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마르크스의 저작 인용 영한대역본 (Loan 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수행, 역
Title Statement
마르크스의 저작 인용 영한대역본 / 김수행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2  
Physical Medium
118 p. ; 23 cm
Series Statement
청년지성 총서 ;3
ISBN
9788946054752
주제명(개인명)
Marx, Karl,   1818-1883   AUTH(211009)123002  
비통제주제어
마르크스, 저작, 인용, 영한대역본,,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22919
005 20211006165213
007 ta
008 120904s2012 ggk 000 kor
020 ▼a 9788946054752 ▼g 03300
035 ▼a (KERIS)REW000000159028
040 ▼d 244002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5.412 ▼2 22
085 ▼a 335.4 ▼2 DDCK
090 ▼a 335.4 ▼b 2012z10
245 0 0 ▼a 마르크스의 저작 인용 영한대역본 / ▼d 김수행 옮김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12
300 ▼a 118 p. ; ▼c 23 cm
440 0 0 ▼a 청년지성 총서 ; ▼v 3
440 0 0 ▼a 한울 아카데미 ; ▼v 1475
600 1 0 ▼a Marx, Karl, ▼d 1818-1883 ▼0 AUTH(211009)123002
653 ▼a 마르크스 ▼a 저작 ▼a 인용 ▼a 영한대역본
700 1 ▼a 김수행, ▼e
772 0 ▼a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w (211009)4571995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5.4 2012z10 Accession No. 1513110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인 김수행 교수가 이 시대 젊은 지성을 위해 오늘날의 자본주의 사회를 진단하고,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이후에 나타날 새로운 사회를 어떤 ‘형태’로 보았는가를 자세히 서술한 것이다.

새로운 사회는 인간 개인의 능력을 전면적으로 최대한 발달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인간, 즉 인류의 능력을 또한 전면적으로 최대한 발달시키는 것이 역사적 임무라고 마르크스는 말한다. 이리하여 정신적 노동과 육체적 노동 사이의 분업이 사라질 때, 다시 말해 노동의 소외가 최종적으로 사라질 때, 새로운 사회인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자개연)’은 자기 발로 서게 되며, 인간과 인간 사이에 대립과 투쟁이 사라지고 인간이 자연과 조화로운 관계를 맺으면서 인간 역사상 처음으로 유적 존재로서의 인류가 인류 자체의 발달을 위해 새로운 역사를 쓰기 시작할 것이다. 이 책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은 마르크스의 이런 과학적이고 실천적인 ‘새로운 사회에 관한 철학’이다.

별책으로 <마르크스의 저작 인용 영한대역본>도 함께 발간된다. 이 별책은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를 더욱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마르크스가 ‘미래사회’에 관해 이야기한 원문을 모은 것이다.

“새로운 뛰어난 생산관계도 자신의 물질적 존재조건이 낡은 사회의 태내에서 성숙하기 전에는 낡은 생산관계를 대체하지 않는다.”
―마르크스

왜 사회주의가 무너졌다는 지금도 마르크스에서 대안을 찾아야 할까?
1990년을 전후로 소련을 비롯한 동유럽 사회가 붕괴하자, 많은 사람들은 “이제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는 현실적으로 망했고 따라서 마르크스주의도 이론적으로 죽었다”면서, 오직 자본주의만이 인류의 등불이라고 예찬했다. 그리고 이른바 ‘좌파’의 다수는 망연자실하여 마르크스주의를 버리고 온갖 새로운 사상을 창조하려 노력했지만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소련이나 동유럽 사회가 과연 마르크스가 예측한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였을까?
그 나라들은 국가자본주의였을 뿐 마르크스가 말한 ‘낮은 단계의 공산주의’로서의 사회주의인 적이 없다. 페레스트로이카 등 자기 나름의 개혁, 개방을 겪었고 그들 중 몇몇 나라는 아직도 자신의 체제를 사회주의라고 말하고는 있지만 이는 국가 중심의 자본주의로부터 개별 기업 중심의 자본주의로 바뀐 것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사실상 지금의 베네수엘라는 자본주의로부터 자개연의 제1단계로 나아가는 ‘진정한’ 이행기에 있다.
마르크스가 예측한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는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association of free individuals(자개연)’이다. 미래사회가 ‘각 개인의 최대한의 자유로운 발달’을 근본원리로 삼으며, ‘각 개인의 자유로운 발달이 만인의 자유로운 발달의 조건이 되는’ 사회라면,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자개연)’이 공산주의 사회나 사회주의 사회보다는 훨씬 더 적합한 용어인 것이다.


