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9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22784 | |
005 | 20121010174744 | |
007 | ta | |
008 | 121009s2012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7132201 ▼g 13220 | |
035 | ▼a (KERIS)BIB000012920384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2z14 | |
100 | 1 | ▼a 최효찬 ▼0 AUTH(211009)71757 |
245 | 1 0 | ▼a 마흔, 인문학을 만나라 : ▼b 한 주에 한 권 文史哲 독서법 / ▼d 최효찬 지음 |
260 | ▼a 서울 : ▼b 행성:B잎새 : ▼b 행성비, ▼c 2012 | |
300 | ▼a 399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흔들리는 날에는 경서를 갈망하는 날에는 역사서를 읽는다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14 | 등록번호 111676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3 2012z14 | 등록번호 1513123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14 | 등록번호 1116764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3 2012z14 | 등록번호 15131230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문고전에 입문하려고 하는 40대들에게 쉽고 즐겁고 편안하게, 마치 대중가수의 콘서트에 초대받아 온 것처럼 인문고전 읽기를 유쾌하게 즐길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책은 일 년을 계절별로 나누고 계절에 따라 읽어야 할 인문고전 분야를 문학, 철학, 역사, 근현대교양서로 나누었다. 이어 매월 주별로 52주 동안 분류에 맞는 인문고전을 골라 책에 맞는 칼럼을 수록하고, 책과의 연관성을 끌어내 구체적인 고전 활용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책은 인문독서 입문자들에게 ‘1년 52주, 한 주에 한 권씩 인문학을 만날 수 있는’ 체계적인 독서 방법론을 담고 있다. 매주 하나의 칼럼을 통하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삶의 문제들을 인문학적 프리즘으로 들여다보고, 그 주제에 관련한 인문학 책을 함께 읽어 근원을 파헤치는 인문학적 사고를 키우고 현실을 극복하는 지혜를 얻자는 것이다.
인문학 공부는 결코 즐겁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의무와 강제를 스스로 부과하지 않으면 이내 게으름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딱 1년만 인문학에 빠져 인문학적 내공을 다지다 보면, 100권의 인문학 책도 거뜬히 읽어낼 힘이 생기고, 이는 곧 인생을 바꾸는 책 읽기가 되리라는 것이 이 책의 제안이다.
“한 주에 한 권씩 떠나는 인문학 여행 안내서”
멀리 가려면 좋은 벗과 함께 가라
인문학이 길잡이가 되고 말동무가 될 것이다!
인문학 열풍이 불고 있지만, 인문고전 읽기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사람을 압도하는 방대한 지식의 양도 양이려니와 인문학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하고, 독서 시간도 턱없이 부족한 독자들에게 인문고전 읽기의 권유는 또 다른 스트레스이고 결코 즐겁지 않은 일일 것이다. 어떤 이는 닥치는 대로 수십 번을 반복해서 읽으라고 하고, 어떤 이는 필사해가며 천천히 한 줄씩 음미해가며 읽으라고 하고, 어떤 이는 요약본이나 주석본이 아닌 원전 그대로 읽으라고 충고하기도 한다. 정답은 없다. 그러나 새로운 인생의 목표를 세우고, 삶의 방향을 탐색하고 준비해야하는 갈 길 바쁜 40대들, 인문학 공부가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취미가 아닌 의무일 수밖에 없는 중년들에게 스트레스 받지 않고 인문학에 즐겁게 입문할 수 있도록 돕는 ‘인문학 독서법’은 없을까?
아무리 인문학이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기도 하고, 삶의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의 창고라 하더라도 ‘인문학은 어렵다’, ‘학문을 위한 학문이다’는 선입견을 갖고, 마치 처음 맛보는 음식을 대하듯 경계심을 풀지 않는다면 인문학은 한갓 그림의 떡일 뿐, 결코 인생을 살찌우는 보약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 책은 인문고전에 입문하려고 하는 40대들에게 쉽고 즐겁고 편안하게, 마치 대중가수의 콘서트에 초대받아 온 것처럼 인문고전 읽기를 유쾌하게 즐길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방법론을 고민한 끝에 탄생한 인문고전 독서법에 관한 안내서이다. 이 책은 인문학 공부라는 먼 여행을 떠나는 독자들에게는 친절한 말동무가 돼 줄 것이고, 고전의 숲에서 삶의 갈림길에서 헤매는 독자들에게는 나아갈 방향을 일러주는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동양과 서양, 어제와 오늘을 아우르는‘문사철’의 향연!
