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이란 무엇인가 (Loan 7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신창호 申昌鎬
Title Statement
교육이란 무엇인가 / 신창호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동문사,   2012  
Physical Medium
325 p. : 삽화 ; 26 cm
ISBN
9788982515347
General Note
부록: 〈대한민국 헌법〉중 교육관련 조항, 교육기본법, 서울특별시 학생인권조례  
이 책은 2009년 발행된 <교육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꾸민 것임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3-314)과 색인수록
000 00827namcc2200265 c 4500
001 000045720200
005 20121018141859
007 ta
008 120919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82515347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0 ▼2 23
085 ▼a 370 ▼2 DDCK
090 ▼a 370 ▼b 2012z3
100 1 ▼a 신창호 ▼g 申昌鎬 ▼0 AUTH(211009)116970
245 1 0 ▼a 교육이란 무엇인가 / ▼d 신창호 저
246 1 1 ▼a What is the education?
260 ▼a 서울 : ▼b 동문사, ▼c 2012
300 ▼a 325 p. : ▼b 삽화 ; ▼c 26 cm
500 ▼a 부록: 〈대한민국 헌법〉중 교육관련 조항, 교육기본법, 서울특별시 학생인권조례
500 ▼a 이 책은 2009년 발행된 <교육의 이해>를 바탕으로 새롭게 꾸민 것임
504 ▼a 참고문헌(p. 303-314)과 색인수록
740 2 ▼a 교육의 이해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0 2012z3 Accession No. 11167531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0 2012z3 Accession No. 1116774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신창호(지은이)

<교육학개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CHAPTER 1 나에게 교육받을 권리가 있는가? = 11
 1 교육받을 권리 = 12
 2 교육 법률주의, 혹은 교육 법치주의 = 14
CHAPTER 2 교육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 17
 1 '교육'이라는 언표에 담긴 뜻 = 19
  1) 한자문화권에서의 교육(敎育) = 19
  2) 한글 : '가르치고 기르다' = 23
  3) 서구어 : 파이데이아, 에튜케이션, 페다고지, 빌둥 = 26
  4) 한자 문명권에서 '교육(敎育)'의 맥락 = 29
  5) '교육'과 비슷한 뜻을 지는 '용어' = 31
 2 교육을 정의하는 다양한 관점 = 33
  1) 교육의 정의 = 33
  2) 여러 사상가의 교육관 = 36
CHAPTER 3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 51
 1 인간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54
  1) 인간의 교육가능성과 한계성 = 54
  2) 교육의 필요성 = 56
 2 교육의 본질과 작용 = 61
  1) 교육의 이념 = 61
  2) 교육의 목적 = 63
  3) 교육 작용의 본질 = 65
CHAPTER 4 교육은 언제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 69
 1 교육공간의 확대 = 72
  1) 가정 = 72
  2) 학교 = 76
  3) 직장 = 81
  4) 사회기관 = 83
  5) 가상공간 : 인터넷 사이버 = 86
 2 교육시간의 연장 = 88
  1) 평상학습교육의 등장 = 88
  2) 평생학습교육의 의미 = 90
CHAPTER 5 교육의 핵심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 95
 1 교사 = 98
  1) 교사와 교직을 바라보는 관점 = 98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그리고 임무 = 101
  3) 교사의 권리와 의무 = 104
 2 학생 = 108
  1) 동아시아의 전통적 아동관 = 108
  2) 서구 심리학의 학습자 이해 = 112
  3) 학생인권 문제의 등장 = 116
 3 교육내용 = 122
  1) 교육내용의 의미 = 122
  2) 교육내용의 선정기준 = 124
 4 교사-학생 관계 = 125
  1) 인격적으로 친교를 맺어야 한다 = 126
  2) 길을 함께 걷는 동반자 의식이 요청된다 = 127
  3) 상호 포용하는 관계여야 한다 = 128
  4) 자신을 개방하고 상대를 믿어야 한다 = 128
  5) 각각의 개성을 조화롭게 만들어야 한다 = 129
  6) 대화를 통해 진정하게 만나야 한다 = 130
CHAPTER 6 창의적 인재 육성은 가능한가? = 133
 1 개인적 특성으로서 창의성 = 135
  1)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 = 136
  2) 창의성의 수준 = 140
  3) 과정으로서의 창의성 = 142
 2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강조한 창의성 = 144
 3 창의성의 구성요소 = 147
  1) 인지적 요소 = 148
  2) 개인적 성향 = 149
  3) 환경조건 = 150
 4 창의적 주도성 = 152
  1) 자기 주도능력의 개념 = 152
  2) 자기 주도능력의 핵심요소 = 153
  3) 자기 주도능력을 추동하는 힘 = 156
CHAPTER 7 지도성은 함양할 수 있는가? = 159
 1 교육에서 지도성 = 161
  1) 지도성의 본질 = 161
  2) 지도성의 필요성 = 164
 2 지도자의 유형 = 171
  1) 권위주의형 = 171
  2) 행동주의형 = 178
  3) 상황적합형 = 182
  4) 관계 배려형 = 187
 3 지도성 함양의 원칙 = 190
  1) 동기부여 = 190
  2) 의사소통 = 195
  3) 책무수행 = 202
  4) 신뢰획득 = 209
 4 지도성 함양의 실제 = 213
  1) 3차원 지도성 = 213
  2) 효과성을 근거로 한 지도성 = 215
  3) 지도성의 실제 = 217
CHAPTER 8 교육의 시대정신은 어디에 있는가? = 219
 1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와 교육 = 222
 2 탈근대화 교육 = 228
 3 여성교육과 양성평등교육 = 230
 4 다문화교육 = 233
 5 생태주의와 교육 = 236
 6 인문학과 교육 = 238
CHAPTER 9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인재양성인가? = 241
 1 '인재' 개념의 이해 = 244
 2 한국의 전통교육과 인재양성 = 246
 3 경제개발과 한국의 인재양성 = 250
 4 글로벌시대, 인재양성의 동향 = 254
 5 인재양성의 교육적 맥락 = 258
부록 = 263
참고문헌 = 303
찾아보기 = 31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