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Chapter 01 총론 = 13
1. 서론 = 13
2. 역사적 배경 = 14
3. 진단 기준 = 15
4. 역학 = 18
5. 임상 양상 = 18
6. 원인 = 21
7. 평가 = 25
8. 감별 진단 = 26
9. 치료 = 28
10. 경과 및 예후 = 30
Chapter 02 역학 = 33
1. 자폐장애의 유병률 = 33
2. 자폐장애는 증가하고 있는가 = 35
3. 국내 자폐장애의 실태 = 39
Chapter 03 유전 연구 = 41
1. 자폐장애의 유병률 = 41
2. 선행 연구 내용 및 유전 연구 방법 = 42
3.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55
Chapter 04 환경적 요인 = 63
1. 서론 = 63
2. 홍역-볼거리-풍진 백신과 티메로살 = 64
3. 바이러스 감염 = 66
4. 출생 전 스트레스 = 68
5. 주산기 문제 = 70
6. 독성 금속 노출 및 산화 스트레스 = 70
7. 기타 환경적 요인 = 73
8. 화학물질이 자폐장애의 위험을 높이는 기전 = 74
9. 면역 독성학 = 75
10. 요약 및 향후 연구 방향 = 75
Chapter 05 신경생화학 및 신경생리학 연구 = 81
1. 서론 = 81
2. 신경전달물질 = 82
3. 이차 전달물질 = 90
4. 호르몬 = 91
5. 산화 스트레스 = 94
6. 전기생리 = 96
7. 결론 = 104
Chapter 06 구조적 뇌영상 연구 = 117
1. 서론 = 117
2. 선행 연구 내용 = 118
3.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123
Chapter 07 기능적 뇌영상 연구 = 127
1. 서론 = 127
2.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손상 = 128
3. 의사소통의 질적 손상 = 143
4. 제한적ㆍ반복적ㆍ상동적 양식의 행동, 관심, 활동 = 147
Chapter 08 의학적 상태 = 157
1. 자폐장애 환자의 의학적 상태 검사 = 157
2. 자폐장애의 의학적 증상과 증후 = 160
3. 자폐장애와 관련된 특이 질병이나 증후군 = 164
Chapter 09 평가: 선별 및 진단 = 181
1. 자폐장애의 진단 = 181
2. 임상적 평가 = 183
3. 자폐장애 평가 항목 = 184
4. 자폐장애의 진단 기준 = 187
5. 자폐장애의 선별검사 = 188
6. 자폐장애의 진단 도구 = 192
7. 자폐장애의 감별 진단 = 197
Chapter 10 신경심리 검사 = 205
1. 서론 = 205
2. 일차적 결손 = 206
3. 발달 평가 = 213
4. 자폐장애에서의 인지 기능 평가 = 219
5. 자폐장애에서의 적응 기능 평가 1 = 221
6. 자폐장애에서의 신경심리 평가 = 221
7. 최근 신경심리 검사의 이슈 = 222
8. 결론 = 224
Chapter 11 약물치료 = 229
1. 약물치료의 원칙 = 229
2. 약물치료 각론 = 234
3. 결론 = 250
Chapter 12 행동적 접근 = 259
1. 서론 = 259
2. 행동치료의 주요 기법 = 261
3. 행동치료 기법의 향후 방향 및 도전 = 271
4. 결론 = 276
Chapter 13 교육적 접근 = 281
1. 서론 = 281
2. 교육 전략 = 282
3. 교육 내용 = 285
4. 교육 모형 = 290
5. 중ㆍ고등학교에서의 특수한 문제 = 292
6. 주류에 들어가기 = 296
7. 결론 = 297
Chapter 14 가족치료적 접근 = 301
1. 서론 = 301
2. 자폐장애 아동의 가족이 직면하는 스트레스 = 302
3. 가족적 접근의 원칙과 목표 = 307
4. 자폐장애와 가족 생애 주기 = 310
5. 결론 = 318
Chapter 15 기타 치료적 접근 = 325
1. 서론 = 325
2. 본론 = 327
3.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336
Chapter 16 청소년기 및 성인기 자폐증 = 341
1. 서론 = 341
2. 선행 연구 내용 = 342
3.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 = 353
찾아보기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