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56n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20140 | |
005 | 20131001173212 | |
007 | ta | |
008 | 120919s2012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76444110 ▼g 9335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2.35 ▼a 352.2 ▼2 23 |
085 | ▼a 302.35 ▼2 DDCK | |
090 | ▼a 302.35 ▼b 2012 | |
100 | 1 | ▼a 이창원 ▼g 李昌遠 ▼0 AUTH(211009)84811 |
245 | 1 0 | ▼a 새 조직론 / ▼d 이창원, ▼e 최창현, ▼e 최천근 공저 |
246 | 3 0 | ▼a 조직론 |
250 | ▼a 전정3판 | |
260 |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2 ▼g (2013) | |
300 | ▼a 635 p. : ▼b 도표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579-63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최창현 ▼g 崔昌鉉, ▼e 저 ▼0 AUTH(211009)18640 |
700 | 1 | ▼a 최천근 ▼g 崔天根,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35 2012 | 등록번호 1116754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35 2012 | 등록번호 1117034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35 2012 | 등록번호 1117034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서는 대학생들과 조직실무자, 그리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 모두를 대상으로 조직 현상과 조직이론에 대해 알기 쉽게 소개하기 위해 1996년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2005년 8월에는 지식정보사회로의 행정환경 변화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각 장에서 지식정보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판을 발간했다.
그러면서도 이 책은 독자들에게 조직이론(organizational theory)과 조직행동(organizational behavior)에 대해 적시성 있고, 실질적이며, 생생하게 살아 있는 지식을 소개하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빠짐없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했던 애초의 집필 정신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머리말
이 책은 대학생들과 조직실무자, 그리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 모두를 대상으로 조직 현상과 조직이론에 대해 알기 쉽게 소개하기 위해 1996년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2005년 8월에는 지식정보사회로의 행정환경 변화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각 장에서 지식정보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개정판을 발간했다. 그러면서도 이 책은 독자들에게 조직이론(organizational theory)과 조직행동(organizational behavior)에 대해 적시성 있고, 실질적이며, 생생하게 살아 있는 지식을 소개하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는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빠짐없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했던 애초의 집필 정신을 그대로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이제 새롭게 ??새 조직론??의 전정판을 발간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을 바라보는 통합적 시각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스콧(W. Richard Scott)의 조직이론 분류 방식을 ??새 조직론??의 분석틀로 활용하여 각 장의 내용을 구성했다. 전정판에서는 조직이라는 포괄적인 학문적 주제를 대학생들과 실무자들이 좀 더 알 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모건(Gareth Morgan)의 여덟 가지 조직 이미지(images of organization)를 소개함과 동시에, 모건의 견해와 스콧의 조직이론 유형 분류를 통합함으로써 조직에 관한 종합적 관점과 조직이론의 통합적 분석틀을 조직학계에 제시했다. 이는 전정판 발간의 가장 중요한 이유임과 동시에 초판 발간 이후 개정판을 거쳐 저자들이 꾸준히 고민해 오던 ‘조직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둘째, 각 장의 사례연구는 모두 최신의 사례로 교체했다.
셋째, 각 장의 마지막 부분에는 그 주제에 해당하는 국내외 유명 학술지에 발표된 최근 이론의 동향을 실질적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개정판 발간 이후 발표된 주요 연구사례들을 최대한 수록하고자 노력했다.
넷째, 오건(Dennis W. Organ)이 주장했던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을 제2부 제2장에서 새롭게 소개한다. 조직구성원들은 공식적인 행동만을 행하는 것은 아니며, 구성원 스스로 생각하여 타인에 대한 지원활동, 사회봉사 활동 등 여러 가지 자발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섯째, 조직구성원들이 조직활동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stress)에 대해 제2부 제2장에서 새롭게 논의한다. 특히 지식정보사회에서 조직구성원들은 환경의 변화, 조직의 변화, 과중한 업무와 치열한 경쟁, 인간관계 부적응 등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최근 공정사회에 대한 논의가 한창 뜨겁게 떠오르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동기부여이론의 하나인 공정성이론을 논의하면서 공정성 지향이라는 주제로 ‘공정성과 불공정성’에 대한 논의를 제2부 제4장에서 소개했다.
