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 이해
제1장 자유교육적 관점 = 15
1. 자유교육적 관점의 개요 = 15
2. 자유교육적 관점의 이론적 배경 = 16
3. 자유교육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특징 = 25
제2장 지원적 관점 = 31
1. 지원적 관점의 개요 = 31
2. 지원적 관점의 이론적 배경 = 32
3. 지원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특징 = 41
제3장 관리적 관점 = 47
1. 관리적 관점의 개요 = 47
2. 관리적 관점의 이론적 배경 = 49
3. 관리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특징 = 56
제4장 해방적 관점 = 63
1. 해방적 관점의 개요 = 63
2. 해방적 관점의 이론적 배경 = 64
3. 해방적 관점에서 본 교육의 특징 = 74
제1부 정리활동 = 80
제2부 교육과정 개발
제5장 교육과정 개발 개요 = 89
1. 교육과정 개발의 다양한 접근 = 89
2.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 = 92
3.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96
제6장 교육목적과 목표 설정 및 진술 = 101
1. 교육목적과 목표 설정에 필요한 자료 = 102
2. 교육목적, 교육목표, 세부목표 설정 및 진술 = 112
제7장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 131
1. 교육내용의 선정 = 131
2. 교육내용의 조직 = 137
제8장 교육과정과 수업 = 151
1. 교육과정과 수업계획 = 152
2. 교육과정과 수업모형 = 156
3. 수업계획 관련 내용 교육과정 문서상의 진술방식 = 163
제9장 교육과정과 평가 = 175
1. 다양한 평가모형 = 176
2. 교육과정의 관점에 따른 평가방법 = 183
3. 평가의 절차 = 187
4. 평가 관련 내용 교육과정 문서상의 진술방식 = 189
제2부 정리활동 = 203
제3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제10장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개요 = 207
1. 국가 교육과정의 의의 = 208
2. 국가 교육과정의 체제 = 209
3.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212
4. 국가 교육과정 개발 과정 및 절차 = 215
5. 국가 교육과정 쟁점 = 218
제11장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 225
1. 제7차 교육과정 = 227
2.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240
3. 2009 개정 교육과정 = 246
제12장 교과서 개발 및 활용 = 265
1. 우리나라 교과서 개발 개요 = 266
2. 교과용 도서 평가기준 = 271
3. 교과서 활용 제도 = 281
제3부 정리활동 = 288
부록 _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 289
찾아보기 =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