005 20121017212408
007 ta
008 121016s2012 ggkad b 000c kor
020 ▼a 9788946054660 ▼g 93340
035 ▼a (KERIS)BIB000012931770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324.251/075 ▼2 23
085 ▼a 324.251075 ▼2 DDCK
090 ▼a 324.251075 ▼b 2012z2
100 1 ▼a 西村成雄, ▼d 1944- ▼0 AUTH(211009)94590
245 1 0 ▼a 중국의 당과 국가 : ▼b 정치체제의 궤적 / ▼d 니시무라 시게오, ▼e 고쿠분 료세이 지음 ; ▼e 이용빈 옮김
246 1 9 ▼a 黨と國家 : ▼b 政治體制の軌跡
246 3 ▼a To to kokka : ▼b seiji taisei no kiseki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300 ▼a 340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466
440 0 0 ▼a 중국 연구의 쟁점 ; ▼v 1
500 ▼a 중국공산당의 독재체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504 ▼a 참고문헌: p. 301-314
700 1 ▼a 國分良成, ▼d 1953-, ▼e▼0 AUTH(211009)85981
700 1 ▼a 이용빈, ▼e▼0 AUTH(211009)131550
900 1 0 ▼a 니시무라 시게오, ▼e
900 1 0 ▼a Nishimura, Shigeo, ▼e
900 1 0 ▼a 고쿠분 료세이, ▼e
900 1 0 ▼a Kokubun, Ryosei, ▼e
945 ▼a KLPA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116771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212292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513129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1167719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212292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4.251075 2012z2 Accession No. 1513129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청조(淸朝) 말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약 170년간의 중국정치를 근대, 현대, 당대의 통시적 관점과 ‘당-국가 체제’의 변용과정에 대한 입체적인 검토를 통해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역작으로, 일본의 중국정치 연구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석학(碩學) 고쿠분 료세이 교수와 중국 근현대정치사의 전문가인 니시무라 시게오 교수가 협력하여 ‘중국정치 연구’에 대해 학문적 총정리를 한 대표적인 저작이다.

청조부터 중화인민공화국까지 중국 정체체제의 역사적 궤적을 쫓다
이 책은 청조(淸朝) 말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약 170년간의 중국정치를 근대, 현대, 당대의 통시적 관점과 ‘당-국가 체제’의 변용과정에 대한 입체적인 검토를 통해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역작으로, 일본의 중국정치 연구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석학(碩學) 고쿠분 료세이 교수와 중국 근현대정치사의 전문가인 니시무라 시게오 교수가 협력하여 ‘중국정치 연구’에 대해 학문적 총정리를 한 대표적인 저작이다.
또한 이 책은 청조(淸朝),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등의 다양한 ‘중국’을 유기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함으로써, 평면적이며 단절적인 중국정치 연구에서 벗어나 유기적이며 융합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제공해준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정리되어 있는 [기본서 안내]를 살펴보면 중국정치 연구 흐름뿐만 아니라, 시기별 중국정치 연구의 주요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연구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중국정치 연구 흐름을 상호 비교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연구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타산지석(他山之石)의 역할을 기대해볼 수 있다.

∥주요 내용

중국을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는 많으나 대내적으로 역사적?지역적?행정적 다양성과 대외적으로 잠재적 세계 국가, 지역 강대국, 그리고 사회주의 개발도상국이라는 서로 다른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국’은 아편전쟁이 발발한 1840년 청조 시기, 1912년 건국된 중화민국, 그리고 1949년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과 같이 국체(國體)가 바뀌었으며, 20세기 강대국의 역사 가운데 국내외 정세가 가장 급격하게 변화한 국가이다.
현재의 중국이 ‘당-국가(party-state) 체제’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구조적 측면 외에 기능적 측면, 즉 행위자 간 관계와 정책결정과정은 아직도 외부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러한 ‘중국의 당과 국가’에 대해 통시적 관점에서 파악하며 지난 170년간의 ‘중국’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청조 말기, 중화민국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서로 다른 정체(政體)를 통해 일면적인 ‘중국’을 살펴본 것이 아니라, 같은 중국인들의 생각과 행동을 통해 만들어낸 국가체제를 고찰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당-국가’가 있다. 청말의 다양한 입헌주의 제도화 노력, 중화민국 시기 국민당의 ‘군정, 훈정, 헌정’ 방안 구상, 그리고 중국공산당의 ‘정치협상회의’ 제안은 모두 새로운 정치제도를 구축하려는 시도였고, 우여곡절 끝에 결국 우세한 무장력을 갖춘 중국공산당의 방안으로 귀결되었다.
이 방안으로 구성된 국가체제의 핵심이 ‘당-국가’이며, 이 외에도 기층에서 중앙까지의 체계화된 인민대표제도 그리고 중국공산당의 지도를 받는 다당제 등과 같은 제도적 특징을 갖고 있다. 1949년 이후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현재 중국의 사회주의와 타이완의 민주주의는 지배의 정통성을 둘러싼 투쟁이었고, 당-국가 체제는 이를 공고화하기 위한 제도적 틀이다.
중국의 부상(浮上), 개혁?개방 정책, 그리고 중국의 최고지도자들과 같이 중요하나 현상적이고 단편적인 사안에 익숙한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이 책은 중국 정치체제의 본질, 경로의존성, 그리고 국제체제와의 교류 방식에 대해 많은 배경 지식과 혜안을 제공해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니시무라 시게오(지은이)

방송대학 교수. 중국 근현대 정치사 전공. 주요 저서로『중국 근대 동북지역사 연구』,『중국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장쉐량』,『20세기 중국의 정치공간』 등이 있다.

