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악, 그 이상의 음악 : 생물학, 신경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의학, 그리고 음악학에의 공헌

음악, 그 이상의 음악 : 생물학, 신경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의학, 그리고 음악학에의 공헌 (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aas, Roland, 1949-, 편 Brandes, Vera., 편 황은영, 역 김은영, 역 이화진,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악, 그 이상의 음악 : 생물학, 신경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의학, 그리고 음악학에의 공헌 / R. Hass, V. Brandes 편 ; 황은영, 김은영, 이화진 공역
발행사항
파주 :   교육과학사,   2012  
형태사항
442 p. : 삽화, 도표 ; 26 cm
원표제
Music that works : contributions of biology, neurophysiology, psychology, sociology, medicine and musicology
ISBN
9788925406244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usic -- Physiological aspects Music -- Psychological aspects Music therapy Neurobiology
000 01201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23654
005 20121018174710
007 ta
008 121016s2012 ggkad b 001c kor
020 ▼a 9788925406244 ▼g 93180
035 ▼a (KERIS)REQ000025001083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81.1 ▼2 23
085 ▼a 781.1 ▼2 DDCK
090 ▼a 781.1 ▼b 2012
245 0 0 ▼a 음악, 그 이상의 음악 : ▼b 생물학, 신경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의학, 그리고 음악학에의 공헌 / ▼d R. Hass, ▼e V. Brandes 편 ; ▼e 황은영, ▼e 김은영, ▼e 이화진 공역
246 1 9 ▼a Music that works : ▼b contributions of biology, neurophysiology, psychology, sociology, medicine and musicology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2
300 ▼a 442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Music ▼x Physiological aspects
650 0 ▼a Music ▼x Psychological aspects
650 0 ▼a Music therapy
650 0 ▼a Neurobiology
700 1 ▼a Haas, Roland, ▼d 1949-, ▼e
700 1 ▼a Brandes, Vera., ▼e
700 1 ▼a 황은영, ▼e
700 1 ▼a 김은영, ▼e
700 1 ▼a 이화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 2012 등록번호 11167727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6 모차르트와 과학 회의로부터 연구 전망과 결과의 핵심을 요약한 것이다. 여기서 음악치료사들은 신경과학, 연대 생물학, 연대의학의 대표들과 생산적인 대화를 시작하였다. 많은 심리사회적이고 물리적 과정이 자율신경계와 연결됨에 따라 임상가와 신경학자들은 여러 가지 상호 관련된 질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다.

이 책은 2006 모차르트와 과학 회의로부터 연구 전망과 결과의 핵심을 요약한 것이다. 여기서 음악치료사들은 신경과학, 연대 생물학, 연대의학의 대표들과 생산적인 대화를 시작하였다. 많은 심리사회적이고 물리적 과정이 자율신경계와 연결됨에 따라 임상가와 신경학자들은 여러 가지 상호 관련된 질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그러나 단순히 모차르트와 과학 2006의 기록만이 아니다. 이 책의 목적은 생물학, 화학, 수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그리고 의학분야로부터의 기여를 포함하고자 한다. 또한 인접 분야로부터 통찰력을 얻기 위해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연구자들을 격려하고 음악의 영향에 대한 현재의 발견을 토의하기 위한 기초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다.
이 회의에서 진행된 35명의 강연 중 이 책에서는 음악을 포함하여 치료적인 의료실행에서 예방적인 ‘최신기법(cutting edge)’과 최근의 연구발견들, 그리고 기본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14개를 선택하여 소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황은영(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통계학과 학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음악치료전공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전공 박사 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조교수

김은영(지은이)

숙명여대 음악치료대학원 석사 졸업 한국음악치료학회 임상음악전문가 현) 숙명여대 임상실습 수퍼바이저 현) 소리귀클리닉 음악치료사

이화진(지은이)

