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0n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720254 | |
005 | 20120920154143 | |
007 | ta | |
008 | 120919s2012 ggk 000c kor | |
020 | ▼a 9788950938789 ▼g 033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9.519 ▼2 22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12z3 | |
245 | 0 0 | ▼a 스마트 교육 혁명 : ▼b 2015, 새로운 학교가 온다! / ▼d 천세영 [외] 지음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12 | |
300 | ▼a 207 p. ; ▼c 23 cm | |
440 | 0 0 | ▼a KI신서 ; ▼v 4028 |
500 | ▼a 공저자: 김진숙, 계보경, 정순원, 정광훈 | |
700 | 1 | ▼a 천세영, ▼e 저 ▼0 AUTH(211009)140089 |
700 | 1 | ▼a 김진숙, ▼e 저 |
700 | 1 | ▼a 계보경, ▼e 저 ▼0 AUTH(211009)105278 |
700 | 1 | ▼a 정순원, ▼e 저 ▼0 AUTH(211009)115009 |
700 | 1 | ▼a 정광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53 2012z3 | Accession No. 11167512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위기에 빠진 우리 자녀들과 대한민국 교육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는 무엇이 변해야 할까? 이 책의 저자들은 ‘기존의 1%만을 위한 엘리트 교육을 지속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스마트한 세상이 열린다며 각종 언론 매체가 주목하는데, 이에 발맞춰 학교도 스마트해져야 하는 것 아닐까?’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를 바꾸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이야기한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보다 스마트한 교과서와 아이들이 다양한 꿈을 이룰 수 있게 스마트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 그것이 바로 스마트 교육이 이루고자 하는 바다. 대학을 가든 가지 않든,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선택해서 공부를 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 스스로 얼마나 만족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가느냐가 성공의 기준이 될 것이다.
학교 가기 싫어하는 아이들, 공부가 즐겁지 않은 아이들
이대로라면 대한민국 교육에 미래는 없다!
요즘 아이들의 일상은 기성세대가 자라왔던 시절과는 너무나도 다르다. 친구들과 마음껏 뛰어 놀거나 꿈을 펼치는 것 대신 초등학교 때부터 이미 모든 학원을 섭렵하고, 하루 24시간, 일주일 내내 공부에만 얽매여 있다. ‘시험성적’이라는 하나의 기준에 따라 줄을 세우고 등급을 나눈, 소위 말하는 좋은 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다. 그러다 보니 모든 아이들의 목표는 등수 올리기 혹은 점수 올리기가 되었고, 학교에서도 역시 아이들이 원하는 공부가 아닌 더 좋은 학교나 더 좋은 전공을 위한 것들에 치중했다. 그리고 공부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와 압박감에 지친 일부 아이들은 결국 스스로 꽃다운 목숨을 내던지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위기에 빠진 우리 자녀들과 대한민국 교육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는 무엇이 변해야 할까?『스마트 교육 혁명』(21세기북스 펴냄, 천세영 외 지음)은 바로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이 책의 저자들은 ‘기존의 1%만을 위한 엘리트 교육을 지속하는 것이 과연 옳은가?’ ‘스마트한 세상이 열린다며 각종 언론 매체가 주목하는데, 이에 발맞춰 학교도 스마트해져야 하는 것 아닐까?’라는 물음에 대한 답으로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를 바꾸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이야기한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보다 스마트한 교과서와 아이들이 다양한 꿈을 이룰 수 있게 스마트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 그것이 바로 스마트 교육이 이루고자 하는 바다.
교과서만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소통하는 시대는 갔다
스마트 교육으로 내 아이의 꿈을 완성하라!
지금까지 우리 부모님 세대들은 자녀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는 상관없이, 어느 대학이든 반드시 보내야 한다는 마음으로 자녀들을 교육시켰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자녀가 좋은 고등학교, 좋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좋은 회사에 취직해서 높은 연봉을 받는 것이 성공의 기준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으로 성공의 기준은 이와는 많이 다를 것이다. 대학을 가든 가지 않든, 자신이 원하는 분야를 선택해서 공부를 하고,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 스스로 얼마나 만족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가느냐가 성공의 기준이 될 것이다. 문화적으로도 그런 개인을 존중하고, 경제적으로도 더 많이 보상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될 것이다. 즉, 학교에서 배우는 공부를 하지 못해도 모두가 엘리트가 될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의 1부에서는 ‘교육을 혁명하라, 학교를 바꿔라!’는 것을 주제로 삼았다. 글로벌 시대이자 창의성이 중요시되는 이 시대에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키워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다양한 실험을 하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파트에서는 현재 우리 교육의 문제점을 짚어 본 후, 스마트 교육이 가져올 변화와 국내외의 스마트 학교의 사례 등 스마트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로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2부에서는 ‘21세기 인재를 기르는 스마트 교육’을 주제로 삼았다. 이 파트에서는 디지털 시대가 원하는 미래의 인재상 변화, 스마트 교육으로 교육 환경이 변화할 때 부모와 교사는 어떤 마인드로 전환하여 아이들을 지도해야 하는지 등을 상세하게 담아내 디지털 교육 환경에 대해 가장 걱정하고 있는 부모들을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게끔 설득하고 있다. 3부에서는 우리나라 곳곳의 학교에서 여러 교사들이 체험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의 현장들을 찾아가 본다. 멀리 떨어진 낙도의 아이들이 만나게 될 남극 세종 과학 기지의 과학자, 아프리카의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세렝게티 초원의 사자 이야기가 스마트 교실에서 흥미롭게 펼쳐질 것이다.