고쿠분 료세이(지은이)

일본 도쿄 출생(1953) 일본 게이오대학교 법학부 정치학과 졸업(1976) 미국 하버드대학교 페어뱅크센터 연구원(1982~1983) 일본 게이오대학교 법학부 교수(1992) 중국 베이징대학교 객원연구원(1997) 일본 게이오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장(2003~2007) 일본국제정치학회 이사장(2006~2008) 일본 게이오대학교 법학부장(2007~2011) The China Quarterly 편집위원 일본방위대학교 총장(2012.4~) 현대 중국 정치외교 · 동아시아론 전공 저서: 『중국의 당과 국가』(공저) 외

이용빈(옮긴이)

인도 국방연구원(IDSA) 객원연구원 역임 미국 하버드대학 HPAIR 연례학술회의 참석(안보 분과) 이스라엘 크네세트(국회), 미국 국무부, 미국 해군사관학교 초청 방문 이스라엘 히브리대학, 미국 하와이대학 동서문제연구소(EWC) 학술 방문 홍콩국제문제연구소 연구원 저서: East by Mid-East(공저, 2013) 외 역서: 『김정은 체제: 북한의 권력구조와 후계』(공역, 2012), 『시리아: 아사드 정권의 40년사』(2012), 『러시아의 논리』(2013), 『이란과 미국』(2014), 『망국의 일본 안보정책』(2015), 『중국 국경, 격전의 흔적을 걷다』(2016), 『이슬람의 비극』(2017), 『홍콩의 정치와 민주주의』(2019), 『푸틴과 G8의 종언』(2019), 『미국의 제재 외교』(2021), 『현대 중국의 정치와 외교』(2023), 『이스라엘의 안보 네트워크』(근간) 외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추천의 글 = 5
한국어판 서문 = 11
머리말 : 20세기 중국 정치체제론의 정립을 위한 시도 = 15
제1장 '입헌군주제'에서 '입헌공화제'를 향하여 
 1. 청말 '입헌'제도 도입에 대한 회상 = 27
 2. 20세기 '정당'의 형성과 청조의 정통성 상실 = 35
 3. 중화민국 '입헌공화제'의 정통성을 둘러싼 두 개의 정부 = 41
 4. 국민혁명과 중국국민당의 새로운 정치적 정통성 구축 = 52
제2장 중화민국의 '당-국가 체제'와 '국민참정회' 
 1.「중화민국 훈정시기 약법」: 당, 정, 군 관계 = 59
 2. 훈정체제 내에서 '헌법제정'을 향한 길 = 67
 3. 국민당 권력의 정치적 침투력: '난징의 10년' = 72
 4. 항일전쟁 가운데 중국국민당의 '재편': '국민참정회'의 새로운 정치적 경로 = 86
 5. 1944∼1945년 헌정운동의 새로운 단계: '탈훈정 국가론' = 94
제3장 전후 '연합정부'를 둘러싼 정치적 배당 
 1. 전쟁 중 및 전후 중국의 국제적 지위: 정치체제 변용의 계기 = 105
 2. '헌법제정권력'의 정통성을 둘러싼 두 개의 노선 = 115
 3. 중국국민당 훈정 아래의「1947년 헌법」: 정통성의 유출 = 130
 4. 중국공산당의 '새로운 정치협상회의': 정통성의 구축 과정 = 145
 5. 1949년의 중국혁명: 정치제도의 경로의존성 = 155
제4장 중국공산당 지배하의 '당-국가 체제' 
 1. 연합정부의 좌절과 '당-국가 체제': 부흥기부터 제1차 5개년 계획까지 = 165
 2. 민주ㆍ자치의 상실과 동원의 시대로: 반(反)우파 투쟁과 대약진 = 183
 3. 마오쩌둥 독재체제의 확립: 문화대혁명의 발동 = 194
 4. 문혁의 수습과 국제적 계기의 조짐: 미ㆍ중 접근과 마오쩌둥의 사망 = 208
제5장 국제시스템과 '당-국가 체제'의 상극 
 1. 현대화 노선을 향한 길: 덩샤오핑 시대 = 225
 2. 정치의 계절: 정치개혁과 천안문 사건 = 236
 3. 공산당 영도 아래의 시장경제: 장쩌민 시대 = 250
 4. '당-국가 체제'의 시련: 후진타오 시대 = 266
결론 : 21세기 중국의 도전 = 291
참고문헌 = 301
기본서 안내 = 315
지은이 후기 = 335
옮긴이 후기 = 33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