Texas Woman's University, Master of Arts(음악치료 전공) 미주 공인 음악치료사(MT-BC) 현) 음악치료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CHAPTER 1 개요: 음악, 그 이상의 음악 = 11 
 1.1. 음악치료와 특징연구 = 12 
 1.2. 음악치료와 의학 = 12 
 1.3. 음악의 효과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연구 = 14 
 1.4. 예술과 음악치료, 카타르시스와 힐링 - 심신상관의 지각? = 16 
CHAPTER 2 소니피케이션: 두뇌의 활동을 들어라 = 25 
 2.1. 음악적 문제로서의 생리학 = 25 
 2.2. 의학에서 듣기 = 26 
 2.3. 음파발생(소니피케이션) = 28 
 2.4. 전기적 두뇌 활동 = 29 
 2.5. 두뇌의 리듬을 들어라 = 32 
 2.6. 간질리듬 = 34 
 2.7. 신체리듬의 병리적인 변형 = 36 
 2.8. 피드백 = 37 
 감사 = 39 
 소리목록 = 39 
CHAPTER 3 시간생물학 - 음악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과 그 기초 = 41 
 3.1. 개요 = 41 
 3.2. 시간생물학 - 생물학적 시스템의 시간적 구조에 대한 학문 = 44 
 3.3. 음악과 감상자 사이의 일치 = 77 
 3.4. 음악치료의 응용 = 90 
 3.5. 음악과 정서 = 93 
CHAPTER 4 의료로서의 음악: 측정할 수 있는 음악중심 중재를 일반의료 상황으로 통합 = 107 
 4.1. 서론 = 107 
 4.2. 특정 진단을 위한 수용적(매체 지지적) 음악치료 = 109 
 4.3. 수용적 음악치료가 작용하는 방법 = 124 
 4.4. 결론 = 126 
 자료와 발언 = 128 
CHAPTER 5 근거중심 임상의 조망 = 133 
CHAPTER 6 노래부르기와 말하기 발달에 있어서 듣기-말하기 시스템 = 139 
 6.1. 서론 = 139 
 6.2. 듣기와 말하기 학습 = 140 
 6.3. 결론 = 147 
CHAPTER 7 인간의 두뇌에서 복잡한 신경관련 매트릭스의 형성과 안정화를 위해 음악에 노출되는 것의 중요성: 음악치료를 통한 건강조절에서의 영향 = 153 
 7.1. 개요 = 153 
 7.2. 청각적 경험의 신경적 고정 = 155 
 7.3. 다른 감각 경험과 청각 경험의 기능적인 연결 = 156 
 7.4. 상위의 연합적인 성취와의 연결 = 158 
 7.5. 사회적 공명경험의 정착과 의사소통 = 160 
 7.6. 건강조절 효과 = 163 
CHAPTER 8 음악과 자아 = 167 
 8.1. 외적 개입을 위한 네트워크 = 168 
 8.2. 내적 개입을 위한 네트워크 = 170 
 8.3. 음악과 두 개의 네트워크 = 171 
 8.4. 음악이 불러일으키는 자서전적 기억 = 175 
 8.5. 결론 = 176 
CHAPTER 9 음악의 구문론적인 측면과 의미론적 측면을 처리하는 신경 기질 = 181 
 9.1. 서론 = 182 
 9.2. 음악에서 구문론과 의미론의 처리 = 182 
 9.3. 음악에서 의미의 처리 = 189 
 9.4. 결론 = 191 
CHAPTER 10 언덕 위의 도시: 전형적인 발달장애, 자폐, 그리고 기타 장애를 대상으로 두뇌 기반 음악 연구의 과학적 진보 만들기 = 195 
 10.1. 서론 = 195 
 10.2. 임상적 관점에서 음악-두뇌-행동 연구의 목적 = 196 
 10.3. 다학문적 연구 팀 = 197 
 10.4. 가치 있는 연구의 설계와 수행 = 197 
 10.5. "분석의 분석" 통계적 사고와 임상의 중요성 = 201 
 10.6. 자폐에서 두뇌 기반 음악연구 = 203 
 10.7. 결론 = 207 
 감사의 글 = 208 
CHAPTER 11 심장의 리듬-음악의 템포-Mozart, Ligeti와 쥐 = 213 
 11.1. 소개 = 213 
 11.2. 심혈관계의 시간생물학과 시간약학 = 215 
 11.3. 토론과 요약 = 224 
CHAPTER 12 음악과 아동 신경학: 발달적 관점 = 229 
 12.1. 서론 = 229 
 12.2. 음악적 능력의 발달 = 230 
 12.3. 음악치료와 음악훈련 = 233 
 12.4. 결론 = 235 
CHAPTER 13 태아기의 "경험"과 음악의 계통발생론 및 개체발생론 = 237 
CHAPTER 14 음악과 인간 뇌 기능의 진화 = 251 
 14.1. 역사 연구와 오스트리아(Austria)의 최근 역할 = 251 
 14.2. 정보, 뇌 그리고 음악 = 254 
 14.3. 소름(Goose flesh) = 260 
 14.4. 모차르트(Mozart)의 뇌 = 262 
 14.5. 왜 음악이 있는가? = 264 
 14.6. 음악적 문화들 = 267 
 14.7. 에필로그 = 268 
CHAPTER 15 신경재활에서 음악치료의 임상적 적용 = 271 
CHAPTER 16 인간의 생물연대학: 음악성의 기원과 기능에 대해 = 285 
 16.1. 서론: 과학적 난제 = 285 
 16.2. 시간과 시간의 경험에서 신체의 움직임 = 289 
 16.3. 다른 사람들의 움직임에 공감하는 움직임 = 301 
 16.4. 생물연대학적 범위 = 304 
 16.5. 유아의 음악성과 발달 = 311 
 16.6. 결론 = 327 
CHAPTER 17 Baksy와 Dhikr 운동 중 정신생리학적 관찰을 통한 피험자그룹의 행동일치에 관한 연구 = 341 
 17.1. 전통적인 동양 음악치료 또는 민족 음악치료의 개념에 대한 짧은 소개 = 341 
 17.2. 개조된 baksy dance와 dhikr의 기본 개념 = 346 
 17.3. SMARD Watch System의 기본 요소 = 349 
 17.4. 정신생리학적 SMARD Watch 측정치 = 352 
 17.5. 결론 = 367 
CHAPTER 18 공명(resonance)과 침묵 - 의료에서의 의의 = 373 
CHAPTER 19 음악을 통한 감정 조절과 대처 행동 = 381 
 19.1. 서론 = 381 
 19.2. 방법 = 388 
 19.3. 결과 = 392 
 19.4. 논의 = 396 
CHAPTER 20 감각 통합과 청각 처리 문제를 가진 아동들에게 음악-중심적 청각 자극법의 효과 검증하기: 파일럿 연구 = 407 
 20.1. 서론 = 407 
 20.2. 목표 = 408 
 20.3. 방법 = 408 
 20.4. 결과 = 409 
 20.5. 결론 = 415 
CHAPTER 21 의료로서의 음악: 병원 치료에 음악을 통합시키기 = 417 
 21.1. 병원에서의 미디어(media) = 417 
 21.2. 연구 목적 = 420 
 21.3. 방법 = 422 
 21.4. 결과 = 427 
 21.5. 결론 = 430 
찾아보기 = 43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