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4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21154 | |
005 | 20120928182827 | |
007 | ta | |
008 | 120926s201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55654882 ▼g 93370 | |
035 | ▼a (KERIS)REW000000159730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374.12 ▼2 22 |
085 | ▼a 374.12 ▼2 DDCK | |
090 | ▼a 374.12 ▼b 2012z1 | |
100 | 1 | ▼a 김창엽 ▼0 AUTH(211009)65338 |
245 | 1 0 | ▼a 평생교육경영 : ▼b 평생교육기관의 경영과 전략 / ▼d 김창엽 |
260 | ▼a 서울 : ▼b 청목출판사, ▼c 2012 | |
300 | ▼a 517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501-509)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12 2012z1 | 등록번호 1116758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창엽(지은이)
저자는 고려대학교에서 경영학사, 서강대학교에서 교육학석사, 중앙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진도, 영원무역, 벤아트 등의 기업에서 근무하였다. 어릴 때부터 합기도를 익혔고, 다양한 운동을 섭렵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연구원을 지냈고, 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가톨릭대, 덕성여대, 한국방송통신대, 서강대, 성공회대, 중앙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대안교육연대와 시민사회단체(CSO)에서 활동하였고, 평생학습타임즈 편집국장을 역임하였다. 여러 지방정부 및 관련기관의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고, 현재 한국지역사회교육재단 이사, 한국시민교육협회 회장, 한국평생교육실천전략연구소 소장, 한국평생교육사협회 감사, 아주대학교 겸임교수로 구실을 하고 있다. TPO에 맞춰 사용하는 ‘평생교육방법론(2021)’, ‘평생교육을 논하다(2020)’, ‘바보야 중요한 건 학습이 아니야(2019)’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그중 ‘마케팅 이론으로 풀어보는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2010)’은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2011), ‘성인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2019)’는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2020)에 선정된 바 있다. 그동안의 경험, 타인과 다른 세계와의 관계를 바탕으로 교육의 이념, 사상, 가치를 새롭게 들여다보고 있다. 서양의 이론과 주장에만 기반을 두고 전개되는 교육 논의의 한계를 느끼고, 동양사상과 철학을 근간으로 교육을 톺아보고, 이를 정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 시민교육의 이론과 방법 개발, 실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텃밭 가꾸기, 사람들과의 어울림과 수다에서 즐거움을 만들고 있다.

목차
목차 서문 = 3 제1부 평생교육과 경영 제1장 평생교육과 경영 = 19 1. 평생교육과 사회 = 20 가. 평생교육과 사회의 상호역할 = 20 나. 기업사회의 특징 = 24 다. 평생교육과 기업사회 = 27 2. 평생교육기관과 경영이론 = 29 가. 평생교육과 경영 = 29 나.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이론 활용 배경 = 30 다. 평생교육기관의 조직유형과 경영유형 = 32 3.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이론 활용 = 36 가. 경영이론에 내재된 기업의 속성 = 37 나. 기업의 인간관과 인사관리 = 38 다.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이론 활용과 유의사항 = 39 제2장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ㆍ평생교육방법ㆍ프로그램개발의 상호관계 = 42 1.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의 개요 = 43 가.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념 = 43 나.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의 개념 = 47 2. 평생교육방법의 개요 = 48 가. 평생교육방법의 개념 = 48 나. TㆍOㆍP에 기반을 둔 평생교육방법의 필요성 = 53 3.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ㆍ평생교육방법ㆍ평생교육경영의 상호관계 = 60 제2부 평생교육기관의 경영관리 제3장 평생교육기관의 인사관리 = 65 1. 인사관리 = 66 가. 채용관리 = 66 나. 배치ㆍ이동관리 = 69 다. 승진관리 = 71 라. 퇴직관리 = 73 2. 인사고과관리 = 75 가. 인사고과의 기능 = 76 나. 인사고과의 방식과 절차 = 77 다. 인사고과의 원칙 = 80 3. 직무관리 = 82 가. 