∥주요 내용

현대 사회의 지속적인 모순, 그 대안을 여전히 건재한 마르크스에서 찾는다


자본주의 사회는 인간 사회의 발달에 매우 큰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자기 자신이 지닌 모순들로 말미암아 지금은 다른 사회로 대체되어야 할 운명을 맞이하고 있다. 가치증식 과정에서 대자본이 소자본을 점점 더 수탈하여 자본의 집중을 강화함으로써 1%의 부자가 99%의 서민을 착취하고 억압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켰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모든 개인이 생활수준을 높게 유지할 수 있는데도, 자본가 계급의 탐욕으로 인해 99%의 서민이 실망과 빈곤을 경험하고 자살을 선택하는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렇다면 자본주의 이후의 새로운 사회는 어떤 사회일까?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가 새로운 사회를 자기의 태내에 잉태하고 있다”고 말한다. 집단적 지성을 가진 인간은 실제로 성공할 수 있는 것만을 과제로 제기하여 더 많은 사람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그 과제를 실현하려고 하기 때문에, 현재의 사회가 이미 품고 있는 새로운 사회의 구성 요소들에 인간의 관심이 더욱 집중하게 마련이라는 것이다. 이 대안은 마르크스가 말한 바 있는 ‘자개연(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이다.
자개연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물질적 환경의 변혁뿐 아니라 주체적 역량의 거대한 발달이 요구된다. 자본주의적 착취와 억압을 제거하려는 노동자들의 연합이 자발적?목적의식적으로 결성되어야 하고, 교육과 훈련을 통해 노동자들의 사회적 생산력이 크게 향상되어야 하며, 인간 개인이 언제나 ‘능력에 따라 노동할’ 정도의 인간성을 지녀야 할 것이다. 결국 주체와 객체 사이의 누적적 상호 작용에 의해 사회적 인간의 완전한 발달과 주체ㆍ객체 사이의 완전한 조화가 자개연의 형성과 발달의 기본 동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12년에도 금융자본은 세계 전체에서 국가기구를 통해 노동자와 서민을 수탈하고 억압하는 거대한 독재세력으로 행세하고 있다. 국제적 금융자본은 자기의 위험한 투기로 입게 될 손실을 국제적 국가기구를 통해 세계의 서민들에게 전가시키는 방식으로 자본을 축적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의 금융공황에서 금융자본이 2007~2011년에 미국 정부와 중앙은행으로부터 약 20조 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아 자기의 손실을 납세자의 혈세로 메운 것과 마찬가지다. 금융자본을 세계적 차원에서 인류의 소유로 전환하는 정치혁명이 필요할 것이고, 자본이 자본가계급의 이윤 욕심에 봉사하기보다는 인류의 필요와 욕구의 충족에 기여하도록, 개인들이 연합하고 단결하여 자본주의 세계체제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사회인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자개연)’을 건설해야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수행(지은이)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 서울대 경제학부 퇴임 후 성공회대 석좌교수로 연구와 강의에 매진하던 중, 2015년 7월 향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주요 저서로 최초의 한국어 전권 완역본인 &lt;자본론&gt;을 비롯하여 &lt;정치경제학원론&gt;, &lt;&lt;자본론&gt;의 현대적 해석&gt;, &lt;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공황&gt;, &lt;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gt;, &lt;세계대공황: 자본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사회의 사이&gt;, &lt;자본론 공부&gt;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 1844년『경제학ㆍ철학 초고』 = 5
2. 1847년『공산당 선언』 = 7
3. 1857∼1858년『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 14
4. 1859년『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 24
5.『1861∼1863년 초고』ㆍ『1861∼1864년 초고』 = 34
6. 1864∼1866년「국제노동자협회 창립선언」등 = 41
7.『자본론』제1권 = 45
8.『자본론』제2권 = 85
9.『자본론』제3권 = 86
10. 1871년『프랑스의 내전』 = 103
11. 1872년「토지의 국유화」 = 107
12. 1875년「고타 강령 초안 비판」 = 109
13. 1880년「프랑스 노동자당 강령 전문」 = 11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