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307camcc2200421 c 4500 | |
001 | 000045720197 | |
005 | 20121206172836 | |
007 | ta | |
008 | 120919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979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554354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150 ▼2 23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11z18 | |
100 | 1 | ▼a Schacter, Daniel L. ▼0 AUTH(211009)125742 |
245 | 1 0 | ▼a 심리학 입문 / ▼d Daniel L. Schacter, ▼e Daniel T. Gilbert, ▼e Daniel M. Wegner 지음 ; ▼e 민경환 [외] 옮김 |
246 | 1 9 | ▼a Introducing psychology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1 ▼g (2012) | |
300 | ▼a xix, 658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8 cm | |
500 | ▼a 공역자: 김명선, 김영진, 남기덕, 박창호, 이옥경, 이주일, 이창환, 정경미 | |
500 | ▼a 부록: 심리학을 위한 통계학 | |
504 | ▼a 참고문헌(p. [621]-65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ogy |
700 | 1 | ▼a Gilbert, Daniel Todd, ▼e 저 ▼0 AUTH(211009)75040 |
700 | 1 | ▼a Wegner, Daniel M., ▼d 1948-, ▼e 저 ▼0 AUTH(211009)101456 |
700 | 1 | ▼a 민경환, ▼e 역 ▼0 AUTH(211009)13729 |
700 | 1 | ▼a 김명선, ▼e 역 ▼0 AUTH(211009)133274 |
700 | 1 | ▼a 김영진, ▼e 역 ▼0 AUTH(211009)6032 |
700 | 1 | ▼a 남기덕, ▼e 역 ▼0 AUTH(211009)142179 |
700 | 1 | ▼a 박창호, ▼e 역 ▼0 AUTH(211009)67668 |
700 | 1 | ▼a 이옥경, ▼e 역 ▼0 AUTH(211009)141083 |
700 | 1 | ▼a 이주일, ▼e 역 ▼0 AUTH(211009)6289 |
700 | 1 | ▼a 이창환, ▼e 역 ▼0 AUTH(211009)65507 |
700 | 1 | ▼a 정경미, ▼e 역 ▼0 AUTH(211009)114169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1z18 | 등록번호 1116753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1z18 | 등록번호 1116819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1z18 | 등록번호 1116920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Daniel L. Schacter(지은이)
하버드대학교 심리학과 William R. Kenan, Jr 교수이다. 채플 힐에 위치한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그때부터 여러 종류의 뇌 손상과 연계된 실어증상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후 토론토대학교에서 연구와 교육을 계속하여, 그 곳에서 1981년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1987년 애리조나대학교 심리학과에 합류할 때까지, 6년 동안 토론토대학교에서 교수로 복무하였다. 1991년에 하버드대학교 교수로 이동하였다. 그는 의식과 무의식적인 기억형태 간의 관계, 기억의 왜곡과 오류의 본질, 기억을 활용한 미래사건 심상화 등을 탐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의 많은 연구들은 1996년에 발간된 기억을 찾아서:두뇌, 마음 및 과거(Searching for Memory: Th e Brain, the Mind, and the Past), 2001년에 발간된 기억의 일곱 가지 죄악:마음의 망각과 기억(The Seven Sins of Memory: How the Mind Forgets and Remembers)으로 출간되었으며, 두 책 모두 미국심리학회에서 수여하는 윌리엄 제임스 기념상을 받았다. Schacter는 다수의 우수 교수상과 연구상을 수상하였는데, 미국실험심리학회에서 수여하는 하버드 레드클리프 파이베타카파 교수상과 워렌 메달을 수상하였고, 미국심리학회가 수여하는 우수 과학공로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에는 국립 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대니얼 웨그너(지은이)
하버드대학교의 윌리엄 제임스 기념 존 린슬리(John Lindsley) 심리학 교수이며 미국심리학회 2011년 우수과학공로상, 심리과학협회 2011년 윌리엄 제임스 회원상, 실험사회심리학회 2011년 우수과학자상을 수상했다. 그는 《의식적 의지의 착각(The Illusion of Conscious Will)》을 비롯해 여러 책을 썼으며, 《신과 개와 인간의 마음》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2013년 눈을 감았다. ⓒ Daniel Gilbert
Daniel T. Gilbert(지은이)
