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한국행정의 위기와 문화
제1장 한국행정학의 위기와 조직학 연구
Ⅰ. 서론 = 12
Ⅱ. 한국행정학 위기의 내용과 원인 = 14
Ⅲ. 한국조직학 연구의 반성 = 23
Ⅳ. 한국조직학 연구의 과제 = 31
Ⅴ. 결론 = 32
제2장 한국의 행정문화
Ⅰ. 개요 = 34
Ⅱ. 제1기 : 발굴기(1960년대 말∼1970년대 말) = 35
Ⅲ. 제2기 : 반발기(1980년대∼1990년대) = 40
Ⅳ. 제3기 : 확산기(1990년대 말∼ ) = 43
Ⅴ. 과제와 전망 = 49
제2편 조직문화
제3장 조직문화와 경쟁가치모형
Ⅰ. 한국행정문화연구의 방향전환 = 52
Ⅱ. 한국행정문화연구의 비판과 그 원인 및 해결방안 = 53
Ⅲ. 경쟁가치모형의 조직문화 = 57
Ⅳ. 한국행정문화연구의 비판과 경쟁가치모형의 조직문화 = 61
Ⅴ. 경쟁가치모형의 조직문화척도 실례 = 66
Ⅵ. 결론 = 68
제4장 행정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
Ⅰ. 서론 = 70
Ⅱ. 조직 간, 부서 간 조직문화 비교 = 71
Ⅲ.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 73
Ⅳ. 조직문화 강도와 조직몰입, 직무만족 = 77
Ⅴ. 조사방법 = 79
Ⅵ. 분석결과 및 논의 = 80
Ⅶ. 결론 = 87
제5장 행정조직과 기업조직의 조직문화 비교
Ⅰ. 서론 = 89
Ⅱ. 조직문화의 유형과 강도의 비교 = 91
Ⅲ.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비교 = 95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101
Ⅴ. 결론 = 106
제3편 조직구조
제6장 관료제와 팀제
Ⅰ. 서론 = 110
Ⅱ. 관료제 = 111
Ⅲ. 팀제 = 115
Ⅳ. 행정이념의 유형과 실용주의의 특성 = 117
Ⅴ. 관료제와 팀제의 비교 = 120
Ⅵ. 한국공공조직에서 팀제의 실상 = 126
Ⅶ. 결론 = 128
제7장 조직구조와 조직효과성
Ⅰ. 서론 = 129
Ⅱ. 조직구조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 131
Ⅲ. 전제와 가설 = 139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147
Ⅴ. 결론 = 157
제4편 리더십
제8장 변혁적ㆍ거래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Ⅰ. 서론 = 160
Ⅱ.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 162
Ⅲ.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 163
Ⅳ. 거래적ㆍ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 비교 = 166
Ⅴ. 거래적ㆍ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조절변수 = 168
Ⅵ. 변수측정과 자료수집 = 172
Ⅶ. 분석결과 및 논의 = 173
Ⅷ. 결론 = 179
제9장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
Ⅰ. 서론 = 181
Ⅱ. 리더십 유형들 간 구분가능성 = 182
Ⅲ. 전통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 = 184
Ⅳ. 바람직한 리더십 모형 = 187
Ⅴ. 공ㆍ사조직 간 비교 = 190
Ⅵ. 조사방법 = 194
Ⅶ. 분석결과 및 논의 = 195
Ⅷ. 결론 = 200
제10장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적합관계
Ⅰ. 리더십과 조직문화 = 202
Ⅱ.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적합성과 조직효과성 : 기존연구의 검토 = 205
Ⅲ.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적합성과 조직효과성 : 연구모형 = 211
Ⅳ. 대책과 한계 = 220
제5편 갈등
제11장 갈등과 신뢰 및 조직효과성
Ⅰ. 서론 = 226
Ⅱ. 갈등과 조직효과성 = 228
Ⅲ. 갈등과 신뢰 = 236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238
Ⅴ. 결론 = 249
제12장 갈등의 유형과 관리방식
Ⅰ. 서론 = 251
Ⅱ. 갈등의 유형과 관리방식 = 252
Ⅲ. 갈등유형과 갈등관리방식의 관계 = 257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263
Ⅴ. 결론 = 274
제13장 문화성향과 갈등관리방식
Ⅰ. 서론 = 276
Ⅱ. 문화성향과 갈등관리방식 = 278
Ⅲ. 문화성향이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 282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289
Ⅴ. 결론 = 295
제6편 공무원 행태
제14장 신뢰와 조직몰입
Ⅰ. 조직내 신뢰의 위상과 의미 = 300
Ⅱ. 조직관리형태와 신뢰 = 302
Ⅲ. 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 = 304
Ⅳ.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 = 306
Ⅴ. 공ㆍ사조직 간 신뢰와 조직몰입의 관계 비교 = 311
Ⅵ. 변수측정과 자료수집 = 312
Ⅶ. 분석결과 및 논의 = 313
Ⅷ. 결론 = 316
제15장 공무원과 회사원의 무사안일 비교
Ⅰ. 서론 = 318
Ⅱ. 공ㆍ사조직의 구분과 비교 = 319
Ⅲ. 공무원과 회사원의 무사안일형태의 차이 = 321
Ⅳ. 조사설계 및 분석결과 = 323
Ⅴ. 논의 : 차이의 원인 = 327
Ⅵ. 결론 = 337
제7편 행정윤리와 부패
제16장 윤리풍토와 조직효과성
Ⅰ. 서론 = 340
Ⅱ. 윤리풍토의 분류와 내용 = 341
Ⅲ. Hunt의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 344
Ⅳ. Victor&Cullen의 윤리풍토와 조직몰입, 직무만족의 관계 = 348
Ⅴ. 분석결과 및 논의 = 353
Ⅵ. 결론 = 364
제17장 공무원 윤리수준의 영향요인
Ⅰ. 서론 = 366
Ⅱ. 윤리적 판단의 영향요인 :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 = 368
Ⅲ.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윤리수준에 미치는 영향 = 369
Ⅳ.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의 비교 = 376
Ⅴ. 분석결과 및 논의 = 379
Ⅵ. 결론 = 387
제18장 남성과 여성 공무원의 윤리수준 비교
Ⅰ. 서론 = 390
Ⅱ. 남성과 여성의 윤리 비교 : 이론고찰 = 392
Ⅲ. 남성과 여성 공무원의 윤리적 판단 비교 = 398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403
Ⅴ. 결론 = 409
제19장 한국과 미국의 공무원 부패행태 비교
Ⅰ. 관료부패의 개념과 행정풍토의 차원 = 411
Ⅱ. 행정풍토가 관료부패행태에 미치는 영향 = 412
Ⅲ. 한국과 미국의 비교 = 418
Ⅳ. 변수측정과 자료수집 = 423
Ⅴ. 분석결과 및 논의 = 425
Ⅵ. 결론 = 428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