일곱째, 리더십이론 분야에서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셀프 리더십(self leadership), 팔로어십(followership), 윤리적 리더십을 제3부 제2장에서 새롭게 추가했다.
여덟째, 조직 내 갈등관리 현상과 조직 내 협상을 제3부 제3장에서 새롭게 추가했다. 조직 내에서 갈등은 언제나 존재하는데 이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협상이 이뤄져야 하는지 등에 대해 소개했다.
아홉째, 국가의 정치적?법적 틀과 시장에서의 인간 행태를 규율하는 규칙과 일반적 신념 체계 등이 조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제도주의이론’을 새롭게 정리하여 제4부 제6장에서 소개했다.
열째, 조직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출발점으로 수행하게 되는 조직진단을 제4부 제7장에서 새로운 장으로 소개하고 설명했다.
열하나째, 왜 어떤 조직은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비해, 다른 조직들은 도태되고 사라지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제4부 제8장에서 조직의 진화라는 주제를 새롭게 다뤘다.
열둘째, 정보와 지식과 학습이 중요한 자원이 되는 지식정보사회의 혼돈이론?자기조직화?홀로그래픽 조직설계 등을 설명하고, 지식정보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모형을 소개하기 위해 ‘지식정보화사회에서의 조직’이라는 장을 제4부 제9장에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근 5년간 행정고시?7급 공무원시험?9급 공무원시험에 출제된 주관식?객관식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출제의 가능성이 높은 주제를 최대한 포함시키고자 노력했다.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많은 분으로부터 도움을 받았다. 먼저 뉴욕주립대학교(SUNY at Albany) 조직학 박사 과정의 유클(Gary Yukl) 교수, 홀(Richard Hall) 교수, 그리고 행정학과 패어맨(Sue Faerman) 교수, 맥캐프리(David McCaffrey) 교수,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의 애들러(Ralph Adler) 교수 등이 조직학 전반에 관해 도움을 주었다. 또, 원고 정리 작업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준 정진봉 박사, 김현주 박사, 고시성 박사, 서울대 이수현 양, 이화여대 이윤수 양의 노고를 특히 고맙게 생각한다.
저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아직도 미진하고 부족하다. 독자들의 비판과 조언을 통해 계속해서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린다. 끝으로 이 책의 발간을 위해 힘써 주신 대영문화사 임춘환 사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의 후의와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
2012년 8월
저자 이창원, 최창현, 최천근 씀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창현(지은이)
뉴욕주립대학교 행정 및 정책학 박사 현 금강대학교 공공정책학부 초빙교수 전 한반도선진화재단 조사센터 소장 •한국조직학회 회장 •관동대 행정학과 교수 •뉴욕주립대 록펠러 행정대학원 객원교수 •RPI 테크노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사우스 캐롤라이나 대학 경찰대학 교환교수 •파고다 외국어학원 TOEIC 강사 역임 SPSS, UCINET 활용 조사방법론(2011), Introducing Public Administration: Made Simple for TOEIC(2016), 국력이란 무엇인가(2015),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2012), 복잡계로 바라본 조직관리(2005) 등 40여 권의 저서와 역서가 있고, 논문 40여 편이 있다.
