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80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22257 | |
005 | 20121009091821 | |
007 | ta | |
008 | 121005s2008 hc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0090416 ▼g 93610 | |
035 | ▼a (KERIS)BIB000011308875 | |
040 | ▼a KORMARC ▼c KORMARC ▼d 223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781.2 ▼2 23 |
085 | ▼a 781.2 ▼2 DDCK | |
090 | ▼a 781.2 ▼b 2008 | |
100 | 1 | ▼a Schafer, R. Murray, ▼d 1933- ▼0 AUTH(211009)57711 |
245 | 1 0 | ▼a 사운드스케이프 : ▼b 세계의 조율 / ▼d 머레이 쉐이퍼 지음 ; ▼e 한명호; ▼e 오양기 옮김 |
246 | 1 9 | ▼a (The) soundscape : ▼b our sonic environment and the tuning of the world |
260 | ▼a 홍성군 : ▼b 그물코, ▼c 2008 | |
300 | ▼a 435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417-429)과 색인, 부록수록 | |
536 | ▼a 본 연구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문화재보존기술개발연구(R&D)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음 | |
650 | 0 | ▼a Music ▼x Acoustics and physics |
650 | 0 | ▼a Sound |
650 | 0 | ▼a Music ▼x Philosophy and aesthetics |
700 | 1 | ▼a 한명호, ▼d 1964-, ▼e 역 ▼0 AUTH(211009)136991 |
700 | 1 | ▼a 오양기, ▼d 1961-, ▼e 역 ▼0 AUTH(211009)133480 |
900 | 1 0 | ▼a 쉐이퍼, 머레이,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2 2008 | Accession No. 111676197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인간 환경의 소리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힌 책. 소리에 대한 모든 연구는 침묵으로 끝나야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1960년대 말 현대사회의 소리환경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저자에 의해 정립된 사운드스케이프. 저자는 이 개념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특히 소리환경을 어떻게 해결하고 펼쳐 나가야 할지 그 근본부터 파헤친다.
저자는 음향세계를 널리 확대하고 있는 사운드스케이프의 큰 이념과 사상을 설명한다. 그리고 인간과 소리풍경과의 관계성에서 구체적인 창조활동을 전개하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개념을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책은 소리환경에 대한 풍부한 상상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실천적 활동도 전개할 수 있는 안내서로서의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사운드스케이프가 건축, 도시, 조경, 음향, 심리, 인류, 철학 등 폭넓은 분야에 연계되어 있는 학제적 연구분야임을 알려준다.
현대의 르네상스인이라고 불리는 캐나다의 작곡가 머레이 쉐이퍼 교수의 <사운드스케이프>가 국내 첫 출간되었습니다. 쉐이퍼 교수는 사운드스케이프라는 용어를 만들고, <세계 사운드스케이프 프로젝트>를 발족시켜 30여년 동안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사운드스케이프라는 개념은 아직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는데요, 이 책이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이 추구하는 폭넓은 학제 영역에서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사운드스케이프를 조망하기 위해 저자가 책 속에서 들려주는 수많은 귀의 증인들의 이야기-문학과 신화는 물론 인류학과 역사적인 기록에 이르기까지-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일반인들도 충분히 교양서로 읽는데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리에 대한 모든 연구는 역설적이게도 침묵으로 끝나야한다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에 기꺼이 함께 해주시기를!!!
마음속에 있는 잡음을 고요히 하는 것 -이것이 우리들 최초의 작업이다.
-머레이 쉐이퍼
인간과 인간환경의 소리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그리고 이들 소리가 변화할 때 어떤 일이 생기는가?
사운드스케이프 연구는 이들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합하려는 시도이다.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이 정립된 것은 캐나다의 작곡가인 머레이 쉐이퍼(R. Murray Schafer, 1933~)가 1960년대말 현대사회의 소리환경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그의 주된 관심은 소음공해 문제에서 출발하여 인간과 소리환경의 관계 전반으로 확대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이 연구?조사를 위해「세계 사운드스케이프 프로젝트(WSP)」를 발족시켰다. 유네스코와 캐나다 의회 등으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수행된 이 프로젝트는 캐나다 밴쿠버를 시작으로, 캐나다 전역, 세계 각지로 확대되었다.
