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CHAPTER 1 나에게 교육받을 권리가 있는가? = 11
1 교육받을 권리 = 12
2 교육 법률주의, 혹은 교육 법치주의 = 14
CHAPTER 2 교육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 17
1 '교육'이라는 언표에 담긴 뜻 = 19
1) 한자문화권에서의 교육(敎育) = 19
2) 한글 : '가르치고 기르다' = 23
3) 서구어 : 파이데이아, 에튜케이션, 페다고지, 빌둥 = 26
4) 한자 문명권에서 '교육(敎育)'의 맥락 = 29
5) '교육'과 비슷한 뜻을 지는 '용어' = 31
2 교육을 정의하는 다양한 관점 = 33
1) 교육의 정의 = 33
2) 여러 사상가의 교육관 = 36
CHAPTER 3 교육의 본질은 무엇인가? = 51
1 인간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54
1) 인간의 교육가능성과 한계성 = 54
2) 교육의 필요성 = 56
2 교육의 본질과 작용 = 61
1) 교육의 이념 = 61
2) 교육의 목적 = 63
3) 교육 작용의 본질 = 65
CHAPTER 4 교육은 언제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 69
1 교육공간의 확대 = 72
1) 가정 = 72
2) 학교 = 76
3) 직장 = 81
4) 사회기관 = 83
5) 가상공간 : 인터넷 사이버 = 86
2 교육시간의 연장 = 88
1) 평상학습교육의 등장 = 88
2) 평생학습교육의 의미 = 90
CHAPTER 5 교육의 핵심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 95
1 교사 = 98
1) 교사와 교직을 바라보는 관점 = 98
2) 교사의 자질과 역할, 그리고 임무 = 101
3) 교사의 권리와 의무 = 104
2 학생 = 108
1) 동아시아의 전통적 아동관 = 108
2) 서구 심리학의 학습자 이해 = 112
3) 학생인권 문제의 등장 = 116
3 교육내용 = 122
1) 교육내용의 의미 = 122
2) 교육내용의 선정기준 = 124
4 교사-학생 관계 = 125
1) 인격적으로 친교를 맺어야 한다 = 126
2) 길을 함께 걷는 동반자 의식이 요청된다 = 127
3) 상호 포용하는 관계여야 한다 = 128
4) 자신을 개방하고 상대를 믿어야 한다 = 128
5) 각각의 개성을 조화롭게 만들어야 한다 = 129
6) 대화를 통해 진정하게 만나야 한다 = 130
CHAPTER 6 창의적 인재 육성은 가능한가? = 133
1 개인적 특성으로서 창의성 = 135
1)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 = 136
2) 창의성의 수준 = 140
3) 과정으로서의 창의성 = 142
2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강조한 창의성 = 144
3 창의성의 구성요소 = 147
1) 인지적 요소 = 148
2) 개인적 성향 = 149
3) 환경조건 = 150
4 창의적 주도성 = 152
1) 자기 주도능력의 개념 = 152
2) 자기 주도능력의 핵심요소 = 153
3) 자기 주도능력을 추동하는 힘 = 156
CHAPTER 7 지도성은 함양할 수 있는가? = 159
1 교육에서 지도성 = 161
1) 지도성의 본질 = 161
2) 지도성의 필요성 = 164
2 지도자의 유형 = 171
1) 권위주의형 = 171
2) 행동주의형 = 178
3) 상황적합형 = 182
4) 관계 배려형 = 187
3 지도성 함양의 원칙 = 190
1) 동기부여 = 190
2) 의사소통 = 195
3) 책무수행 = 202
4) 신뢰획득 = 209
4 지도성 함양의 실제 = 213
1) 3차원 지도성 = 213
2) 효과성을 근거로 한 지도성 = 215
3) 지도성의 실제 = 217
CHAPTER 8 교육의 시대정신은 어디에 있는가? = 219
1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와 교육 = 222
2 탈근대화 교육 = 228
3 여성교육과 양성평등교육 = 230
4 다문화교육 = 233
5 생태주의와 교육 = 236
6 인문학과 교육 = 238
CHAPTER 9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인재양성인가? = 241
1 '인재' 개념의 이해 = 244
2 한국의 전통교육과 인재양성 = 246
3 경제개발과 한국의 인재양성 = 250
4 글로벌시대, 인재양성의 동향 = 254
5 인재양성의 교육적 맥락 = 258
부록 = 263
참고문헌 = 303
찾아보기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