이창원(지은이)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에서 조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논문: Effects of Supervisory Behaviors on Work Group Effectiveness: A Field Experiment, 1991), 현재 한성대학교 행정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이론, 정부조직진단, 리더십 및 갈등관리 등이고, 주요 저서로는 <새 조직론(전정판)> (공저, 2012), <정보사회와 현대조직>(공저, 2004), <정부조직진단>(공저, 2002)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Promoting Local Government Authority Effectiveness: The Role of the CEO”(2003), “Referent Role and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Evidence from a National Sample of Korean Local Government Employees”(2002), “Mod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nflice Management Strategies: A Study in Seven Countries”(2002), “우리나라 정부기구 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대중 정부 3년을 중심으로”(2002) 등이 있다. 현재 사단법인 정부개혁연구소 소장과 한국정책학회 영문편집위원장 등을 맡고 있고, ‘대한민국 근정포장’과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한국조직학회 회장, 한국정책과학학회 회장, 행정고시 출제 및 채점위원, 한국행정학회 연구위원장 및 영문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최천근(지은이)
2010년 플로리다주립대(Florida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Exploring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Police Performance in U.S. Cities”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관리, 성과평가, 지방행정이다.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한국행정학회보>, <한국정책학회보>, <한국정책과학학회보>, <한국지방자치학회보>, <한국거버넌스학회보>, IRPA 등에 논문을 게재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조직연구의 기초 제1장 조직의 의미 = 23 제1절 조직의 중요성 = 23 제2절 조직의 정의 = 26 1. 목표 지향적 = 27 2. 체계화된 구조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 = 28 3. 조직의 경계 = 28 4. 외부 환경에의 적응 = 29 5. 인간의 사회적 집단 = 29 6. 조직화 과정의 산물 = 30 제3절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 31 1. 지식정보사회의 대두와 조직 변화 = 33 2. 정보 기술의 도입이 조직구조, 관리 과정 및 조직구성원 개인 행태에 미치는 영향 = 34 제4절 이 책의 개요 = 40 1. 조직론의 기본 분석모형 = 40 2. 이 책의 구성 = 41 제2장 조직이론의 통합 = 46 제1절 조직이론 연구의 전제 = 47 1. 조직이론의 의미 = 47 2. 조직이론의 일반적 분류 = 48 제2절 스콧의 조직이론 분류 방법 = 49 1. 폐쇄-합리적 조직이론 = 50 2. 폐쇄-자연적 조직이론 = 59 3. 개방-합리적 조직이론 = 67 4. 개방-자연적 조직이론 = 74 5. 조직이론 분류에 대한 평가 = 81 제3절 조직을 바라보는 여덟 가지 시각 = 82 1. 은유의 정의 = 83 2. 기계장치로서 조직 = 84 3. 유기체로서 조직 = 85 4. 두뇌로서 조직 = 87 5. 문화로서 조직 = 89 6. 정치적 존재로서 조직 = 91 7. 심리적 감옥으로서 조직 = 92 8. 흐름으로서 조직 = 93 9. 지배를 위한 도구로서 조직 = 94 10. 모건의 조직 이미지에 대한 평가 = 95 제4절 통합적 시각 = 95 제2부 개인 차원의 연구 제1장 학습, 지각 및 귀인 = 105 제1절 학습 = 105 1. 