WSP의 활동성과는 1972년 밴쿠버에서 연구조사 활동을 시작하여『밴쿠버 사운드스케이프(The Vancouver Soundscape, 1974)』를 간행하고, 캐나다 전역으로 연구조사를 확대하여 『캐나다의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of Canada)』라는 캐나다 라디오 프로그램으로 방송되었다. 또한 유럽에서 현장조사한 결과를『다섯마을의 사운드스케이프(Five Village Soundscapes, 1977)』,『유럽의 소리일기(European Sound Diary, 1977)』라는 책으로 출판하였다. 그리고 WSP의 마지막 용어집으로 발간된 것이 바로『음향생태학핸드북(Handbook for Acoustic Ecology, 1978)』이다.
이 책『사운드스케이프 -세계의 조율(The Soundscape -Our Sonic Environment and the Tuning of the World, 1994)』은 1977년 캐나다에서 쉐이퍼가 개인적으로 WSP를 총괄하여 정리?발간한 책을 옮긴 것이다. 이 책은 1986년 일본의 음악가이자 교수인 게이코 토리코에(鳥越けい子) 등이 공동번역하여 일본에서도 출간된 바 있다. 쉐이퍼가 약30년전에 캐나다에서 생각했던 발상이 약20년전에 토리코에 교수에 의해 일본에 전파되고 이제 한국에 그 개념과 사상이 전해지게 된 것은 그 나라마다의 사회문화적인 시대상황과 잘 부응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1960년대말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자연파괴를 둘러싼 사회문제, 환경일반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소위 생태학(Ecology)운동으로 대표되는 당시의 사조가 사운드스케이프의 사상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것처럼, 국내에서도 최근 이러한 문제가 밀접하게 결부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시대적 상황에 소리풍경이라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이념과 사상이 잘 대응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4개의 부문으로 나뉜다. 제1부와 제2부는 신화의 시대에서부터 산업혁명을 거쳐 현대 전자의 시대에 이르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역사를 다루고, 제3부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실천을 향한 중요한 과정으로서 사운드스케이프 분석상의 문제를 다룬다. 제4부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으로서 중요한 테마인 청취, 음향공동체, 리듬과 템포 등의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약 30년전 캐나다의 작곡가였던 쉐이퍼가 생각하고 있는 소리환경에 대한 다양하고 광범위한 새로운 음악적 사고와 의식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특히 청각을 중심으로 한 소리환경을 어떻게 해결하고 펼쳐나아가야 할 지 그 근본부터 다시 묻고 파헤치고자 하는 이념이 바로 사운드스케이프이다. 이 책을 통해서 음향세계를 널리 확대하고 있는 사운드스케이프의 큰 이념과 사상을, 그리고 인간과 소리풍경과의 관계성으로부터 구체적인 창조활동을 전개하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개념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소리환경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상상력을 제공하며 동시에 실천적 활동을 전개하도록 하는 안내서일 뿐만 아니라, 사운드스케이프가 건축, 도시, 조경, 음향, 심리, 인류, 철학 등 폭넓은 분야에 연계되어 있는 학제적 연구분야임을 알려준다. 이러한 광범위한 분야에 펼쳐져 있는 소리풍경이라는 개념의 사운드스케이프가 국내의 생태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복원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머레이 셰이퍼(지은이)
1933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 사니아에서 태어났다. 토론토 왕립음악원과 오스트리아, 영국에서 공부한 뒤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 언론학부 교수를 역임했다. 작곡가로서 대자연의 실험적 형태의 음악을 만들어 온 그는 캐나다 의회, 프롬 음악 재단, 쿠세비츠키 음악 재단, 구겐하임 펠로우쉽 등에서 작품상을 수상했다. 1975년부터 온타리오 주 밴크로프트에서 작곡 활동을 하고 있다. 음악 교육과 소리 풍경에 대한 많은 저작이 있으며, 대표작인 『The Soundscape : Our Sonic Environment and the Tuning of the World』는 『사운드스케이프: 세계의 조율』로 국내 출간되었다.