하버드대학교 심리학 교수이다. 덴버 커뮤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덴버 콜로라도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5년에서 1996년까지 오스틴 소재 텍사스대학교에서 교육을 하다가 1996년에 하버드대학교 교수로 합류하였다. 소장학자로서 심리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심리학회 우수 과학자상을 수상하였고, 파이베타카파 교육상과 하버드대학 교수상을 비롯한 다수의 교육상을 수상하였다. 그의 연구 관심사는 미래 사건에 대해 정서적으로 반응할 때 인간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현명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그는 국제적으로 베스트셀러가 된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Stumbling on Happiness)』의 저자이며, 이 책은 그해 발간된 가장 대중적인 과학 도서에 수여되는 영국왕립학회 일반부문 도서상을 수상하였다. 그는 PBS에서 방영되는 TV 시리즈물인 “이것이 정서적인 삶이다(This Emotional Life)”의 진행자이며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
이주일(옮긴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 현재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박창호(옮긴이)
형태, 문자나 사물의 지각과정과, 여기에 개입하는 주의 작용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인지심리학의 응용으로서 인지학습, 인간 오류 및 디자인 문제도 종종 다룬다. 현재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며, 한국 인지 및 생물 심리학회의 편집위원장과 학회장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여러 동료 학자와 함께 <인지학습심리학>(2011), <인지심리학>(2009), <실험심리학 용어사전>(2008), <인지공학심리학>(2007) 등을 저술하였으며, <디자인과 인간 심리>(2016), <감각 및 지각>(2015), <미래 세상의 디자인>(2009), <공학심리학>(2003) 등을 번역하였다.
민경환(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석사 미국 워싱턴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 2016년 현재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남기덕(옮긴이)
육군사관학교 중어학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석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어바나-샴페인) 심리학 박사 현재 육군사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정경미(옮긴이)
임상심리학 박사로 현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 재직 중이며,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자매기관이자 발달장애치료 전문기관인 케네디크리거센터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쳤고, 미국응용행동분석 전문가(BCBA) 자격증을 가지고 있다. 응용행동분석 전문가 양성을 위해 2014년부터 연세대학교부설 미래교육원에서 미국 BACB에서 인준받은 BCBA와 BCaBA 비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 및 사설 기관에 교육 및 자문을 하고 있다. 주 연구 관심사는 응용행동분석에 기반한 문제행동의 치료와 문제행동 예방을 위한 부모 교육이며, 그 밖에 비만, 당뇨, 심혈관질환, 배뇨장애 등 만성질환의 행동개선뿐 아니라 자기관리행동의 기제규명과 개선방법연구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옥경(옮긴이)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석사 미국 워싱턴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김영진(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석사 미국 켄트주립대학교 심리학 박사 현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김명선(옮긴이)
1993년 미국 조지아대학교(Athens)에서 신경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BK21 인간생명과학연구단에서 박사후 과정을 마쳤고, 2003년부터 현재까지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신경심리 검사,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 ERPs), sLORETA를 포함한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s를 사용하여 정신장애 환자에서 관찰되는 인지기능의 장애와 이와 관련되는 신경기전의 이상을 주로 연구하였다. 최근에는 조현병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지기능 특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인지기능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인지 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교육과학부의 뇌 프론티어 사업에 참여하였고, 현재 뇌인지과학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임상심리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한국심리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정회원이다. 저서와 역서로는 인지『신경과학과 신경심리학』, 『임상 및 실험신경심리학』 등 6권을 출간하였으며, 학술논문은 국제학술지(SCI)에 30편, 국내학술지(KCI)에 30여 편을 발표하였다.
