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54camcc2200409 c 4500 | |
001 | 000045721253 | |
005 | 20120926205555 | |
007 | ta | |
008 | 120926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0030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1639685 | |
040 | ▼a 21106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655 ▼2 22 |
085 | ▼a 616.891655 ▼2 DDCK | |
090 | ▼a 616.891655 ▼b 2009 | |
245 | 0 0 | ▼a 무용·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 사례집 / ▼d Fran J. Levy, ▼e Judith Pines Fried, ▼e Fern Leventhal 편저 ; ▼e 최희아, ▼e 남희경, ▼e 고경순 공역 |
246 | 1 9 | ▼a Dance and other expressive art therapies : ▼b when words are not enough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09 | |
300 | ▼a 347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집필자: Edith Z. Baum, Bonnie Berstein, Bette Blau 외 | |
504 | ▼a 참고문헌(p. 325-33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Dance therapy |
650 | 0 | ▼a Movement therapy |
650 | 0 | ▼a Dance therapy for children |
650 | 0 | ▼a Movement therapy for children |
700 | 1 | ▼a Levy, Fran J., ▼e 편 ▼0 AUTH(211009)29204 |
700 | 1 | ▼a Fried, Judith Pines, ▼e 편 ▼0 AUTH(211009)87963 |
700 | 1 | ▼a Leventhal, Fern, ▼e 편 ▼0 AUTH(211009)110763 |
700 | 1 | ▼a Baum, Edith Z., ▼e 저 |
700 | 1 | ▼a Berstein, Bonnie, ▼e 저 |
700 | 1 | ▼a Blau, Bette, ▼e 저 |
700 | 1 | ▼a 최희아, ▼e 역 |
700 | 1 | ▼a 남희경, ▼e 역 ▼0 AUTH(211009)84361 |
700 | 1 | ▼a 고경순, ▼e 역 ▼0 AUTH(211009)117786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655 2009 | Accession No. 11167570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독자들에게 임상적 사례를 소개하고, 치료사와 내담자가 함께하는 치유적인 과정에 참가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머리뿐만 아니라 가슴으로 호소하는 언어로 표현된 이 책은 긴급하고 즉각적인 임상적 관심들을 다룬다.
이 책의 사례들은 단기 치료와 장기 치료, 개인 작업과 집단 작업, 그리고 개인적 치료세팅과 제도적 세팅을 통하여 이러한 강력한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저자들이 밝힌 지식의 범위와 특정한 전문분야는 무용/동작치료의 포괄적인 그림을 묘사해 준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사례들은 독자들에게 임상적 세팅을 소개하고, 치료사와 내담자가 함께하는 치유적인 과정에 참가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한다. 머리뿐만 아니라 가슴으로 호소하는 언어로 표현된 이 책은 긴급하고 즉각적인 임상적 관심들을 다룬다. 기술적 전문용어는 최소화하려고 했고, 기술적 전문용어가 사용되었을 때는 항상 정의를 내렸다. 이 책을 통해서 내담자들의 욕구들이 조심스럽게 고려되었고, 각 치료사의 인내와 용기를 통해서 그 욕구들은 창의적으로 대처되었다. 사례에서 논의된 개인들의 신중하고 민감한 묘사는 독자와 내담자 사이의 색다른 친밀감을 드러내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언어로 감히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을 춤으로 표현한다. 그 춤 안에는 그들의 슬픔, 분노, 죄책감, 상실, 사랑, 공감, 소망, 꿈, 감추어 온 힘과 용기가 종종 깃들어 있다. 이러한 춤들의 본질은 몸의 언어, 자신 그리고 타인과 소통하는 언어, 조명(illumination)과 변형(transformation)의 언어다. 생각과 감정에 따라서 움직이는 개인은 더 이상 숨길 것이 없다. 춤과 움직임은 아마도 다른 어떤 매개보다도 주지화(intellectualization)를 넘어서 깊이 있게 영혼으로 도달할 수 있다. 이 책의 사례들은 단기 치료와 장기 치료, 개인 작업과 집단 작업, 그리고 개인적 치료세팅과 제도적 세팅을 통하여 이러한 강력한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저자들이 밝힌 지식의 범위와 특정한 전문분야는 무용/동작치료의 포괄적인 그림을 묘사해 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Fran J. Levy(지은이)
미국공인무용동작치료전문가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표현예술치료 전공 교육학 박사 미국공인집단심리치료사, 드라마치료사 2012년 현재 뉴욕 시 브루클린에서 개인임상을 하면서 치료사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그녀는 표현예술치료사로서의 경험과 더불어 작가, 예술가, 그리고 드라마치료사로서의 통합적인 경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우리에게 치유적인 과정으로 독특한 표현적인 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녀는 개인의 창의적인 잠재력 발견은 변화를 위한 그 자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다각적인 모델로써의 심리치료의 개념이 되고 있다.