한명호(옮긴이)
1964년 전남 진도에서 태어났다. 1989년 전남공대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2007년까지 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2007년부터 목포대학교 친환경건축연구센터와 호남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 전임 교수를 역임했다. 2000년부터 소리 풍경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하여 현재 소리 풍경에 관한 조사, 연구, 교육, 지역의 실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문화관광부의 ‘가고 싶은 섬 홍도’ 시범 사업의 일환으로 연구한 「홍도의 소리 경관 자원의 발굴, 보존 및 육성을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조사 연구」를 비롯하여 약 30편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사운드스케이프: 세계의 조율』, 『소리 교육 1: 소리, 귀, 마음을 위한 100가지 연습 노트』 『소리 교육 2: 소리와 음악 창작을 위한 75가지 연습 노트』가 있다. 최근에는 2011년 소리 풍경 디자인 실천 활동으로 ‘무등산 소리 풍경 명소 발굴 사업’을 수행하고, 현재 ‘김인후의 48영에 표상된 소쇄원의 소리 풍경’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오양기(옮긴이)
현재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11 서문 = 14 산업디자인에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으로 오케스트레이션은 작곡가의 일 음악의 아폴론적 개념과 디오니소스적 개념 음악과 사운드스케이프 그리고 사회복지 사운드스케이프의 기보법 귀의 증인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징 귀와 투청력 특별한 감각 제1부 최초의 사운드스케이프(First Soundscapes) 제1장 자연의 사운드스케이프(The Natural Soundscape) = 32 바다의 소리 = 32 물의 변형 = 38 바람의 목소리 = 45 기적의 땅 = 50 독특한 소리 = 53 묵시록의 소리 = 55 제2장 생명의 소리(The Sounds of Life) = 58 새의 노래 = 58 세계의 새들의 심포니 = 63 곤충 = 66 수서생물의 소리 = 70 동물의 소리 = 73 인간은 말소리와 음악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만든다 = 75 제3장 전원의 사운드스케이프(The Rural Soundscape) = 80 하이파이 사운드스케이프 = 80 목장의 소리 = 82 사냥하는 소리 = 84 우편마차의 나팔 = 87 농장의 소리 = 88 전원 사운드스케이프의 소음 = 91 성스러운 소음과 세속적인 침묵 = 94 제4장 마을에서 도시로(From Town to City) = 97 하느님이 들으실 수 있게 = 98 시간의 소리 = 101 그 밖의 초점 = 103 기조음 = 106 밤과 낮의 소리 = 109 말과 마차의 기조음 = 112 일의 리듬이 변화하기 시작하다 = 114 거리의 호객상인 = 115 도시의 소음 = 118 선택적인 소음규제-거리의 호객상인은 사라져라 = 120 제2부 산업화 이후의 사운드스케이프(The Post-Industrial Soundscape) 제5장 산업혁명(The Industrial Revolution) = 124 산업혁명의 로우파이 사운드스케이프 = 124 기계소리가 마을과 시골을 꿰뚫고 나가다 = 127 소음은 권력 = 129 소리의 제국주의 = 133 소리의 평탄한 선 = 135 열차에 얽힌 전승 = 138 내연기관 = 142 근육음의 증대 = 144 커다란 소리의 배설구, 하늘 = 146 비행사의 난청 귀 = 148 반혁명 = 149 제6장 전기혁명(The Electric Revolution) = 150 소리분열증 = 153 라디오-확장된 음향공간 = 155 방송의 형태 = 158 소리의 벽 = 162 무자크 = 163 근원음 또는 중심음 = 166 간주곡(Interlude) 제7장 음악, 사운드스케이프, 변용하는 지각(Music, the Soundscape and Changing Perceptions) = 170 야외생활을 대신하게 된 콘서트홀 = 