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07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21561 | |
005 | 20121015131642 | |
007 | ta | |
008 | 120928s2011 ulka 001c kor | |
020 | ▼a 9788979148732 ▼g 13560 | |
035 | ▼a (KERIS)BIB000012609038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005.72 ▼2 23 |
085 | ▼a 005.72 ▼2 DDCK | |
090 | ▼a 005.72 ▼b H873 2011z6 | |
100 | 1 | ▼a 羽田野太巳, ▼d 1971- |
245 | 2 0 | ▼a (사전처럼 바로 찾아 쓰는) HTML5 핵심 API / ▼d 하타노 후토미 지음 ; ▼e 윤준 옮김 |
246 | 1 | ▼i 원서대등표제 : ▼a Hyper Text Markup Language 5 API guidebook |
246 | 1 9 | ▼a 徹底解說HTML5 APIガイドブック. ▼p ビジュアル系API編 |
246 | 3 | ▼a Tettei kaisetsu HTML 5 API gaidobukku. ▼p Bijuarukei APIhen |
260 | ▼a 서울 : ▼b 한빛미디어, ▼c 2011 | |
300 | ▼a 688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윤준, ▼e 역 |
900 | 1 0 | ▼a Hatano, Futomi, ▼e 저 |
900 | 1 0 | ▼a 하타노 후토미,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5.72 H873 2011z6 | 등록번호 1212212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HTML5 명세 및 이와 관련된 명세에 규정된 API 중 시각적인 측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API 위주로 세세히 설명했다. 아울러 일반 웹 페이지뿐 아니라 위젯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지식을 담았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잘 모르는 초보자와 디자이너들을 위해 DOM 스크립팅의 기초부터 설명했으며 HTML5에서 새롭게 등장한 API만이 아니라 기존의 API까지도 상세히 잘 정리했다.
폼을 비롯해 화려한 동적 웹사이트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캔바스(canvas),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를 비롯해서 Text Selection API로 사용자 텍스트 편집기(WISYWIG)을 만드는 방법도 설명했다. 그 외에도 기존에는 복잡하게 구현했던 드래그 앤 드롭과 File API, 웹 워커, Geolocation API 등도 소개했다.
"웹 기술을 주도할 당신을 위한 책"
스티브 잡스가 플래시 대신에 HTML5를 선택하겠다고 발표한 뒤 구글, MS 역시도 HTML5에 힘을 실어줬다. HTML5는 한 동안 웹 개발자들에게 가장 뜨거운 키워드일 것이다.
사전처럼 바로 찾아 쓰는 HTML5 핵심 API에서는 HTML5 명세 및 이와 관련된 명세에 규정된 API 중 시각적인 측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API 위주로 세세히 설명했다. 아울러 일반 웹 페이지뿐 아니라 위젯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지식을 담았다.
이 책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잘 모르는 초보자와 디자이너들을 위해 DOM 스크립팅의 기초부터 설명했으며 HTML5에서 새롭게 등장한 API만이 아니라 기존의 API까지도 상세히 잘 정리했다. 폼을 비롯해 화려한 동적 웹사이트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캔바스(canvas),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를 비롯해서 Text Selection API로 사용자 텍스트 편집기(WISYWIG)을 만드는 방법도 설명했다. 그 외에도 기존에는 복잡하게 구현했던 드래그 앤 드롭과 File API, 웹 워커, Geolocation API 등도 소개했다.
HTML5는 아직 확정된 표준이 아니라 당분간은 내용에 변동이 있겠지만 책의 내용을 기초로 새로운 지식을 익힌다면 누구보다도 빠르게 HTML5를 익혀 차세대 웹 기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독자를 위한 책인가?