Judith Pines Fried(지은이)
로스앤젤레스 소재 Immaculate Heart College와 Loyola Marymount University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녀는 지난 10년 동안 Jane Manning과 스튜디오를 나누어 사용하면서 개인상담실을 운영하였으며, 현재 뉴욕에서 편집자, 작가 그리고 시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Fern Leventhal(지은이)
1976년부터 무용치료분야와 관련하여 의료진, 교육가, 임상감독가 그리고 저자로 활동하였다. Pratt Institute, College of New Rochell, Columbia University에서 강의하였고, 뉴욕대학 메디컬 센터에서 근무하였다.
최희아(옮긴이)
뉴욕대학교 무용교육학과 석사, 프랫 인스티튜트Pratt Institute 무용동작치료 석사를 수료하고 한양대학교에서 아동심리치료학과 박사를 마쳤다. 지금은 문화, 예술, 심리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개발 기업 (주)마인드스페이스 대표이자, 마음 공감 심리치료 센터 소장으로 일하며 대한무용 동작 심리치료학회장,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아동심리 전문가로서 대학 강의, 워크숍, 세미나,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저자는 청담, 대치, 분당에서 아이와 부모님을 대상으로 한 놀이교육을 선보이며 일찌감치 ‘놀이의 힘’을 증명하기도 했다. 소아병원의 이상적 모델이라 불리는 미국 헤켄색 대학 메디컬 센터Hackensack University Medical Center의 소아암 병동에서 임상수련을 하며 소아암 환아들의 놀이교육을 진행한 저자는 이때 선진 의료기술을 익혔고, 무엇보다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에서도 멈추지 않고 성장하는 아이들의 강인한 잠재력을 확인했다. 이후 한국에 돌아와서도 꾸준히 부모 교육과 아동 콘텐츠 연구 개발에 힘쓰고 있다. 특히 (주)마인드스페이스는 문화예술 힐링 콘텐츠 회사로서 건강한 기업문화를 위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놀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뻔하지 않은 새로운 놀이, 아이들이 주도하는 진짜 놀이를 지향하는 저자의 도전 정신과 아이들을 향한 애정이 담긴 첫 번째 책이 바로 《마음성장 놀이북》이다.
남희경(옮긴이)
몸으로 마음을 치유하는 18년차 심리치료사. 우울했던 어린 시절, 우연히 춤을 만나서 침묵 속에 빠져 있던 몸의 감각이 생생하게 깨어나는 체험을 했다. 이후 춤은 은신처이자 치유였고 구원이었다. 이런 춤에 대한 열망으로 한양대학교 무용학과에 들어갔다. 몸의 심리와 치유에 대한 멈추지 않는 열정으로 2001년 미국 유학을 떠났고,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에서 무용동작치료 전공 및 상담심리 부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뉴욕의 정신과 병동에서 정규직 심리치료사로 임상을 시작했고, 미국공인무용동작치료전문가(BC-DMT), 뉴욕주공인예술치료 면허(LCAT), 미국공인상담가(NCC) 자격증을 취득했다.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명지대학교 예술심리치료학과 겸임교수와 대한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의 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교육자, 연구자, 상담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심리치료연구소>에서 오센틱무브먼트, 심층심리학 기반 예술치료, 동작치료 워크숍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깊이 탐구해나가는 다양한 이들을 만나면서 그들과 함께 성장해나가고 있다.