171 음악, 새의 노래 그리고 전쟁터 = 173 사냥용 뿔피리는 콘서트홀의 벽을 뚫고 전원을 다시 연주한다 = 176 오케스트라와 공장 = 177 음악과 환경의 만남 = 180 반작용 = 183 상호작용 = 185 성스러운 소음의 새로운 주인 = 188 가청영역에 대해서 = 189 음악과 사운드스케이프에서 저음에 대한 반응 = 190 해저 고향으로 귀환 = 192 내부공간의 통합을 향해서 = 194 제3부 분석(Analysis) 제8장 표기(Notation) = 198 청각적 이미지 = 198 3차원 음향이미지의 문제점 = 201 음향학자는 세계 제일의 읽고 이해하는 전문가 = 203 음향체, 음사상, 음풍경 = 206 공중의 소노그래피 = 209 제9장 분류(Classification) = 211 소리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 212 소리의 지시기능에 따른 분류 = 218 미적 특질에 따른 분류 = 225 소리의 컨텍스트 = 228 제10장 지각(Perception) = 233 도형과 배경 = 234 음향적 능력 = 236 청각의 열쇠로서의 음악 = 239 원근법과 강약법 = 240 제스쳐와 텍스쳐 = 243 제11장 형태학(Morphology) = 248 나무에서 플라스틱으로 = 249 발에서 항공타이어로 = 252 호른에서 무전으로 = 254 래치트에서 사이렌으로 = 255 형태학적 연구의 가치에 대한 결론 = 258 제12장 상징주의(Symbolism) = 260 바다로 회귀 = 261 바람은 변덕스럽다 = 263 만다라와 벨 = 266 호른과 사이렌 = 272 변천하는 상징성 = 274 제13장 소음(Noise) = 278 소음의 정의의 전개 = 279 소음의 위해성 = 282 환경소음레벨은 얼마나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가? = 284 커지는 환경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 286 소음규제 법률의 몇 가지 측면 = 292 세계적으로 살펴보는 도시의 소음규제법령 = 295 소음규제 법률 연구가 어떻게 문화의 차이를 밝힐까? = 304 언어의 소음 = 308 금기음 = 310 제4부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을 향하여(Toward Acoustic Design) 제14장 듣다(Listening) = 314 음향생태학과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 314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모듈 = 316 이어 크리닝 = 318 사운드스케이프의 여행자 = 323 소리산책 = 326 제15장 음향 공동체(The Acoustic Community) = 328 음향 공간 = 328 음향 공동체 = 329 실외의 소리와 실내의 소리 = 332 고대의 음향기사였던 건축가 = 336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 340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이너로서 현대 건축가 = 341 제16장 사운드스케이프의 리듬과 템포(Rhythm and Tempo in the Soundscape) = 345 심장, 호흡, 보행 그리고 신경계 = 346 자연의 사운드스케이프의 리듬 = 349 마을 생활의 리듬 = 353 라디오 방송의 리듬 = 356 제17장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이너(The Acoustic Designer) = 361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원리 = 362 표식음의 보존 = 364 사운드스케이프의 수정 = 366 멋없는 전화벨 소리 = 368 자동차의 경적 = 371 이상향의 사운드스케이프 = 372 제18장 울림의 정원(The Soniferous Garden) = 375 웅변하는 물 = 377 바람의 정령 = 381 제19장 침묵(Silence) = 385 고요한 숲과 시간 = 385 침묵의 의식 = 386 서양인과 부정적 침묵 = 389 적극적인 침묵의 회복 = 394 에필로그 : 음악을 넘어서 = 396 옮긴이의 글 = 400 부록 = 403 사운드스케이프 용어집 = 410 인용문헌 = 417 찾아보기 =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