학습의 정의 = 106 2. 조직에서의 학습 = 106 3. 학습이론 = 107 4. 강화이론 = 110 5. 조직관리상의 의미 = 114 제2절 지각 = 117 1. 지각의 정의 = 117 2. 지각의 결정 요인 = 118 3. 인상관리 = 123 제3절 귀인 = 124 1. 귀인이론 = 124 2. 귀인 과정 = 124 3. 귀인오류 = 126 4. 조직관리상의 의미 = 126 제2장 개인차 = 130 제1절 개인의 성격 = 130 1. 성격의 본질 = 131 2. 성격의 결정 요인 = 131 3. 성격의 형성 단계 = 132 4. 5대 성격 특성(Big Five) = 134 5. 성격과 조직관리 = 135 제2절 태도 = 138 1. 태도의 개념 = 138 2. 태도의 구성 요소 = 139 3. 태도의 형성 = 140 4. 인지부조화이론 = 140 5. 태도 변화 = 141 6. 직무 만족 = 142 7. 조직몰입 = 145 8. 신뢰 = 147 제3절 조직시민행동(OCB) = 148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 148 2.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연구 = 150 제4절 직무와 스트레스 = 151 1. 스트레스의 정의 및 특징 = 152 2. 스트레스의 원인과 결과 = 152 3. 스트레스의 관리 = 154 제5절 개인차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 155 제3장 전통적 동기부여이론 = 158 제1절 동기의 본질 = 158 1. 개인 행위와 동기 = 159 2. 동기의 정의 = 160 3. 동기이론의 발달 = 160 제2절 전통적 동기이론 = 161 1. 합리적ㆍ경제적 인간모형 = 162 2. 사회적 인간모형 = 162 3. 성장이론 = 163 4. 복잡한 인간에 관한 모형 = 173 제3절 욕구이론의 통합 = 178 제4장 현대적 동기부여이론 = 182 제1절 공정성이론 = 183 1. 고정성 및 불공정성에 관한 지각 형성 = 183 2. 공정성 및 불공정성에 대한 반응 = 184 3. 공정성이론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 186 4. 공정사회 지향 = 187 제2절 기대이론 = 194 1. 브룸의 기대이론 = 194 2. 포터와 롤러의 기대이론 = 198 3. 기대이론의 평가 = 200 4. 기대이론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 201 제3절 목표설정이론 = 201 1. 목표설정이론의 정의 = 201 2. 목표설정이론의 구조 및 주요 연구 결과 = 202 3. 목표설정이론의 평가 = 204 4. 목표설정이론의 조직관리상의 의미 = 204 제4절 참여적 조직관리 및 귀인이론 = 205 1. 참여적 조직관리 = 205 2. 귀인이론 = 206 제5절 정보사회에서 동기부여 = 206 제3부 집단 차원의 연구 제1장 집단의 속성 = 213 제1절 대인 관계와 집단 = 214 1. 대인 관계의 본질 = 214 2. 집단의 본질 = 215 제2절 집단의 유형과 형성 = 217 1. 집단의 유형 = 217 2. 집단의 형성 = 218 제3절 집단 발전의 단계 = 219 1. 형성 단계 = 219 2. 격동기 = 220 3. 규범화 단계 = 220 4. 성과달성기 = 220 5. 해산기 = 221 제4절 집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21 1. 집단의 구성 = 222 2. 집단의 규모 = 223 3. 집단의 규범 = 224 4. 집단의 응집력 = 225 5. 역할 = 226 제5절 팀조직 = 228 제6절 조직 내의 집단관리 = 230 제2장 리더십 = 233 제1절 리더십의 본질 = 233 제2절 전통적 접근법 = 234 1. 특성론적 접근법 = 235 2. 행태론적 접근법 = 236 3. 상황론적 접근법 = 240 제3절 현대적 접근법 = 251 1. 카리스마적 리더십 = 252 2. 변혁적 리더십 = 254 3. 서번트 리더십 = 255 4. 셀프 리더십과 수퍼 리더십 = 256 5. 팔로어십 = 257 6. 윤리적 리더십 = 258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리더십에 관한 연구 = 259 제5절 정보사회의 리더십 = 260 제3장 권력, 정치적 행동 및 갈등관리 = 264 제1절 조직 내 권력 = 265 1. 권력의 정의 및 영향력 = 265 2. 권력의 유형 = 266 3. 권력의 행사 = 269 제2절 조직 내 정치적 행동 = 271 1. 정치적 행동의 본질 = 271 2. 정치적 행동의 관리 방안 = 273 제3절 조직 내 갈등관리 = 274 1. 