- 웹 애플리케이션의 기초를 배우려는 초보자
- 웹 개발자 중 HTML5의 API를 중점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개발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타노 후토미(지은이)
유한 회사 futomi(http://www.futomi.com) 대표이사 2007년부터 http://www.HTML5.jp 개설 운영 [JavaScript, Ajax, DOM에 의한 웹 애플리케이션 슈퍼 샘플](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표준 DOM 스크립팅 JavaScript+DOM에 의한 웹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의 기초](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Ajax 웹 애플리케이션 아이디어 북](슈와 시스템) [Perl/CGI 장인 기질](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등
윤준(옮긴이)
숭실대학교 미디어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모바일 랩에서 미디어공학을 전공했다. 프런트엔드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빛미디어에서 『초보자를 위한 언리얼 엔진 4 입문』, 『초보자를 위한 유니티 입문(개정판)』 등을 번역했다.

목차
추천사 옮긴이의 말 한국 독자들에게 지은이의 말 이 책의 내용과 대상 독자 CHAPTER 01 DOM 스크립팅의 기초 1.1 HTML5의 의의 1.1.1 웹 표준 명세에 없던 자바스크립트의 다양한 기능 1.1.2 기존의 API를 명세 하나로 정리한 HTML5 1.2 DOM 트리 1.2.1 DOM이란 무엇인가 1.2.2 DOM 트리란 무엇인가 1.2.3 브라우저마다 달랐던 DOM 트리 1.2.4 문법 오류가 있는 마크업 처리 1.3 DOM 트리 접근자 1.3.1 DOM 트리 접근자란 무엇인가 1.3.2 DOM 트리에 접근하는 속성 1.3.3 HTMLCollection 객체는 실시간이다 1.3.4 DOM 트리에 접근하는 함수 1.3.5 W3C에서 규정된 함수 1.4 HTML 문서 리소스의 정보 1.4.1 리소스 정보를 다루는 속성 1.4.2 URL 정보 1.4.3 최종 갱신 일시 1.4.4 렌더링 모드 1.4.5 문자 인코딩 1.4.6 문서 로딩 상태 1.5 마크업 삽입 1.5.1 마크업 추가 1.5.2 마크업 다시 쓰기 1.5.3 HTML 문서의 생성 1.5.4 보안 1.6 요소와 속성 제어 1.6.1 요소와 속성을 제어하는 API 1.6.2 요소를 제어하는 API 1.6.3 class 속성을 제어하는 classList API 1.6.4 커스텀 데이터 속성 1.7 Selectors API 1.7.1 Selectors API란 무엇인가 1.7.2 선택자 1.7.3 :visited 유사 클래스의 프라이버시 문제 1.7.4 Selectors API가 반환하는 NodeList는 실시간이 아니다 1.8 이벤트 1.8.1 웹 애플리케이션과 이벤트 1.8.2 이벤트 핸들러와 이벤트 리스너 1.8.3 load 이벤트 1.8.4 DOMContentLoaded 이벤트 1.9 타이머 1.9.1 타이머란 무엇인가 1.9.2 타이머를 이용한 예제 1.10 모달 창 1.10.1 window.alert(), window.confirm(), window.prompt() 1.10.2 커스텀 모달 창 1.11 페이지 URL을 다루는 Location API 1.11.1 Location API란 무엇인가 1.11.2 URL 분리 속성 1.12 방문 기록을 다루는 History API 1.12.1 History API란 무엇인가 1.12.2 세션 기록 관련 이벤트 1.13 Navigator 객체 1.13.1 Navigator 객체란 무엇인가 1.13.2 브라우저 식별 정보 1.13.3 네트워크 접속 정보 