변화 속에 있을 때는 변화의 흐름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불과 5년 전, 10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의 생활은 얼마나 달라졌는가. 이제 우리는 작은 단말기 하나로 전 세계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지금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믿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새로운 시대가 원하는 인재는 좀 더 감성적이고, 뛰어난 공감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혹은 공부 잘하는 학생보다는 잘 노는 학생을 선호할지도 모른다. 2015년 디지털 교과서가 아이들의 손에 들려질 때, 우리는 새로운 학교를 만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천세영(지은이)
제주도 추자에서 1956년에 났고 신양초 제주일중 배재고를 거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 공부를 하였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한국교육개발원을 거쳐 2021년 8월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정년하기까지 평생 동안 교육을 연구하고 후학을 가르쳤다. 스마트교육학회를 창립하고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장을 역임하는 등 많은 학술단체의 임원과 세계화교육문화재단 대표 이외의 여러 민간사회단체에서 봉사하였다.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서 미국 피츠버그대학 및 조지메이슨 대학의 방문학자로서 OECD교육지표사업 자문관으로서 또한 니카라과와 미얀마 등 많은 개발도상국의 교육개발협력사업 등 활발한 국제 활동에 참여하였다. 대한민국 대통령실 교육비서관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가교육정책의 형성과 실행 과정에도 깊이 관여하였다. 30여편 이상의 단독/공저 저서와 160편 이상의 국내외 학술논문을 출판하였고 40여명의 박사 제자를 배출하였다.
김진숙(지은이)
현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스마트교육R&D본부장을 맡고 있다. 1990년대 초 컴퓨터교육, 2000년대 초 멀티미디어교육, 2012년 스마트 교육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교육정보화 정책 지원 연구와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계보경(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 석사, 박사 한국교육방송원 부설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 연구원 (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선임연구원
정순원(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교육학사) 성균관대학교 법학과(법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교육학석사, 법학박사) 현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위원 21세기 교육을 받을 권리의 개념과 법적 성격(교육법학연구 제33권 제3호, 2019) 외 다수
정광훈(지은이)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사이버교육체제, 정보소양인증제, 에듀넷 운영, 교원 연수과정 등의 연구와 개발을 담당했다. 현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온라인수업평가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디지털교과서 연구와 개발, 온라인수업 제도의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프롤로그 : 스마트 교육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 8 1부 2015년, 교육을 혁명하라! 01 교실 이데아 = 17 지금 우리 교육은 스마트한가 디지털 세대가 원하는 교육 디지털 세대는 교과서를 뛰어넘는다 1등 없는 교육이 시작된다 국ㆍ영ㆍ수가 중요하던 시대는 갔다 02 우리 교육, 이것이 문제다 = 29 우리 교육은 재미가 없다? 우리 교육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 우리 교육은 결과만 중요하다? 우리 교육은 학벌을 중요시한다? 03 교육 혁명의 물꼬를 터라 = 38 학교가 사라진다? 사회와 학교의 경계가 무너지다 학교를 재정의하다 학습이 된 놀이, 놀이가 된 학습 부모의 마인드 변화가 먼저다 교사는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도와주는 사람 본연의 교육으로 돌아가자 04 세계는 이렇게 변하고 있다 = 60 미국의 NETP 2010 핀란드의 이노스쿨 일본의 FSP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퓨처스쿨 호주의 스마트 교실 [쉬어 가기] 디지털 기술은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 74 2부 21세기형 인재를 기르는 스마트 교육 05 미래는 어떤 인재를 원하는가 = 81 성공의 기준이 변하고 있다 세상과 자유롭게 소통하라 실전형 기술을 보유하라 21세기형 인재가 가져야 할 5C 06 아이가 행복한 교실 혁명, 스마트 교육 = 93 스마트 교육은 개인별 맞춤형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모두에게 기회를 주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스스로 선택하는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은 지식과 소통하는 교육이다 07 스마트 교육, 무엇이 핵심인가 = 105 'SMART' 교육이란 스마트 교육의 핵심은 기술이 아닌 교육이다 스마트 교육의 세 가지 기본 관점 스마트 교육의 5대 과제 스마트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쉬어 가기] 우리 아이들은 어떤 교실에서 학습해야 하는가 = 120 3부 디지털 시대, 스마트 교육으로 완성하라! 08 스마트 교육을 통한 다섯 가지 변화 = 127 모든 지식이 담긴 디지털 교과서의 시대 누구나 듣고, 제대로 평가하는 교육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교육 자유로운 교육을 위한 법과 제도 스마트한 교사의 탄생 09 스마트 교육 시대를 여는 디지털 교과서 = 143 디지털 교과서란 무엇인가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해야 하는 세 가지 이유 상상했던 것이 현실이 되다 기존 교육이 갖고 있던 한계를 뛰어넘다 제대로 된 콘텐츠 오픈 마켓이 필요하다 10 즐겁게 배우는 스마트 교실 = 162 세상과 교실의 경계를 허물다 - 통합 교실 수업 소통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다 - 창의 체험 활동 수업 스마트한 소통이 학습의 질을 높인다 - 일반/특별 교실 수업 11 모두에게 열려 있는 온라인 수업 = 182 배우고 싶은 것을 배우게 하다 - 미개설 과목 온라인 수업 학교를 옮겨도 문제 없이 - 집중 이수 수업으로 인한 미이수 과목의 온라인 수업 학교에 가지 못해도 - 원격 화상 온라인 수업 학원보다 더 다양한 수업 기회를 - 방과후 보충 심화 수업 [쉬어 가기] 열린 공간, 자유로운 선택 - 사이버가정학습 = 198 에필로그 : 스마트 교육이 만드는 미래 =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