갈등의 의미 = 274 2. 갈등에 대한 관점의 변천 = 275 3. 갈등의 종류 = 276 4. 갈등의 원인 = 276 5. 조직의 갈등 수준 = 277 6. 갈등 과정 = 279 7. 갈등관리 전략 = 282 제4절 조직 내 협상 = 286 1. 협상의 의미 = 286 2. 협상 전략 = 287 3. 협상의 단계와 절차 = 288 4. 협상 영향 요인 = 289 제5절 지식정보사회의 조직 내 권력 및 갈등 = 290 1. 정보사회의 도래와 조직 내 권력 변화 = 290 2. 정보화로 인한 조직 내 권력의 변화로 야기된 갈등 = 291 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영향 = 293 제4장 의사전달 = 296 제1절 의사전달의 의의와 과정 = 296 1. 의사전달의 개념과 중요성 = 296 2. 의사전달의 기능 = 297 3. 의사전달의 과정 = 298 4. 비언어적 의사전달 = 298 제2절 조직 의사전달의 유형과 효율화 = 299 1. 조직 의사전달의 유형 = 300 2. 의사전달의 장애와 극복 = 301 제3절 조직의 의사전달 네트워크 = 305 제4절 정보사회의 의사전달 = 306 1. 정보 기술에 기반을 둔 의사전달 = 306 2. 정보 기술과 조직 내 의사전달의 변화 = 307 3. 지식정보사회의 정보관리 = 309 제5장 의사결정 = 313 제1절 의사결정의 의의 = 314 1. 의사결정의 개념 = 314 2. 의사결정의 유형 = 314 3. 의사결정의 과정 = 315 제2절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 316 1. 합리모형 = 317 2. 만족모형 = 317 3. 연합모형 = 318 4. 점증모형 = 319 5. 혼합관저모형 = 319 6. 최적모형 = 320 7. 쓰레기통모형 = 320 8. 공공선택모형 = 321 제3절 정보사회에서 조직 내 의사결정 = 322 1. 조직 내 의사결정의 변화 = 322 2. 정책결정에서 정보 기술의 영향 = 324 3. 정책결정에서 정보 기술의 활용 = 326 제4부 조직 차원의 연구 제1장 조직의 목표 = 331 제1절 목표의 의미 = 332 1. 목표의 정의 = 332 2. 목표의 역할 = 333 3. 스콧의 조직이론에서 바라보는 조직의 목표 = 334 제2절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 = 334 1.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의 통합의 의의 = 334 2.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목표의 통합에 관한 모형 = 335 제3절 목표의 유형과 다원목표의 관리 = 337 1. 목표의 유형 = 337 2. 다원목표의 관리 = 340 제4절 목표의 변동 = 342 1. 조직목표의 형성 = 342 2. 조직목표의 변동 요인 = 344 3. 조직목표의 변동 양태 = 347 제5절 목표관리(MBO) = 350 1. 목표관리의 기본 개념과 정의 = 350 2. 목표관리의 기본 단계 = 351 3. 목표관리의 장점 및 단점 = 355 4. 목표관리의 우리나라 도입 현황과 전망 = 357 제2장 조직의 효과성 = 361 제1절 조직효과성의 의미 = 362 1. 조직효과성의 의미 = 362 2. 스콧의 조직이론에서 바라보는 조직효과성 = 363 제2절 전통적 접근 방법 = 363 1. 체제 자원적 접근법 = 364 2. 내부 과정적 접근법 = 365 3. 목표 달성 접근법 = 366 제3절 현대적 접근 방법 = 368 1. 이해 관계적 접근법 = 369 2. 경쟁적 가치 접근법 = 370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효과성 연구 = 374 제3장 조직문화 = 379 제1절 조직문화의 본질 및 중요성 = 380 1. 문화의 개념 = 380 2. 조직문화의 개념 = 381 3. 조직문화의 중요성 = 383 4. 조직문화의 유형 = 385 5. 스콧의 조직이론에서 바라보는 조직문화 = 388 제2절 조직문화의 주요 모형 = 389 1. 파슨스의 AGIL모형 = 389 2. 오우치의 Z이론 = 390 3. 7S 모형 = 394 4. 셰인의 모형 = 396 5. 해치의 모형 = 398 6. 최근의 경제학 모형 = 399 제3절 조직문화의 기능 = 401 1. 조직문화의 일반적 기능 = 401 2. 조직문화와 조직 성과 = 403 제4절 조직문화의 효과적 관리 방법 = 406 1. 현존하는 문화의 활용 = 407 2. 조직문화의 교육: 사회화 = 407 3. 새로운 조직문화의 개발 = 408 제5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문화 연구 = 410 제4장 조직구조의 이해 = 415 제1절 조직구조의 의의 = 416 1. 