1.14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1.14.1 각종 바가 표시되는지를 판별하는 속성 1.15 포커스 1.15.1 포커스란 무엇인가 1.15.2 문서의 포커스 1.15.3 요소의 포커스 CHAPTER 02 폼 2.1 폼의 기초 2.1.1 HTML5에서 더욱 충실해진 UI 2.1.2 새로운 컨트롤 2.1.3 입력값을 제한하는 속성 2.1.4 유효성 검사 2.1.5 유효성 검사 대상이 되는 요소 2.1.6 유효성 검사를 피하는 방법 2.2 폼 이벤트 2.2.1 폼과 관련된 이벤트 2.2.2 change 이벤트와 formchange 이벤트 2.2.3 input 이벤트와 forminput 이벤트 2.2.4 invalid 이벤트 2.2.5 select 이벤트 2.2.6 submit 이벤트 2.3 폼 유효성 검사 API 2.3.1 폼 유효성 검사 API란 2.3.2 유효성 검사를 임의의 시점에 실행 2.3.3 유효성 검사 오류 안내 수정 2.3.4 유효성 검사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획득 2.3.5 유효성 검사 오류의 원인 2.3.6 독자적인 유효성 검사를 정의 2.3.7 폼 유효성 검사 API의 주의점 2.4 텍스트 필드 선택 2.4.1 텍스트 필드를 선택하는 API 2.4.2 전체 선택 2.4.3 선택 텍스트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2.4.4 범위를 지정하여 텍스트를 선택하기 2.5 HTML5에서 새로 도입된 폼 요소 2.5.1 새 폼 요소 세 가지 2.5.2 output 요소 2.5.3 progress 요소 2.5.4 meter 요소 2.6 폼 API 레퍼런스 2.6.1 크게 늘어난 폼 관련 API 2.6.2 HTMLFormControlsCollection 객체 2.6.3 RadioNodeList 객체 2.6.4 HTMLOptionsCollection 객체 2.6.5 DOMSettableTokenList 객체 2.6.6 ValidityState 객체 CHAPTER 03 Canvas 3.1 Canvas의 특징 3.1.1 Canvas란 무엇인가 3.1.2 비트맵 그래픽 3.1.3 Canvas의 장점 3.1.4 Canvas의 명세 3.2 canvas 요소 3.2.1 canvas 요소 준비 3.2.2 canvas 요소의 지원 여부 판단 3.3 좌표계 3.3.1 Canvas의 좌표계 3.4 2D 컨텍스트 3.4.1 2D 컨텍스트 객체 얻기 3.4.2 부모 canvas 요소의 노드 객체 참조 3.5 사각형 3.5.1 사각형 그리기 3.6 색 3.6.1 색 지정하기 3.7 반투명 3.7.1 투명도 지정하기 3.8 그라데이션 3.8.1 그라데이션 지정하기 3.8.2 선형 그라데이션 3.8.3 원형 그라데이션 3.9 패스를 이용한 복잡한 도형 3.9.1 사각형 이외의 도형을 그리는 방법 3.9.2 패스란 3.9.3 서브패스란 3.9.4 서브패스가 교차했을 때의 채우기 3.9.5 원호 3.9.6 베지에르 곡선 3.9.7 사각형 3.10 선의 스타일 3.10.1 선의 스타일에 관한 Canvas의 기능 3.10.2 선의 굵기 3.10.3 선끝의 모양 3.10.4 연결 모양 3.11 텍스트 3.11.1 Canvas의 텍스트 그리기 3.11.2 텍스트 그리기 3.11.3 웹 폰트의 이용 3.11.4 정렬 3.11.5 문자의 길이 측정 3.12 섀도우 3.12.1 선의 스타일에 관한 Canvas의 기능 3.13 패턴 3.13.1 패턴으로 채우기 3.14 이미지의 사용 3.14.1 외부 이미지를 Canvas 안에 사용하기 3.14.2 레이어 3.15 합성 3.15.1 Porter-Duff 합성 3.15.2 Canvas의 이미지 합성 패턴 3.15.3 합성을 사용한 이미지 3.16 픽셀 조작 3.16.1 비트맵 정보에 직접 접근하기 3.16.2 보안 3.17 클리핑 3.17.1 클리핑 영역 정하기 3.18 좌표 공간의 변환 3.18.1 도형 변환하기 3.18.2 변환 조합하기 3.18.3 변환 매트릭스 3.18.4 변환 매트릭스의 응용 3.19 그리기 상태 관리 3.19.1 그리기 