이창환(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미국 텍사스대학교 심리학 석·박사 Haskins Laboratories 박사급 연구원 현재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목차
목차 제1장 심리학 : 과학의 진화 = 1 심리학의 뿌리 : 마음의 과학으로 가는 길 = 5 심리학의 선조 : 위대한 철학자들 = 5 뇌에서 마음까지 : 프렌치 커넥션 = 6 생리학에서 심리학으로 : 새로운 과학이 탄생하다 = 8 제임스와 기능적 접근 = 10 현실세계 공부 기술을 향상시키기 = 11 오류와 착각이 심리를 드러낸다 = 13 운동 착시와 형태주의 심리학의 탄생 = 13 문화와 사회 우리 모두는 아니고 우리 대부분이 그림 1.2에서 아래 선분보다 위 선분을 더 길게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 14 정신 장애와 다중 자기 = 15 프로이트와 정신분석 이론 = 15 정신분석의 영향과 인본주의적 반응 = 17 20세기의 심리학 : 행동주의가 무대의 중심에 서다 = 18 왓슨과 행동주의의 출현 = 19 스키너와 행동주의의 발전 = 19 행동주의를 넘어서 : 심리학이 확장되다 = 21 인지 심리학의 출현 = 22 뇌와 마음이 만나다 : 인지 신경과학의 부상 = 24 적응적 마음 : 진화 심리학의 출현 = 26 개인을 넘어서 : 사회심리학의 발전 = 28 문화 심리학의 출현 = 29 직업으로서의 심리학 : 과거와 현재 = 32 여성과 소수자의 역할 증대 = 32 심리학자들이 하는 일 = 33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미룸행동의 위험 = 35 제2장 심리학 연구방법 = 39 경험주의 : 사물 인식 방법 = 40 문화와 사회 도움을 기대하는가? 그것은 당신이 어디에 있는가에 달려 있다 = 41 관찰의 과학 : 탐구 대상 = 41 측정 = 42 표본 = 44 요구특성 = 45 맹목 관찰자 = 47 설명의 과학 : 이유의 설명 = 49 상관과 인과관계 = 50 일치시킨 표본과 일치시킨 쌍 = 51 최신 과학 뇌에서의 인과성 설정 = 52 실험 = 53 결론 도출하기 = 56 과학의 윤리 : 정중한 요청과 감사 표현 = 60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비도덕적 실험의 도덕성 = 65 제3장 신경과학과 행동 = 69 뉴런 : 행동의 기원 = 70 전기적 신호 : 한 뉴런 내의 정보 소통 = 73 화학적 신호 : 뉴런들 사이의 시냅스 전달 = 75 신경전달물질의 유형 = 76 어떻게 약물이 신경전달물질을 모방하는가 = 78 신경계의 조직 = 80 신경계의 구분 = 80 중추신경계의 구성요소 = 83 뇌의 탐색 = 84 신경계의 진화 = 91 중추신경계의 진화적 발달 = 91 유전자와 환경 = 92 문화와 사회 신세계를 탐험하고자 하는 욕망이 유전자에 있는가? = 94 뇌의 연구 방법 = 96 손상된 뇌의 연구를 통한 뇌 조직화에 관한 이해 = 97 뇌에 귀 기울이기 : 단일 뉴런과 뇌파 = 99 뇌영상 : 활동하고 있는 뇌의 관찰 = 101 최신 과학 나의 뇌에 있는 거울, 거울 = 102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뇌사 = 105 제4장 감각과 지각 = 109 심리의 문간 = 111 문화와 사회 우리 뇌는 감각기관으로부터 오는 메시지들을 해석하고 그것들을 의미 있는 단어, 이미지 및 개념들로 변형시킨다. 이 과정은 보편적인가 혹은 문화가 지각에 영향을 준 것인가? = 111 정신물리학 = 112 역 측정 = 113 신호 탐지 = 114 감각 순응 = 115 시각 : 눈에 들어오는 그 이상의 것 = 117 현실세계 다중작업하기 = 117 빛의 감지 = 118 색채 지각 = 124 시각적 뇌 = 126 시각에 의한 물체 재인 = 127 깊이와 크기의 지각 = 131 운동 지각 = 133 청각 : 귀에 들어오는 그 이상의 것 = 136 소리의 감지 = 136 인간의 귀 = 137 음고의 지각 = 139 음원의 위치 찾기 = 140 신체 감각 : 피부 깊이 그 이상의 것 = 141 촉각 = 141 통증 = 142 신체 위치, 운동 및 균형 = 144 화학 감각 : 풍미를 더하기 = 146 냄새 = 146 맛 = 148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지각과 설득 = 151 제5장 기억 = 155 부호화 : 지각을 기억으로 변환하기 = 157 정교 부호화 = 158 시각적 심상 부호화 = 159 조직적 부호화 = 160 저장 : 시간이 지나도 기억을 유지하기 = 162 감각 기억 = 162 단기 저장소와 작업 기억 = 163 장기 저장소 = 165 뇌에서의 기억 = 166 인출 : 마음속에 있는 기억을 가져오기 = 168 인출 단서 : 과거를 회복하기 = 168 문화와 사회 언어가 기억 인출의 한 요인일까? 그렇다는 것을 보여 주는 코넬대학 연구 = 169 인출의 구성요소들을 분리하기 = 170 기억의 다양한 형태 : 과거가 어떻게 되돌아오는가? = 171 외현 기억과 암묵 기억 = 171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 = 174 기억 실패 : 기억의 7대 죄악 = 175 하나, 일시성 = 176 둘, 방심 = 177 셋, 차단 = 179 넷, 기억 오귀인 = 180 다섯, 암시성 = 183 현실세계 치명적 오귀인 = 184 여섯, 편향 = 187 일곱, 집착 = 189 7대 죄악은 악인가 선인가? = 190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동 기억 상실증의 수수께끼 = 192 제6장 학습 = 197 학습의 정의 : 영속적 변화를 일으키는 경험 = 198 습관화의 경우 = 199 학습과 행동주의 = 199 고전적 조건형성 : 하나가 다른 것으로 이어진다 = 200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파블로프의 실험 = 200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 202 현실세계 약물 과용의 이해 = 203 조건형성된 정서 반응 : 어린 앨버트의 사례 = 206 고전적 조건형성에 대한 더 깊은 이해 = 208 문화와 사회 인간이 기하학을 이해하는 타고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가능한가? = 212 조작적 조건형성 : 환경으로부터의 강화 = 213 초기 : 효과의 법칙 = 213 강화, 처벌 및 조작적 조건형성의 발달 = 214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 217 강화 계획 = 220 조작적 조건형성에 대한 더 깊은 이해 = 223 관찰학습 : 나를 봐 = 229 직접 경험 없이 학습하기 = 229 인간의 관찰학습 = 230 동물의 관찰학습 = 232 암묵학습 : 철조망 아래에서 = 233 암묵학습을 연구하는 방법 = 234 암묵 및 외현 학습은 구별되는 신경 경로를 사용한다 = 235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보상을 위한 학습 혹은 그 자체를 위해? = 237 제7장 언어, 사고 및 지능 = 241 언어와 의사소통 = 242 인간 언어의 복잡한 구조 = 242 언어 발달 = 244 언어 발달 이론들 = 247 언어 발달의 신경학적 전문화 = 251 문화와 사회 이중언어 교육이 인지발달을 지연시킬까? = 251 개념과 범주화 : 우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252 개념의 조직화와 범주 특정적 결함 = 253 개념과 범주화에 관한 심리학 이론 = 255 판단학, 가치 두기 그리고 결정하기 : 때로는 논리적, 때로는 그렇지 못한 = 257 결정하기 : 합리적으로, 그리고 다른 방식들 = 258 전망 이론 = 261 지능 = 263 지능의 측정 : 고도의 선별작업 = 263 현실세계 똑똑해 보이는 방법 = 267 지능의 본질 : 다중지능인가 단일지능인가? = 268 지능의 원천 :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DNA까지 = 273 지능과 유전자 = 273 지능과 집단 = 276 지능 변화 = 