선인들은 ‘문사철(문학, 역사, 철학)’을 이성을 닦는 자기수양의 학문으로 중시했고, 시서화는 감성 중심의 자기수양을 닦는 교양의 완성으로 보았다. 즉 문사철은 이성 중심의 지식의 완성이고 시서화는 감성 중심의 교양의 완성으로 삼았던 것이다. 조선시대 선비들 또한 문사철을 전공필수로 하고 시서화를 교양필수로 했다. 그래서 벗을 만나면 먼저 시를 지어 주고받으며 교양을 나눈 후, 비로소 전공으로 들어가 문학과 역사, 철학, 정치를 논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문사철’은 어떤 의미일까? 문학과 역사, 철학을 중심으로 하는 ‘문사철’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조선시대와는 다른 현대적 버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으로 전 세계가 연결되어 있고, 글로벌화된 세상에서 살아야 하는 우리에게는 동양 고전뿐만 아니라 서양을 비롯한 세계적인 고전이 문사철에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경서를 읽기에는 겨울이 좋다. 그 정신이 전일한 까닭이다. 역사서를 읽기에는 여름이 적당하다. 그날이 길기 때문이다. 제자백가를 읽기에는 가을이 꼭 알맞다. 그 운치가 남다른 까닭이다. 문집을 읽자면 봄이 제격이다. 그 기운이 화창하기 때문이다.”라고 한 장조(중국 당대 화가)의 제안에 따라 겨울에는 사서삼경과 경전 중심의 동양과 서양의 철학, 봄에는 서양과 동양의 문학작품, 여름에는 역사학, 가을에는 삶의 성찰을 근현대 교양 필독서를 중심으로 하여 읽기가 구성돼 있다.
살아가면서 1년만 인문학에 빠져보라,
한 주에 한 권씩 인문학을 만나다 보면 삶이 달라질 것이다!
이 책은 일 년을 계절별로 나누고 계절에 따라 읽어야 할 인문고전 분야를 문학, 철학, 역사, 근현대교양서로 나누었다. 이어 매월 주별로 52주 동안 분류에 맞는 인문고전을 골라 책에 맞는 칼럼을 수록하고, 책과의 연관성을 끌어내 구체적인 고전 활용법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이 책은 인문독서 입문자들에게 ‘1년 52주, 한 주에 한 권씩 인문학을 만날 수 있는’ 체계적인 독서 방법론을 담고 있다. 매주 하나의 칼럼을 통하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삶의 문제들을 인문학적 프리즘으로 들여다보고, 그 주제에 관련한 인문학 책을 함께 읽어 근원을 파헤치는 인문학적 사고를 키우고 현실을 극복하는 지혜를 얻자는 것이다. 인문학 공부는 결코 즐겁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의무와 강제를 스스로 부과하지 않으면 이내 게으름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딱 1년만 인문학에 빠져 인문학적 내공을 다지다 보면, 100권의 인문학 책도 거뜬히 읽어낼 힘이 생기고, 이는 곧 인생을 바꾸는 책 읽기가 되리라는 것이 이 책의 제안이다.