조직구조의 의미 = 416 2. 조직구조의 중요성 = 416 3. 바라보는 시각에 따른 조직구조 = 417 제2절 공식화 = 418 1. 공식화의 의미 = 419 2. 공식화의 장점 및 단점 = 419 제3절 집권화와 분권화 = 420 1. 집권화와 분권화의 의의 = 421 2. 집권화의 형성 요인과 장ㆍ단점 = 421 3. 분권화의 형성 요인 및 장ㆍ단점 = 423 제4절 복잡성 = 425 1. 수평적 분화 = 425 2. 수직적 분화 = 430 3. 복잡성이 조직관리에 주는 의미 = 434 제5절 기본 변수들의 통합 = 435 제6절 조직의 통합 및 조정 = 437 1. 통합 및 조정의 필요성 = 437 2. 통합 및 조정의 개념 = 437 3. 통합 및 조정의 방법 = 438 4. 통합 및 조정의 저해 요인 = 441 제7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구조 연구 = 442 제5장 조직구조의 설계 = 447 제1절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 447 1. 조직 규모와 조직구조 = 448 2. 조직 기술과 조직구조 = 450 3. 조직환경과 조직구조 = 461 4. 민츠버그의 조직성장 경로모형 = 465 제2절 애드호크라시 = 469 1. 애드호크라시의 조직적 특성 = 470 2. 애드호크라시의 장점 및 단점 = 471 3. 애드호크라시의 적용 상황 = 472 제3절 정보 기술과 조직구조의 관계 = 473 1. 정보 기술과 집권화ㆍ분권화의 관계 = 473 2. 정보 기술과 공식화의 관계 = 475 3. 정보 기술과 조직 통합 및 조정과의 관계 = 475 제4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구조 연구 = 476 제6장 조직환경 = 480 제1절 조직과 환경 = 480 1. 조직환경의 의미 = 480 2. 조직과 환경에 관한 조직이론 분류 = 481 제2절 환경결정론적 관점 = 483 1. 구조적 상황이론 = 483 2. 조직경제학 = 484 3. 조직군 생태학이론 = 492 제3절 임의론적 관점 = 495 1. 전략적 선택이론 = 495 2. 자원의존이론 = 497 3. 공동체 생태학이론 = 500 제4절 제도주의 = 502 1. 제도주의의 발달 과정 = 502 2. 신제도주의 이론 = 503 3. 스콧의 제도주의 분류 = 505 제5절 결어 = 506 1. 환경결정론과 임의론적 관점의 문제점 = 506 2. 조직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 508 제6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환경 연구 = 509 제7장 조직진단 = 513 제1절 조직진단의 의의 = 513 1. 조직진단의 개념 = 513 2. 조직진단의 종류 = 514 3. 조직진단의 일반적 내용 = 515 제2절 조직진단의 이론적 모형 = 516 1. 해리슨의 모형 = 516 2. 와이스버드의 여섯 상자 모형 = 518 3. 매킨지의 7S 모형 = 520 4. OAI의 조직평가 지표 = 521 제3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진단 연구 = 523 제8장 조직혁신 = 526 제1절 조직혁신의 기본 개념 = 527 1. 조직혁신의 의의 = 527 2. 조직혁신의 대상 = 528 제2절 조직혁신의 기본 모형 = 529 1. 레빈의 모형 = 529 2. 계속적 변화 과정 모형 = 530 제3절 조직혁신에 대한 저항과 극복 방안 = 532 1. 조직혁신에 대한 저항 = 533 2. 저항 극복 방안 = 534 제4절 조직의 진화 = 535 1. 조직의 탄생 = 536 2. 조직의 성장 = 537 3. 조직의 쇠퇴 = 540 제5절 한국 행정조직에서 조직혁신 연구 = 543 제9장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조직 = 547 제1절 혼돈이론 = 548 1. 혼돈이론의 의의 = 548 2. 혼돈이론의 전제 = 548 3. 균형모형에 대한 비판 = 549 제2절 자기조직화와 홀로그래픽 조직설계 = 551 1. 자기조직화 = 551 2. 홀로그래픽 조직설계 = 552 3. 자기조직화와 홀로그래픽 조직설계의 장단점 = 555 제3절 지식정보사회에 대응한 조직모형 = 556 1. 팀조직 = 557 2. 프로세스 조직 = 557 3. 네트워크 조직 = 558 4. 학습조직 = 559 5. 가상조직 = 563 6. 자생조직모형 = 565 제4절 지식정보사회의 조직에 관한 연구 = 575 참고 문헌 = 579 찾아보기 = 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