279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이를 똑똑하게 만들 것인가, 아니면 똑똑한 아이를 만들 것인가? = 283 제8장 의식 = 287 의식과 무의식 : 마음의 눈을 열고 닫기 = 288 의식의 신비 = 289 의식의 본질 = 292 무의식적 마음 = 298 수면과 꿈 : 숙면, 마음 = 301 수면 = 302 꿈 = 308 문화와 사회 꿈은 우리 주위에 관한 어떤 것을 우리에게 의미하는가? = 311 최신 과학 꿈과 뇌 = 312 약물과 의식 : 인위적 영감 = 314 약물 복용과 남용 = 314 향정신성 약물의 유형 = 316 최면 : 암시에의 개방 = 322 유도와 민감성 = 323 최면 효과 = 323 명상과 종교적 경험 : 상위 의식 = 326 명상 = 327 황홀한 종교적 경험 = 327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약물과 의식의 규제 = 329 제9장 정서와 동기 = 333 정서 경험 : 느끼는 기계 = 334 정서란 무엇인가? = 334 정서적인 몸 = 336 정서적인 뇌 = 339 문화와 사회 우리는 실제로 자신의 문화보다 다른 문화권의 사람을 더 두려워하는가? = 341 정서의 조절 = 341 정서적 의사소통 : 단어가 없는 메시지 = 343 의사소통적인 표현 = 344 현실세계 그것은 더러워! = 347 가식적인 표현 = 348 동기 : 움직이기 = 351 정서의 기능 = 351 동기의 개념화 = 352 먹기 = 355 짝짓기 = 359 동기의 종류 = 362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뇌물이 온다 = 365 제10장 발달 = 369 태내기 : 전망이 있는 자궁 = 370 태내 발달 = 371 태내 환경 = 372 영아기와 아동기 : 사람이 되기 = 374 지각 발달과 운동 발달 = 374 인지 발달 = 376 문화와 사회 계산 능력은 부분적으로 문화에 의해서 결정되는가? = 385 사회 발달 = 386 도덕 발달 = 390 현실세계 주간 탁아의 진실 = 391 청소년기 : 의견 차이에 신경 쓰기 = 395 청소년기의 연장 = 396 성 = 398 부모와 또래 = 399 성인기 : 짧은 행복한 미래 = 402 능력의 변화 = 402 오리엔테이션의 변화 = 404 역할의 변화 = 406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부모 면허 = 409 제11장 성격 = 413 성격 : 본질과 측정 = 414 성격에 대한 기술과 설명 = 414 성격의 측정 = 415 특성적 접근 : 행동 패턴의 식별 = 419 행동의 소인과 동기로서의 특성 = 420 핵심 특성에 대한 탐색 = 421 생물학적 구성 재료로서의 특성 = 422 정신역동적 접근 : 의식의 저변에 내재하고 있는 힘 = 425 마음의 구조 : 원초아, 자아, 초자아 = 426 내적 갈등의 처리 = 427 심리성적 단계와 성격의 발달 = 429 인본주의적 - 실존주의적 접근 : 선택 주체로서의 성격 = 433 인간의 욕구와 자아실현 = 433 실존으로서의 성격 = 434 사회인지적 접근 : 상황들 속에서의 성격 = 435 다양한 상황에서의 성격의 일관성 = 436 문화와 사회 당신의 성격은 당신이 무슨 언어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달라지는가? = 437 개인적 구성개념 = 438 개인적 목표와 기대 = 439 자기 : 거울 속의 성격 = 441 자기 개념 = 442 최신 과학 암묵적 자기중심주의 : 무조건적 자기애 = 444 자존감 = 444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재미와 수입을 위한 성격 검사 = 449 제12장 정신장애 = 452 정신장애의 규명 : 무엇이 이상한 것인가? = 455 정신장애의 분류 = 456 정신장애의 원인 = 458 문화와 사회 서로 다른 문화에 사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정신장애를 가질까? = 459 진단의 결과 = 460 불안장애 : 공포가 엄습했을 때 = 462 범불안장애 = 