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17c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721107 | |
005 | 20120926155404 | |
007 | ta | |
008 | 120926s2012 ulk 000c kor | |
020 | ▼a 9788901149813 ▼g 03000 | |
035 | ▼a (KERIS)BIB000012913340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2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2z11 | |
100 | 1 | ▼a 박민영 ▼0 AUTH(211009)36320 |
245 | 1 0 | ▼a 인문 내공 : ▼b 인생의 품격을 높이는 읽기·쓰기·생각하기 / ▼d 박민영 지음 |
260 | ▼a 서울 : ▼b 웅진지식하우스 : ▼b 웅진씽크빅, ▼c 2012 | |
300 | ▼a 347 p. ; ▼c 22 cm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11 | 등록번호 1116756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001.3 2012z11 | 등록번호 1410809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남부럽잖은 스펙과 탄탄한 경력을 갖추었건만, 왜 무력해지는 순간이 이리도 많을까? 내가 맺는 인간관계와 복잡한 사회 문제, 어떻게 생각해야 제대로 판단할 수 있을까? 인터넷 기사만 읽다 보니 책 한 권도 읽기 힘들어진 지금, 단단하게 읽는 힘은 어떻게 기를까? 매일같이 자료 짜깁기만 하다 보니 설득력 없어진 내 글, 남의 마음을 움직이도록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모든 고민을 해결하는 열쇠, 인문학은 세상을 통찰하고 인생을 가꾸는 힘이자 생활에서 활용하는 모든 지식의 격을 한 단계 높여주는 생각의 기술이다. 이 책은 인문학의 기본인 읽기, 쓰기, 생각하기를 통해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인문 내공’을 쌓는 방법을 일러준다. 이제 내 안에 시들어가던 인문 감각을 일깨워보자. 더 이상 인문학은 범접할 수 없는 고상한 취미가 아닌, 내 삶의 문제를 판단하고 해결하는 가장 손쉬운 도구가 될 것이다.
‘인문학’이 대세지만, '제대로 된 인문학'을 찾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여러 가지 인문학 특강이나 서적을 살펴보면 대자본가의 성공을 철학적으로 미화한 것에 그치거나, 철학이며 고전을 단편적으로만 풀어낼 뿐 실제로 인문학을 어떻게 삶 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지는 빠져있는 경우가 많다.
진정으로 인문학을 배운다는 것과 그것을 삶에서 응용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인문학이 실제로 우리에게 어떤 힘을 실어준다는 것일까? 사람들은 이제껏 써먹어 온 스펙이며 스킬이 무의미해짐을 느낄 때, 머리와 가슴을 채워주는 힘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인문학을 찾게 된다. 그러나 그 힘은 인문학 특강 하나 들었다고, 책 한 권 읽었다고 바로 생기는 힘이 아니라, 스스로 단단한 기본기를 쌓아야만 몸 안에 자리 잡는 ‘내공’과 흡사하다. 내 안에 단단하게 쌓아올린 정신의 기초 체력이자 위태위태한 허공과도 같은 현실을 견디는 힘, 그것이 ‘인문 내공’이다.
인문학이나 철학에 거리감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책은 “누구에게나 ‘인문 본능’은 있다” 고 말한다. 세상을 조망하는 통찰력, 타인과 관계 맺는 힘이 다름 아닌 이 인문 본능, 삶 속의 철학이자 인문학이다.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 양껏 쌓았던 스펙이며 스킬, 인맥이 어느 순간 공허해지는 이유도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 인문적 마인드가 바탕이 되는 통찰력 없이는 그 모든 ‘기술’들이 무용지물이다. 업무든, 인간관계든, 세상사 읽기든 한 차원 위에서 조망하고 판단하는 힘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말하는 ‘내공’이다. ‘내공 있는 사람’의 삶은 그 품격이 다른 사람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여기 인문학의 중요성을 확실히 알게 해주는 것부터 시작해, 인생을 풀어내는 단단한 ‘인문 내공’을 쌓는 법까지 안내하는 인문학 공부법의 종합편을 소개한다. 이 책은 인문학을 알게 되면 ‘큰 성공을 거둔다’거나, ‘어떤 문제든 바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스티브 잡스, 빌 게이츠, 안철수와 같은 경영인들의 성과에 덧씌운 인문학의 껍질만을 받아들이거나 단편적인 인문학 강의를 듣는다고 해서 내공이 길러지는 것은 아니다. 매일의 생활과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깊은 탐구’를 시작할 때, 성공도 이룰 수 있는 한편 내공도 함께 쌓이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쉽게 읽은 만큼 쉽사리 잊히는 헐거운 ‘공부법’ 안내서가 많은 요즘, 독자를 보다 깊은 탐구의 길로 차근차근 이끄는 이 책을 권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민영(지은이)