상태를 한 번에 관리하기 3.20 도형의 내부, 외부 구별 3.20.1 도형의 안과 밖 구별하기 3.21 Canvas의 이미지 출력 3.21.1 canvas 요소의 노드 객체의 이미지 출력에 관한 API 3.22 애니메이션 3.22.1 Canvas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의 구현 3.22.2 성능 CHAPTER 04 비디오와 오디오 4.1 마크업의 개요 4.1.1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요소 4.2 video 요소 4.2.1 video 요소의 마크업 4.2.2 불리언 속성의 프로퍼티 4.2.3 표시 크기와 실제 크기 4.2.4 preload와 autobuffer 4.2.5 video 요소의 지원 여부 판별 4.3 audio 요소 4.3.1 audio 요소의 마크업 4.3.2 Audio() 4.3.3 audio 요소의 지원 여부 판별 4.4 코덱 4.4.1 코덱과 컨테이너 4.4.2 MIME 형식 4.5 source 요소 4.5.1 source 요소란 무엇인가 4.6 MIME 형식으로부터 재생 가능 여부를 판단 4.6.1 재생 가능한 형식을 판별 4.7 선택된 파일 확인 4.7.1 어떤 파일이 선택되었는지 확인하기 4.8 네트워크 이용 상태 파악 4.8.1 내려받기까지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 4.9 재생과 정지 4.9.1 미디어 리소스의 재생과 정지 4.9.2 iOS의 사파리에서 무효화되어 있는 기능 4.10 미디어 리소스 로드 4.10.1 강제로 미디어 요소를 재설정하기 4.10.2 미디어 데이터 획득 순서 4.11 미디어 데이터의 로드 상태 파악 4.11.1 미디어 데이터의 로드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4.12 재생 속도 4.12.1 재생 속도 변경하기 4.13 길이와 재생 위치 4.13.1 길이와 재생 위치 파악하기 4.14 재생 완료와 버퍼링 완료의 범위 4.14.1 재생된 범위와 버퍼링 완료 범위를 파악하기 4.14.2 버퍼 삭제 4.15 탐색 4.15.1 탐색 상태 파악하기 4.16 음량 조절 4.16.1 음량 변경하기 4.17 오류 처리 4.17.1 오류 파악하기 4.18 이벤트 4.18.1 미디어 요소의 이벤트 4.18.2 로딩부터 재생 전까지의 이벤트 4.18.3 재생 및 일시 정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4.18.4 조작에 의한 이벤트 4.18.5 오류에 의한 이벤트 4.19 커스텀 플레이어 4.19.1 더 편리한 기능을 포함한 플레이어 만들기 4.20 비디오와 Canvas의 조합 4.20.1 Canvas 안에 비디오 넣기 4.21 자막 넣기 4.21.1 비디오나 오디오에 자막 넣기 CHAPTER 05 텍스트 편집 5.1 편집 가능한 문서와 요소 5.1.1 웹 콘텐츠의 텍스트 편집 5.1.2 요소를 편집 가능하게 하기 5.1.3 문서 전체를 편집 가능하게 하기 5.2 Text Selection API 5.2.1 선택한 텍스트 정보 얻기 5.2.2 선택한 영역 추출하기 5.2.3 복수 영역 선택하기 5.2.4 선택 영역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 5.2.5 선택 영역의 지정과 해제 5.2.6 선택 영역을 해제하고 커서의 위치 이동하기 5.2.7 여러 개의 선택 영역 다루기 5.3 Editing API 5.3.1 WISYWIG 편집기를 구현하는 Editing API 5.3.2 생성되는 HTML 코드 5.3.3 iframe을 사용하는 이유 5.4 명령 5.4.1 commandID 5.4.2 볼드체 5.4.3 이탤릭체 5.4.4 아래 첨자 5.4.5 위 첨자 5.4.6 커서 앞의 문자를 제거 5.4.7 커서 뒤의 문자를 제거 5.4.8 이미지 삽입 5.4.9 HTML 코드 삽입 5.4.10 텍스트 삽입 5.4.11 줄바꿈 삽입 5.4.12 순서 목록 삽입 5.4.13 비순서 목록 삽입 