462 공포증 = 463 공황장애 = 465 강박장애 = 466 해리장애 : 완전한 와해 = 468 해리성 정체감 장애 = 468 해리성 건망증과 해리성 기억 상실 = 469 기분장애 : 감정에 좌우될 때 = 470 우울장애 = 471 조울증 = 473 현실세계 자살률과 예방 = 475 정신분열증 : 현실에 대한 감각을 잃다 = 476 정신분열증의 증상과 유형 = 477 정신분열증과 관련된 생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 = 479 성격장애 : 극단으로 = 482 성격장애의 유형 = 483 반사회적 성격장애 = 485 최신 과학 긍정심리학 : 마인드버그를 없애기 = 486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상 대 비정상 = 487 제13장 정신장애의 치료 = 491 치료 : 필요한 사람들 돕기 = 492 왜 사람들은 치료를 받으려 하지 않으며, 왜 실제로 받을 수 없는가? = 493 현실세계 심리치료의 종류 = 494 치료적 접근 = 495 문화와 사회 심리치료는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가? = 495 심리치료 : 상호작용을 통한 마음 치유 = 496 정신역동적 치료 = 497 행동치료와 인지치료 = 499 인본주의와 실존주의 치료 = 503 집단으로 치료하기 = 505 의학적ㆍ생물학적 치료 : 뇌를 통한 마음 치유 = 505 항정신성 약물 = 509 항불안제 = 510 항우울제 이외의 기분 안정제 = 511 허브와 자연제품 = 513 약물과 심리치료 결합하기 = 514 약물 이외의 생물학적 치료 = 515 치료 효과 : 더 좋게 혹은 더 나쁘게 = 517 치료 착각 = 518 치료 연구 = 520 어떤 치료가 효과적인가? = 521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외상 기억을 막기 위해 약물을 써야 하는가? = 523 제14장 스트레스와 건강 = 527 스트레스의 근원 = 528 스트레스 사건들 = 528 만성 스트레스원 = 530 문화와 사회 차별이 스트레스와 질병을 초래하는가? = 531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지각된 통제 = 532 스트레스 반응 : 긴장 = 533 신체 반응 = 534 심리적 반응 = 539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 대처 = 542 마음 관리 = 542 신체 관리 = 545 상황 관리 = 548 사회적 지지 = 548 질병의 심리학 = 551 질병의 인식과 치료 찾기 = 551 신체형 장애 = 552 환자 되기 = 553 최신 고학 왜 병이 들면 아픈가 : 면역 반응의 심리적 효과 = 554 환자 - 의료진 상호작용 = 555 건강심리학 : 행복감 느끼기 = 556 성격과 건강 = 556 건강 증진 행동과 자기 규제 = 558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이 경고를 받는다고 가정해 보자 = 563 제15장 사회심리학 = 567 사회 행동 :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 568 생존 : 자원을 위한 투쟁 = 569 번식 : 영원불멸의 추구 = 577 문화와 사회 '사랑=결혼' 이라는 등식은 범세계적인 것인가? = 579 최신 과학 아름다운 평균 = 583 사회 영향 : 사람들에 대한 통제 = 587 쾌락 추구 동기 : 쾌락의 힘 = 588 인정에 대한 동기 : 사회적 수용의 힘 = 589 정확성에 대한 동기 : 옳게 되는 것의 힘 = 594 사회 인지 : 사람들에 대한 이해 = 599 고정관념화 : 범주로부터 추론을 도출하는 것 = 600 귀인 : 행위로부터 추론을 도출하는 것 = 605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당신은 편견을 갖고 있습니까? = 609 부록 : 심리학을 위한 통계학 = 613 참고문헌 = 621 찾아보기 = 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