인문 작가, 문화평론가. 대학에서 문학운동을 했으며, 졸업 후에는 인문 서적을 내는 출판사에서 편집장을 했다. 전업 작가가 된 후에는 《경향신문》, 《인물과사상》, 《교육과사색》, 《고교독서평설》 등에 사회 이슈, 인문 교양에 관한 글을 주로 썼다. 중·고교 교과서와 참고서에 다수의 글이 실렸다. ‘한겨레교육’에서 정기적으로 강의하고 있으며, 글쓰기와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독립지성in세미나(독세나)’ 대표로 있다. 저서로 『글을 쓰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반기업 인문학』, 『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그러니까 이게, 사회라고요?』, 『학교는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낭만의 소멸』, 『인문내공』, 『이즘』, 『즐거움의 가치사전』, 『책 읽는 책』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_ 가벼움이 횡행하는 시대, 인문 내공을 권하다 = 8 서장 : 삶을 돌파하는 힘, 인문 내공 = 13 인생이라는 빵, 인문학이라는 효모 = 15 내공이 있는 사람 vs 내공이 없는 사람 = 22 현실에 말을 걸 때 지적 열정이 솟아난다 = 26 누구에게나 인문 본능은 있다 = 31 호랑이 무늬와 인간의 무늬 = 37 인문학,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 42 내 방식으로 세상을 통찰하는 법 = 48 1부 공력(功力) : 지성인으로 거듭나는 생각 내공 1장 인문 감각을 틔워주는 생각의 자세 = 55 고학력 시대에 외치는 독학의 힘 = 57 남에게 의존하지 말고 내 머리로 탐구하라 = 63 세상이 축구와 비슷한 이유 = 69 헬렌 켈러가 우물가에서 지적 존재로 탄생한 사연 = 74 고통에 무관심하면 문제의식이 안 생긴다 = 79 가설 세우기의 가능성과 한계 = 85 감각의 차이가 인식의 차이를 낳는다 = 90 2장 사고력을 키우는 생각 훈련법 = 95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왜 황혼녘에 날개를 펴는가? = 97 집단의 논리를 벗어나 독립적으로 사유하기 = 103 T자형 지식인이 되는 훈련 = 108 틀에 박힌 사고를 벗어나야 진실이 보인다 = 114 똑같은 것도 다르게 표현하라 = 119 보여주지 않는 것까지 보는 방법 = 125 물을 탐구하는 물고기가 되라 = 131 2부 공감(共感) : 남의 글에서 내 생각을 발견하는 독서 내공 3장 생각의 기둥을 만드는 인문적 책읽기 = 139 책을 읽어야 하는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이유 = 141 디지털의 늪에 빠진 내 정신 구하기 = 148 독서하기 좋은 환경과 습관 = 153 책 고를 때, 내 욕구를 먼저 들여다보라 = 159 메모하며 읽으면 남의 책도 내 책이 된다 = 164 신뢰할 수 있는 책의 조건 = 169 좋은 번역서 고르는 방법 = 174 지성의 도약을 낳는 네트워크 독서법 = 180 3부 공명(共鳴) : 세상과 나 사이에 울림을 만드는 글쓰기 내공 4장 글쓰기 콤플렉스를 없애는 준비운동 = 189 하버드대생이 글을 잘 쓰고 싶어 하는 이유 = 191 고립과 소통, 그 사이에서 튀는 정신의 불꽃 = 197 글쓰기의 고통과 즐거움 = 202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글쓰기 = 208 인문적 글쓰기의 다섯 가지 유형 = 214 '한 숟갈' 글쓰기와 '양피지' 글쓰기 = 238 글쓰기의 8할은 자료다 = 242 공적 매체에 글을 써서 보낸다는 것 = 247 내 이름으로 된 책을 출간한다는 것 = 252 5장 글의 품격을 높이는 실전 노하우 = 259 글의 틀 세우는 방법 = 261 독서할 때 유용한 메모법 나만의 자료 정리법 글 구성하기 - 자료 뽑고, 묶고, 순서 정하기 일정한 두께로 문단 나누기 일고 싶게 만드는 차례 구성법 알맞은 제목 붙이는 법 강한 문장 구사하는 방법 = 275 지저분한 문장, 단정하게 다듬기 지루한 문장에 긴장감 주기 복문을 단문으로 바꾸기 감정적 표현 절제하기 상투적이 표현 경계하기 이심전심의 글쓰기는 위험하다 문장의 객관성 높이기 잘 버리는 퇴고의 기술 종장 : 인문 내공으로 현대 사회 읽기 = 303 지금의 인문학 열풍이 불편한 이유 = 305 현대 문명의 위기, 무엇으로 극복해야 할까 = 311 도구화된 이성은 어떻게 사회적 재앙을 부르는가 = 316 노동과 지식의 분할이 낳는 무책임 = 321 세계화, 내 불안과 무기력의 주범 = 326 민주주의를 사고파는 자본 권력 따져보기 = 331 불로소득의 경제, 금융자본주의는 붕괴할 것인가 = 336 환경 파괴, 그 보이지 않는 위험에 대하여 =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