“우리는 우리가 읽은 것으로부터 만들어진다.”라는 말이 있다. 왜 독서를 하는가? 사람마다 책을 읽는 이유도, 습관도 다르겠지만 독서는 우리를 가장 인간답게 나아가도록 이끄는 최고의 방법이다. 독서의 목적은 단순히 정보를 손에 넣는 것에만 있지 않다. 특히 인문학 독서는 지성을 갈고 닦고 정감을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시대를 초월하여 뛰어난 사람과 교감할 수 있는 통로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좀 더 쉽고 유쾌하게 인문고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독서법이 될 것이다. 독자들이 드넓은 인문학의 바다에서 길을 읽지 않고 흥미진진하게 항해하도록 도와주는 ‘인문고전의 네비게이션’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효찬(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비교문학) 학위를 받았다. 17년간 경향신문 기자로 일하다 2006년부터 전업 작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자녀경영연구소 소장이다. 독특하고 열정적인 글쓰기로 2011년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가 선정한 ‘한국의 저자 300인’에 올랐다. 저서로는 우리나라와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과 독서교육 비법을 명쾌하게 분석해 베스트셀러가 된 『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 『5백년 명문가의 독서교육』, 『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 『세계 명문가의 독서교육』이 있다. 그 외에 『서울대 권장도서로 인문고전 100선 읽기』, 『지금 실천하는 인문학』 등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프롤로그 = 4 1장 경서를 읽기에는 겨울이 좋다! 그 정신이 전일한 까닭이다 : 동양과 서양을 아우르는 철학의 향연 12월 1주 : 진정성 있는 말이 마음을 움직인다 = 16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논어 12월 2주 : 성공하면 바람을 피운다는 말은 진실일까? = 2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참회록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빅토르 위고의 유럽방랑, 나체즈 족 12월 3주 : 가장 고귀한 손해, '지고 밑져라' = 29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맹자 12월 4주 :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배우는 '돈 쓰는 법' = 36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니코마코스 윤리학 12월 5주 : 높은 곳에서는 추위를 이길 수 없다 = 4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주역계사 강의 1월 1주 : 군자의 삶, 소인의 삶 = 49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대학ㆍ중용 1월 2주 : 착한 마음이 성공을 부른다 = 55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도덕경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Mr. 리바이 1월 3주 : 스캔들은 부조리한 사회의 '자기 위안' = 6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시뮬라시옹 1월 4주 : 처세술의 영원한 딜레마, 줄서기 = 69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군주론 2월 1주 : 걷기에 대한 몇 가지 철학적 '딴' 생각 = 76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고백론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나는 걷는다, 인간과 세상의 대화 2월 2주 : 거인은 둔감하다 = 85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후흑학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후흑학: 승자의 역사를 만드는 뻔뻔함과 음흉함의 미학 2월 3주 : 계획은 또 다른 선택, 인생은 선택의 연속 = 9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존재와 무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지식인을 위한 변명,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여자가 겪는 사계절 2월 4주 : 퇴계의 상소에서 배우는 '이기는 기술' = 10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자성록ㆍ언행록ㆍ성학십도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10년 후 미래 2장 문집을 읽자면 봄이 제격이다 그 기운이 화창하기 때문이다 : 작가와 시대를 관통하는 문학의 향연 3월 1주 : 창조적인 상상 에너지는 직관에서 나온다 = 11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블레이크 시선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직관의 두 얼굴 3월 2주 : 창조적 자기파괴, 연암에게 한 수 배워라 = 117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쇼펜하우어 문장론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3월 3주 : 신자유주의와 '경제대통령'을 만든 한 권의 책 = 12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아틀라스 3월 4주 : 빨간색을 좋아하는 리더는 기피하라? = 13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무쇠 한스 이야기 3월 5주 : 불행에서 행복을 찾는 푸르스트식 친구 사귀기 = 136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프루스트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방법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카네기 인간관계론 4월 1주 : 여성의 정신이 세상을 움직인다 = 14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선택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5백년 명문가의 자녀교육 4월 2주 : 아버지의 사랑은 조건이 필요하다 = 15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유배지에서 보내는 편지 4월 3주 : 소설에서 찾아보는 후처 콤플렉스 = 16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레베카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임옥인 소설 선집, 여성의 상태 4월 4주 : '중은'의 철학을 되새기다 = 167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소동파 시선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백거이 한적시선 5월 1주 : 돈으로 키운 자식은 부모를 돈으로 본다 = 17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고리오 영감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김약국의 