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新) 사회교육론

(新) 사회교육론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오혁진
Title Statement
(新) 사회교육론 / 오혁진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2  
Physical Medium
381 p. : 삽화, 도표 ; 25 cm
ISBN
978896330909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55-368)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사회교육 , 평생교육 ,,
000 00626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22131
005 20121015102655
007 ta
008 120727s201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3309095 ▼g 93370
035 ▼a (KERIS)BIB000012864594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2z2
100 1 ▼a 오혁진
245 2 0 ▼a (新) 사회교육론 / ▼d 오혁진 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2
300 ▼a 381 p. : ▼b 삽화, 도표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355-368)과 색인수록
653 ▼a 사회교육 ▼a 평생교육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12z2 Accession No. 1513113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오혁진(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 전) 가나안농군학교 교관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현) 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학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신(新) 사회교육론의 성립 배경
 제1장 '평생교육' 개념의 혼란과 '사회교육' 개념의 학문적 의의 = 15
  1. 학문의 정체성과 개념의 관계 = 17
  2. 개념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학의 정체성 탐색 = 22
  3. 개념정의 분석을 통한 사회교육학의 정체성 탐색 = 29
  4.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의의 = 37
 제2장 사회교육의 원형과 발달 양상 = 43
  1. 사회교육의 원형적 성격 = 45
  2. '사회교육'과 'adult education'의 관계 = 49
  3. 사회교육의 일반적인 발달단계 = 60
  4. 사회교육의 유형화 = 66
 제3장 평생교육체제의 정체성 혼란과 사회교육 원형 회복의 의의 = 73
  1. 교육 관련 법체계의 혼란과 그 대안 = 75
  2. 우리나라 평생교육체제의 성격과 문제점 = 81
  3.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사회교육 원형 회복의 의의 = 92
제2부 사회교육 형성의 역사와 의의
 제4장 세계 사회교육의 형성과 주요 교육사상가 = 105
  1. 주요 국가의 사회교육 발전 과정 = 107
  2. 위대한 사회교육자의 생애와 사상 = 132
 제5장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와 의의 = 153
  1.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의 세계적 전파 양상 = 155
  2. 그룬트비히 지향적 한국 사회교육의 전개과정 = 158
  3. 그룬트비히 교육사상에 기초한 한국 사회교육의 성격과 의의 = 169
 제6장 한국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역사와 의의 = 181
  1. 이상촌 운동에 나타난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역사 = 183
  2. 일가 김용기의 지역공동체 사회교육 활동 = 190
  3. 지역공동체 사회교육의 실천원리 = 200
제3부 사회교육의 사회적 과제
 제7장 사회교육을 통한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통합 = 211
  1. 사회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관계 = 213
  2. 노동의 교육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에 대한 논의 = 219
  3. 사회교육에 있어서 교육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통합 = 228
 제8장 사회교육을 통한 사회의 변화 = 235
  1. 사회변화와 사회교육의 관계 = 237
  2. 사회교육을 통한 사회변화 가능성의 탐색 = 243
  3. 사회변화를 위한 의식화와 조직화의 원리 = 260
 제9장 사회교육의 제도화와 교육정의의 추구 = 265
  1. 교육정의의 개념과 지향점 = 267
  2. 사회교육의 제도화를 통한 교육정의 실현의 노력과 한계 = 273
  3. 교육정의를 위한 사회교육 제도화의 모색 = 279
제4부 사회교육의 실천 방법
 제10장 사회교육자의 요건과 실천원리 = 289
  1. 사회교육자의 요건과 역할 = 291
  2. 사회변화를 위한 사회교육의 실천원리 = 297
  3. 사회교육 실천을 위한 기본적인 방법과 기법 = 305
 제11장 학습공동체의 성격과 구현원리 = 311
  1. 학습공동체의 일반적 성격 = 313
  2. 학습공동체 개념의 다차원적 성격 = 316
  3. 학습공동체의 구현원리와 발전 과제 = 323
 제12장 사회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동아리의 활용 = 331
  1. 학습동아리의 개념과 의의 = 333
  2. 학습동아리 운영의 문제점과 학습공동체적 한계 = 343
  3. 학습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동아리의 요건과 발전 과제 = 349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