직무분석 = 82 나. 직무평가 = 92 다. 직무설계 = 96 제4장 평생교육기관의 조직관리 = 102 1. 조직의 구성과 운영원칙 = 103 가. 조직의 지향 = 103 나. 조직의 구성 = 106 다. 조직의 운영원칙 = 114 2. 조직의 관리 = 116 가. 조직변화 = 116 나. 조직문화 = 124 다. 조직관리 = 129 3. 평생교육기관의 비공식조직관리와 외부조직관리 = 133 가. 비공식조직의 관리 = 133 나. 외부조직의 관리 = 136 제5장 평생교육기관의 인적자원개발 관리 = 141 1. 인적자원개발의 개요 = 142 2. 인적자원개발의 구성 = 145 가. 개인개발 = 145 나. 경력개발 = 148 다. 수행관리 = 149 라. 조직개발 = 153 3. 인적자원개발의 실시 = 155 가. 분석 = 156 나. 교수설계 = 164 다. 학습 = 166 라. 학습전이 = 169 마. 평가 = 174 제6장 평생교육기관의 리더십 관리 = 177 1. 리더십의 이해 = 178 가. 리더십의 개념 = 178 나. 동기부여이론을 통해 보는 리더십의 실천원리 = 183 2. 조직에서의 리더십 관리 = 189 가. 리더십의 영향력 관리 = 190 나. 리더십과 갈등ㆍ스트레스의 관리 = 196 3. 리더십의 개발 = 220 가. 리더의 품성과 리더십 실천 = 220 나. 리더십 개발 경로 = 223 다. 리더십 개발 과제 = 225 제7장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관리 = 229 1. 프로그램의 차별화 관리 = 230 가. 프로그램의 개념 확장과 편익 = 230 나. 프로그램의 차별화 = 233 2. 프로그램 믹스 관리 = 236 가. 프로그램 믹스와 프로그램 라인 = 236 나. 프로그램 믹스 관리의 필요성 = 238 다. 프로그램 믹스 관리의 토대 = 240 3. 프로그램 생애주기 관리 = 250 가. 신규 프로그램 개발 관리 = 250 나. 프로그램의 생애주기 관리 = 253 다. 프로그램의 위기관리 = 256 제8장 평생교육기관의 재무관리 = 260 1. 재무관리의 이해 = 261 가. 재무관리의 환경 = 261 나. 재무관리의 기능 = 263 2. 수강료와 후원금 관리 = 270 가. 수강료 관리 = 270 나. 후원금 관리 = 277 3. 평생교육기관의 재무분석 = 280 가. 재무분석의 의의 = 280 나. 프로그램 차원의 재무분석 = 281 다. 평생교육기관 차원의 재무분석 = 286 제3부 평생교육기관의 마케팅과 환경분석 제9장 평생교육기관의 마케팅 = 295 1. 마케팅의개념 = 296 가.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철학으로서 마케팅 = 296 나. 평생교육기관의 관리활동으로서 마케팅 = 299 다. 마케팅 개념의 비교 = 300 2. 단위프로그램 개발의 마케팅 관리 = 301 가. 환경분석 = 301 나. 마케팅의 목표와 전략 = 302 다. 시장선택과 표적시장 선정 = 306 라. 마케팅 믹스 관리 = 307 3. 마케팅 믹스의 관리 = 308 가. 프로그램의 생산 관리 = 308 나. 프로그램의 가격 관리 = 313 다. 프로그램의 촉진 관리 = 319 라. 프로그램의 유통 관리 = 331 제10장 평생교육기관의 환경 분석 (1): 외부환경 분석 = 334 1. 외부환경 분석의 개요 = 335 2. 외부환경 분석의 내역 = 337 가. 거시환경 분석 = 337 나. 프로그램시장 분석 = 343 3. 학습자 세분화 분석 = 357 가. 학습자 세분화 분석의 개요 = 358 나. 학습자 세분화 분석의 실시 = 359 다. 표적학습자 선정 = 362 제11장 평생교육기관의 환경 분석 (2): 내부환경 분석 = 366 1. 내부환경 분석의 개요 = 367 2. 내부환경 분석의 내역 = 368 가. 프로그램 실태 분석 = 368 나. 경영자원 분석 = 377 3. 경쟁우위 분석 = 390 가. 경쟁우위 분석의 개요 = 390 나. 경쟁우위 분석의 내용 = 391 제12장 평생교육기관의 시장세분화와 시장성 평가 = 394 1. 시장세분화와 표적시장 = 395 가. 평생교육에서의 시장 개념 = 395 나. 시장세분화 = 397 다. 표적시장 선정 = 405 2. 시장성 평가의 내용 = 408 가. 시장성 평가의 필요성 = 408 나. 시장성 평가요인 = 410 3. 시장성 평가의 단계 = 422 가. 평가요인과 세부평가요소 결정 = 423 나. 평가요인 및 세부평가요소별 가중치 부여 = 426 다. 평가점수 부여와 종합점수 산정 = 431 라. 시장성 평가 결과 = 434 제4부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전략 제13장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전략과 경영환경 분석 = 439 1. 경영전략의 이해 = 440 가. 경영전략의 개념과 유형 = 440 나. 전략적 의사결정과 경영전략 발전 과정 = 443 다. 경영전략수립의 제도화 = 446 2. 경영환경 분석 = 452 가. 외부경영환경 분석 = 453 나. 내부경영환경 분석 = 455 다. 경쟁우위 분석 = 457 3. 경영환경 분석결과의 활용: SWOT분석을 중심으로 = 457 가. SWOT분석의 개요 = 457 나. SWOT분석의 특징 = 459 다. SWOT분석의 활용 = 461 제14장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전략 수립 = 463 1. 평생교육기관의 비전과 성장 = 464 가. 평생교육기관의 비전 = 464 나. 평생교육기관의 성장 = 469 2. 프로그램 단위 차원의 경영전략 수립 = 471 가. 평생교육기관의 성장전략 = 471 나. 프로그램 단위 차원의 경영전략 수립 = 484 3. 평생교육기관 전체 차원의 경영전략 = 487 가. 프로그램라인구조 재구축전략 = 488 나. 평생교육기관 전체 차원의 경영전략 수립 = 496 참고문헌 = 501 찾아보기 = 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