5.4.14 블록 요소의 치환 5.4.15 블록 분할 5.4.16 링크 생성 5.4.17 링크 해제 5.4.18 전체 선택 5.4.19 선택 해제 5.4.20 실행 취소 5.4.21 다시 실행 5.5 커스텀 WISYWIG 편집기 5.5.1 Text Selection API와 Editing API를 사용한 WISYWIG 편집기 CHAPTER 06 드래그 앤 드롭 6.1 드래그 앤 드롭의 개요 6.1.1 드래그 앤 드롭 API 6.2 드래그 앤 드롭의 이벤트 6.2.1 드래그 앤 드롭의 이벤트 6.3 기본 액션 6.3.1 기본 액션이란 무엇인가 6.4 임의의 요소를 드래그하기 6.4.1 draggable 속성 6.5 선택한 텍스트를 드래그하기 6.5.1 선택한 텍스트의 드래그 앤 드롭 6.6 데이터 전송 6.6.1 데이터 전송에 관한 API 6.7 다른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6.7.1 브라우저 이외의 애플리케이션과의 데이터 송수신 6.8 드래그 중인 아이콘을 지정 6.8.1 드래그 중인 아이콘 6.9 선택 텍몽트의 드래그 포인터 6.9.1 드래그 중인 마우스 포인터를 변경하기 6.10 PC의 파일을 드롭하기 6.10.1 PC에 있는 파일을 드롭 CHAPTER 07 File API 7.1 File API란 7.1.1 PC의 파일을 스크립트로 읽기 7.2 File 객체 7.2.1 파일 정보 얻기 7.3 FileReader 객체 7.3.1 파일 데이터 읽기 7.4 이벤트 7.4.1 파일을 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7.5 로드 상태 7.5.1 파일을 읽는 상태를 파악하기 7.6 파일 로드의 진행률 7.6.1 실시간으로 파일 읽기 처리의 진행률을 표시하기 7.7 오류 처리 7.7.1 오류의 원인 파악하기 7.8 파일 URI 생성하기 7.8.1 고유 URI를 생성하기 CHAPTER 08 웹 워커 8.1 웹 워커란 8.1.1 웹 워커란 무엇인가 8.1.2 프로세스, 스레드, 워커 8.1.3 블로킹 8.2 웹 워커 퀵 스타트 8.2.1 웹 워커의 사용 방법 8.3 웹 워커의 용도 8.3.1 웹 워커는 어디서 사용하는가 8.3.2 Ajax를 이용한 동적인 콘텐츠 로드 8.3.3 자동 완성 8.3.4 로직 분리 8.4 Worker 생성자와 Worker 객체 8.4.1 Worker 객체 얻기 8.4.2 메시지 보내기 8.4.3 워커 종료 8.4.4 이벤트 핸들러 8.5 워커의 전역 범위 8.5.1 전역 범위란 무엇인가 8.5.2 메시지 보내기 8.5.3 워커에서 외부의 자바스크립트의 파일 로드하기 8.5.4 이벤트 핸들러 8.5.5 워커의 종료 8.5.6 브라우저 정보 얻기 8.5.7 워커 자바스크립트 파일의 URL 정보 얻기 8.5.8 타이머 8.6 웹 워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API 8.6.1 워커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API 8.7 워커를 여러 개 실행하기 8.7.1 워커를 여러 개 실행하기 8.7.2 웹 워커의 성능 8.8 공유 워커 8.8.1 전용 워커와 공유 워커 8.8.2 공유 워커의 사용법 8.8.3 페이지의 API 8.8.4 공유 워커의 API 8.8.5 공유되는 값과 공유되지 않는 값 CHAPTER 09 Geolocation API 9.1 Geolocation API란 9.1.1 Geolocation API란 무엇인가 9.1.2 사용 허가 9.1.3 측지계 9.2 Geolocation API 퀵 스타트 9.2.1 위치 정보 얻기 9.3 현재 위치 얻기 9.3.1 getCurrentPosition() 함수 9.3.2 위치 정보를 얻었을 때의 처리 9.3.3 위치 정보를 얻지 못했을 때의 처리 9.3.4 옵션 매개변수 9.4 위치 정보를 연속해서 얻기 9.4.1 연속해서 위치 정보 얻기 9.4.2 GPS 고도 9.4.3 실시간 감시의 정지 INDEX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