딸들,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리어왕 5월 2주 : 죽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18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화이트 노이즈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말테의 수기, 참회록, 헤로도토스 역사, 페리시아 전쟁사 5월 3주 : 공포심은 신념보다 강하다 = 189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아름다움과 숭고함의 감정에 관한 고찰 5월 4주 : 인간의 탐욕과 비극의 탄생 '시학'으로 풀다 = 195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시학 3장 역사서를 읽는 데는 여름이 적당하다 그날이 길기 때문이다 : 어제와 오늘을 아우르는 인물과 역사의 향연 6월 1주 : 역사에서 배우는 성공 DNA, '발분정신' = 20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사기(세트)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주술의 사상 6월 2주 : 기억되는 것만이 역사가 된다 = 208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제노사이드와 기억의 정치 6월 3주 : '꼴찌' 처칠을 키운 9할은 로마였다 = 21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로마제국쇠망사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제국의 미래 6월 4주 : 괴테는 어떻게 세계의 대문호가 되었나 = 221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나의 인생「시와 진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괴테와의 대화 7월 1주 : 소박하고 품위있는 삶에 대하여 = 228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다산어록청상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강연과 논문 7월 2주 : 가족에 대해 생각한다 = 23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내가 사랑하는 삶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부유한 노예 7월 3주 : 길을 내는 자가 천하를 지배한다 = 241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열하일기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을병연행록 7월 4주 : 낯선 곳으로의 여행에서 꿈을 키운 위인들 = 249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영혼의 자서전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이탈리아 기행, 내 인생을 바꾼 스무살 여행 7월 5주 : 진정한 리더는 자신의 욕망보다 조직을 생각한다 = 255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칼레의 시민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릴케의 로뎅, 로댕의 예술론 8월 1주 : 좋은 문체란 무엇인가 = 263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한유문집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한시열전, 김득신의 문학론과 문학세계 8월 2주 : 세상을 바라보는 창은 하나만 존재하는가 = 27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미디어의 이해 8월 3주 : 삶의 의미가 되어줄 당신의 '아우라'는 무엇인가 = 277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죽음의 수용소에서 8월 4주 : 우리는 지금 아버지 없는 사회에서 = 28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아들과 연인 4장 교양서를 읽기에는 가을이 꼭 알맞다 그 운치가 남다른 까닭이다 : 현대인이라면 꼭 읽어야 할 근현대 교양의 향연 9월 1주 : 위대함을 만드는 곡선사고의 힘 = 29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데일카네기 나의 멘토 링컨 9월 2주 : 위대한 리더에게는 '그만의 이야기'가 있다 = 297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통찰과 포용 9월 3주 : 인간은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 30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경제 심리학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아들과 함께 걷는 길, 생각의 함정 9월 4주 : 빚진 자보다 베푸는 자가 되어라 = 31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설득의 심리학 10월 1주 : 주류 위에 청류가 있다 = 317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남한산성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5백년 명문가, 지속경영의 비밀 10월 2주 : 250년을 이어온 형제경영의 비결 = 324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로스차일드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10월 3주 : 위기에 대처하는 동서양의 지각습관 = 332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생각의 지도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오리엔탈리즘, 플루타르크 영웅전 10월 4주 : 욕망을 절제하는 것만이 행복은 아니다 = 34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꿀벌의 우화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불안, 존재의 심리학 10월 5주 : 긍정적인 자기암시를 통해 위대함을 만들다 = 348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위대한 콤플렉스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쇼펜하우어 인생론 11월 1주 : 고객으로 하여금 전도사가 되게 하라 = 356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와이어드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공감의 시대 11월 2주 : 당신을 따르는 추종자가 있습니까 = 363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프로페셔널의 조건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지식인의 두 얼굴 11월 3주 : 말과 선물에는 진심이 담겨야 한다 = 37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증여론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선물의 역사, 승자의 언어 11월 4주 : 당신의 역경지수는 얼마입니까 = 380 이 주의 문사철 콘서트|리틀 빅 씽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주역강의 에필로그 =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