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99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721189 | |
005 | 20120928171955 | |
007 | ta | |
008 | 120926s201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9149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914554 | |
040 | ▼a 241027 ▼c 241027 ▼d 211009 | |
082 | 0 4 | ▼a 616.855075 ▼2 22 |
085 | ▼a 616.855075 ▼2 DDCK | |
090 | ▼a 616.855075 ▼b 2012 | |
245 | 0 0 | ▼a 의사소통장애의 진단과 평가 = ▼x Diagnosis & evaluation in communication disorders / ▼d 심현섭 [외] 공저 |
246 | 3 1 | ▼a Diagnosis and evaluation in communication disorders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2 | |
300 | ▼a 302 p.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김영태, 이윤경, 박지연, 김수진, 이은주, 표화영, 한진순, 권미선, 윤미선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심현섭, ▼e 저 |
700 | 1 | ▼a 김영태, ▼e 저 ▼0 AUTH(211009)112006 |
700 | 1 | ▼a 이윤경, ▼e 저 ▼0 AUTH(211009)107128 |
700 | 1 | ▼a 박지연, ▼e 저 |
700 | 1 | ▼a 김수진, ▼e 저 ▼0 AUTH(211009)11960 |
700 | 1 | ▼a 이은주, ▼e 저 |
700 | 1 | ▼a 표화영, ▼e 저 ▼0 AUTH(211009)131723 |
700 | 1 | ▼a 한진순, ▼e 저 ▼0 AUTH(211009)128143 |
700 | 1 | ▼a 권미선, ▼e 저 ▼0 AUTH(211009)30371 |
700 | 1 | ▼a 윤미선, ▼e 저 ▼0 AUTH(211009)65687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55075 2012 | 등록번호 1116757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의 내용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하에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의사소통장애의 진단모형을 마련해 보기 위한 첫 시도의 결과물이다. 이 책이 언어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리라 믿는다.
의사소통장애의 초기 진단은 치료의 방향 설정에 기본이 될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진단은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고, 증거기반 치료(evidence-based therapy)를 위해서 진단 활동은 치료를 하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활동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아동 언어장애, 실어증, 유창성장애의 분야 등 일부 영역에 기본적인 표준화 검사도구가 마련되어 있으나, 아직 의사소통장애 영역의 전반에 걸쳐 검사도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의사소통장애 진단 프로토콜의 통일성 및 객관성에 대한 논의가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언어재활사의 국가자격증제도가 확립됨에 따라 의사소통장애 진단의 객관성,정확성 및 효율성 확보는 언어재활사에게 부과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언어재활사는 다양한 의사소통장애의 특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함은 물론,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과 검사도구의 장점 및 단점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진단 결과가 치료계획 수립에 어떻게 연계되는가를 익혀야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의사소통장애 진단의 기초 = 11 1. 들어가는 말 = 13 2. 진단모형 및 원칙 = 15 3. 맺음말 = 19 제2장 학령전기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 21 1. 들어가는 말 = 23 2. 진단평가 = 25 1) 의뢰 및 선별 = 25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31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42 3. 진단평가 사례 = 44 1) 배경정보 = 45 2) 검사에 대한 태도 = 45 3) 실시한 검사 = 46 4) 검사 결과 = 46 5) 검사 결과의 요약 및 제언 = 49 4. 맺음말 = 50 제3장 학령기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 55 1. 들어가는 말 = 57 2. 진단평가 = 58 1) 의뢰 및 선별 = 58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61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76 3. 진단평가 사례 = 77 1) 의뢰 = 77 2) 평가 절차 = 78 3) 평가 결과 = 79 4) 결과 요약 및 권고 = 83 5) 언어적 진단 = 84 4. 맺음말 = 84 제4장 동반장애를 가진 의사소통장애인의 진단 = 93 1. 들어가는 말 = 95 2. 의사소통장애와 다른 장애의 공존 = 96 3. 의사소통장애를 동반하는 기타 장애유형 = 101 1) 정신지체 = 101 2) 뇌성마비 = 106 3) 전반적 발달장애 = 111 4) 외현화된 정서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118 5) 내면화된 정서장애: 우울과 불안 = 122 4. 맺음말 = 128 제5장 조음음운장애의 진단 = 137 1. 들어가는 말 = 139 2. 진단평가 = 139 1) 선별평가 = 139 2) 진단평가 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사항 = 142 3)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146 3. 진단평가 사례 = 158 4. 맺음말 = 166 제6장 유창성장애의 진단 = 171 1. 들어가는 말 = 171 2. 진단평가 = 175 1) 의뢰 및 선별 = 175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176 3) 기타 유창성장애 감별진단 = 181 4) 진단평가 결과 해석 = 184 3. 진단평가 사례 = 186 1) 유창성장애 아동 사례 = 186 2) 유창성장애 성인 사례 = 188 4. 맺음말 = 191 제7장 음성장애의 진단 = 195 1. 들어가는 말 = 197 2. 진단평가 = 198 1) 의뢰 및 선별 = 198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200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211 3. 진단평가 사례 = 214 4. 맺음말 = 216 제8장 공명장애의 진단 = 221 1. 들어가는 말 = 223 1) 공명과 공명장애 = 223 2) 공명장애의 하위유형 = 224 3) 공명장애의 원인 = 225 2. 진단평가 = 227 1) 의뢰 및 선별 = 227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229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235 3. 진단평가 사례 = 238 4. 맺음말 = 240 제9장 신경 말ㆍ언어장애의 진단 = 245 1. 들어가는 말 = 247 2. 진단평가 = 248 1) 의뢰 및 선별 = 248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251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265 3. 진단평가 사례 = 266 4. 맺음말 = 269 제10장 청각장애의 진단 = 275 1. 들어가는 말 = 277 2. 진단평가 = 278 1) 의뢰 및 선별 = 278 2) 진단평가 방법 및 과정 = 280 3) 진단평가 결과 해석 = 288 3. 진단평가 사례 = 290 1) 배경정보 = 290 2) 검사 결과 = 290 3) 결론 및 제언 = 293 4. 맺음말 = 293 찾아보기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