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신(新) 사회교육론의 성립 배경
제1장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과 '사회교육' 개념의 학문적 의의 = 15
1. 학문의 정체성과 개념의 관계 = 17
2. 개념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학의 정체성 탐색 = 22
3. 개념정의 분석을 통한 사회교육학의 정체성 탐색 = 29
4.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의의 = 37
제2장 사회교육의 원형과 발달 양상 = 43
1. 사회교육의 원형적 성격 = 45
2. '사회교육'과 'adult education'의 관계 = 49
3. 사회교육의 일반적인 발달단계 = 60
4. 사회교육의 유형화 = 66
제3장 평생교육체제의 정체성 혼란과 사회교육 원형 회복의 의의 = 73
1. 교육 관련 법체계의 혼란과 그 대안 = 75
2. 우리나라 평생교육체제의 성격과 문제점 = 81
3.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원형 회복의 의의 = 92
제2부 사회교육 형성의 역사와 의의
제4장 세계 사회교육의 형성과 주요 교육사상가 = 105
1. 주요 국가의 사회교육 발전 과정 = 107
2. 위대한 사회교육자의 생애와 사상 = 132
제5장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와 의의 = 153
1.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의 세계적 전파 양상 = 155
2. 그룬트비히 지향적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 = 158
3.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성격과 의의 = 169
제6장 한국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역사와 의의 = 181
1. 이상촌 운동에 나타난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역사 = 183
2. 일가 김용기의 지역공동체 사회교육 활동 = 190
3.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실천원리 = 200
제3부 사회교육의 사회적 과제
제7장 사회교육을 통한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통합 = 211
1. 사회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관계 = 213
2. 노동의 교육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논의 = 219
3. 사회교육에 있어서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통합 = 228
제8장 사회교육을 통한 사회의 변화 = 235
1. 사회변화와 사회교육의 관계 = 237
2. 사회교육을 통한 사회변화 가능성의 탐색 = 243
3. 사회변화를 위한 의식화와 조직화의 원리 = 260
제9장 사회교육의 제도화와 교육정의의 추구 = 265
1. 교육정의의 개념과 지향점 = 267
2. 사회교육의 제도화를 통한 교육정의 실현의 노력과 한계 = 273
3. 교육정의를 위한 사회교육 제도화의 모색 = 279
제4부 사회교육의 실천 방법
제10장 사회교육자의 요건과 실천원리 = 289
1. 사회교육자의 요건과 역할 = 291
2. 사회변화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천원리 = 297
3. 사회교육 실천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과 기법 = 305
제11장 학습공동체의 성격과 구현원리 = 311
1. 학습공동체의 일반적 성격 = 313
2. 학습공동체 개념의 다차원적 성격 = 316
3. 학습공동체의 구현원리와 발전 과제 = 323
제12장 사회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동아리의 활용 = 331
1. 학습동아리의 개념과 의의 = 333
2. 학습동아리 운영의 문제점과 학습공동체적 한계 = 343
3. 학습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동아리의 요건과 발전 과제 = 349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