고경순(옮긴이)
현 시카고 Asian Human Services, 정신보건부서 무용/동작치료사 시카고 Passage School, 폭력예방프로그램 무용/동작치료사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1 성인들 CHAPTER 01 다중성의 사례 = 25 다중성 = 25 레이철의 사례 = 30 추신 = 68 CHAPTER 02 외상을 넘어서는 춤: 성적 학대로부터의 생존여성들 = 71 블랑쉐 에반의 방법론들 = 72 생존자들을 위한 무용/동작 치료세션의 안무: 치료사-내담자 역동 = 75 과거 수치심을 춤으로 = 76 해리와 통합을 향해 춤추기 = 78 신체 경계 정하기 = 81 과거의 죄책감을 춤으로 = 83 발달에서 간격 메우기 = 85 힘의 춤들: 좀 더 건강한 관계들을 위한 토대 = 86 기억들을 춤으로: 외상 해결 = 87 움직임 스타일과 외상후 방어 = 88 연습하기와 행동하기 = 89 성을 되찾기 = 91 결론 = 92 CHAPTER 03 학대받는 여성들을 활성화하기: 나아가기 위한 창의적인 첫걸음 = 95 무용/동작치료 = 98 결론 = 107 CHAPTER 04 "당신이 없이는 나도 없어요.":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와의 작업 = 109 진단 = 109 치료 = 122 결론 = 126 CHAPTER 05 다중인격장애: 집단 동작치료 접근 = 129 해리적이고 다중적인 성격장애 = 129 치료 집단에 있는 다중인격장애 환자들 = 132 치료적 중재들 = 134 결론 = 139 CHAPTER 06 중독의 벽들 = 141 문헌들의 개요 = 141 치료세팅 = 143 수치심 표현 = 144 CHAPTER 07 은유로서의 움직임: 화학적 중독 치료하기 = 151 물질적 중독 = 152 치료접근: 은유로써 움직임 사용 = 153 지금-여기 강조하기 = 155 감정 알아차리기 = 156 문제해결과 대처방식 = 158 자조그룹들 = 160 결론 = 160 CHAPTER 08 상호-의존성 직면하기: 사이코드라마적 무용/동작치료 접근 = 163 상호-의존성 = 164 사이코드라마적 동작치료 = 165 사례 자료들 = 166 상호-의존성의 해결: 작업이 진행 중에 있는 사례 = 170 결론 = 175 CHAPTER 09 불안을 치료하기: 네 가지 사례들 = 177 정신역동적 이론 = 179 행동적 이론 = 180 인지적 이론 = 181 생화학적 이론 = 182 불안치료 = 183 사례 = 183 논의= 192 CHAPTER 10 노년층과의 무용/동작치료 = 195 무용/동작치료 테크닉들 = 199 사례 = 203 결론 = 208 PART 2 아동들 CHAPTER 11 수와 존의 사례: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치료 = 211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유아: 발달적인 개념 = 212 발달적인 이정표 = 213 이동성과 운동의 자극 = 214 공격성의 표출 = 216 신체상과 언어의 발달 = 217 시각장애 아동의 이해 = 219 시각장애 아동시설 = 219 아동 = 220 사례정보 = 221 치료과정 = 225 토론과 결론 = 233 CHAPTER 12 샌드라의 사례: 성적 학대 경험을 가진 입양아동의 사례 = 237 성적 학대를 경험한 어린 아동에 대한 논의 = 238 사례연구 = 241 결론 = 254 CHAPTER 13 애착장애의 위기에 처한 아동을 위한 초기중재 = 255 CHAPTER 14 공립학교 체계에서의 자폐아동의 치료 = 267 진단 = 268 자폐증의 원인론과 행동적인 특성들 = 271 무용/동작치료 사용의 합리성 = 274 세션의 구조 278 두 개의 세션 = 280 요약 = 287 공립학교 안에서의 실행 = 288 결론 = 289 CHAPTER 15 워런의 사례: 자폐성장애를 위한 KMP적 접근 = 291 KMP의 용어 = 292 워런의 사례 = 294 토론 = 303 CHAPTER 16 '4's':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 305 구조화의 발달 = 306 인습적인 춤의 사용 = 311 공연의 사용 = 312 남자-여자의 듀엣 = 316 브레이크 댄스 = 318 사례 = 319 요약 = 324 참고문헌 = 325 찾아보기 = 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