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7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22158 | |
005 | 20121016143006 | |
007 | ta | |
008 | 120703s201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94948508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2718897 | |
040 | ▼a 243001 ▼c 243001 ▼d 244002 | |
082 | 0 4 | ▼a 801 ▼2 23 |
085 | ▼a 801 ▼2 DDCK | |
090 | ▼a 801 ▼b 2012z3 | |
100 | 1 | ▼a 이정자 |
245 | 1 0 | ▼a 문학의 이해 / ▼d 이정자 ; ▼e 한종구 공저 |
260 | ▼a 서울 : ▼b 한올출판사, ▼c 2012 | |
300 | ▼a viii, 319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309-311)과 색인수록 | |
653 | ▼a 문학 입문서 ▼a 문학의 이해 | |
700 | 1 | ▼a 한종구,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 2012z3 | Accession No. 1513112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정자(지은이)
시인, 문학박사, 건국대 교수 역임. 한국문인협회, 국제펜 회원, 이대동창문인회 이사, (사)한국시조시인협회 및 (사)한국시조협회 자문위원, 문우회 부회장 (사)한국시조문학진흥회 제3대 이사장 역임, 현)고문. 시조문학 작품상, 고산윤선도 문학상, 역동문학상 본상, 문학과 의식 평론상(1990), 한하운문학 평론상(2013) 논저 [한국 시가의 아니마 연구] (백문사, 1996) [시조문학연구론] (국학자료원, 2003) [글쓰기의 길잡이] (국학자료원, 2005) [고전의 샘에 마음을 적시다] (국학, 2009) [시조 한 수에 역사가 숨쉰다] (학술정보, 2009) [현대시조, 정격으로의 길] (국학자료원) [문학의 이해](공저) (한올출판사, 2012) (2012년 학술부문 우수도서선정) 그 외 국문학 관련 논저 및 논문 다수 시조집 [가을꽃 여울타고] (토방, 1996) [기차여행 사계의 노래] (새미, 2005) [시조의 향기] (새미, 2007) [내 안의 섬] (새미, 2014) 그 외 [영역시조집, 빗방울] (2015, 국학자료원)
한종구(지은이)
한국교통대 한국어문학과 과장 문학박사. 충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및 충북대학교 대학원 충주대학교 문예창작학과장 및 박물관장, 기획실장 인문사회예술대 학장 역임 논저 [언어와 문학] (한올출판사) [대화와 화술] (국학자료원, 2003)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한올출판사, 2002) [말과 글] (한올출판사, 2006) [개정 명심보감] (한올출판사, 2008) [사고와 표현] (한올출판사, 2011) [글쓰기와 프레젠테이션] (한올, 2013) [문학의 이해](공저) (한올출판사, 2012) (2012년 학술부문 우수도서선정) 그 외 국문학 관련 논저 및 논문 다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총론 제1장 문학의 기원 = 2 1. 심리학적 기원설 = 2 2. 발생학적 기원설 = 4 3. 발라드 댄스(ballad dance)설 = 5 제2장 문학의 정의 = 8 1. 광의의 문학 = 8 2. 협의의 문학 = 9 제3장 문학의 기능 = 10 1. 敎示적 기능 = 10 2. 쾌락적 기능 = 11 제4장 문학의 특성 = 13 1. 항구성 = 13 2. 개성성(individuality) = 14 3. 보편성 = 15 제5장 문학의 요소 = 17 1. 미적 정서(aesthetic emotion) = 17 2. 상상(imagination) = 18 3. 사상(thought) = 18 4. 형식(form) = 19 제6장 문학과 사고(思考) = 21 1. 사고의 샘 = 23 2. 선험적인 사고 = 26 3. 경험적인 사고 = 27 4. 심미적인 사고 = 28 5. 창조적인 사고 = 29 6. 몰입의 사고 = 30 제7장 문학과 상상의 세계 = 31 제2부 각론 제1장 수필의 이론과 실제 = 42 1. 정의 = 44 2. 수필의 갈래 = 44 3. 수필의 특성 = 46 4. 수필의 본질 = 50 5. 수필의 구성 = 53 6. 문체와 기법 = 57 7. 문체의 다양성 = 58 제2장 소설의 이론과 실제 = 61 1. 정의 = 61 2. 문장 구성 = 61 3. 소설의 구조 = 64 4. 소설의 기법 = 75 5. 소설의 요소 = 79 제3장 시의 이론과 실제 = 80 Ⅰ. 시의 세계와 탄생 = 80 1. 시의 발생 = 80 2. 최초의 시집 = 82 3. 시의 정의 = 84 4. 시의 세계와 그 내용 = 89 5. 상상의 세계와 시의 탄생 = 113 6. 시의 관점과 가치기준 = 128 Ⅱ. 시창작의 이론과 실제 = 138 1. 시의 소재: 시의 내용 = 138 2. 창작의 길 = 148 3. 시의 요소와 구성 = 161 4. 시 창작의 단계 = 178 5. 창작 정신 = 184 6. 시적 화자와 어조 = 197 7. 시와 언어 = 206 8. 시적 표현의 묘미 살리기 = 222 9. 시적 표현기교 = 233 10. 제목 붙이기 = 239 제4장 시조의 이론과 실제 = 249 1. 시조의 개념과 명칭 = 250 2. 시조의 형식 = 251 3. 시조 창작 원리 = 262 4. 시조 창작 기술 = 272 제5장 희곡의 이론과 실제 = 289 제6장 평론의 이론과 실제 = 294 제7장 비교문학의 이론과 실제 = 303 1. 비교문학의 정의 = 303 2. 연구방법과 영역 = 304 3. 비교문학의 형성과정 = 305 4. 비교문학자의 조건 = 306 5. 비교문학의 실제 = 307 참고문헌 및 자료 = 309 찾아보기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