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99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19919 | |
005 | 20120918185312 | |
007 | ta | |
008 | 120917s2012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97927210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2900777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9 ▼2 22 |
085 | ▼a 339 ▼2 DDCK | |
090 | ▼a 339 ▼b 2012z6 | |
100 | 1 | ▼a Krugman, Paul R. ▼0 AUTH(211009)77546 |
245 | 2 0 | ▼a (크루그먼의) 거시경제학 / ▼d Paul Krugman, ▼e Robin Wells 지음 ; ▼e 김재영, ▼e 박대근 옮김 |
246 | 1 9 | ▼a Macroeconomics ▼g (2nd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 |
300 | ▼a xxvii, 697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8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Macroeconomics |
650 | 0 | ▼a Macroeconomics ▼x Study and teaching |
700 | 1 | ▼a Wells, Robin, ▼e 저 ▼0 AUTH(211009)41926 |
700 | 1 | ▼a 김재영, ▼e 역 ▼0 AUTH(211009)38360 |
700 | 1 | ▼a 박대근, ▼e 역 ▼0 AUTH(211009)5490 |
900 | 1 0 | ▼a 크루그먼, 폴, ▼e 저 |
900 | 1 0 | ▼a 웰스, 로빈,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2z6 | Accession No. 1116749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9 2012z6 | Accession No. 1513130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9 2012z6 | Accession No. 1116749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39 2012z6 | Accession No. 1513130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크루그먼의 경제학, 제2판> 중 거시경제학 부분을 추려서 발간한 책이다. 이로써 경제원론을 한 학기에 걸쳐 강의하는 경우 미시경제학 부분과 거시경제학 부분 중 어느 한 부분만을 강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공급과 수요', '거시경제학 소개', '장기 경제성장', '단기 경기변동', '안정화 정책', '사건과 아이디어' 등 총 8부로 구성되었다.
금융위기의 여파가 아직도 진행 중인 가운데, 유럽 국가들과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의 재정위기가 새로운 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크루그먼의 경제학, 제2판』에는 이러한 관점의 변화가 반영되어 있을 뿐 아니라 현실 경제 문제에 대한 사례연구와 논의가 풍부하게 제시되어 있어 경제학을 가르치는 분들과 배우는 학생들에게 모두 큰 도움이 될 것임을 확신한다.
특히 이번에는 『크루그먼의 경제학, 제2판』중 거시경제학 부분을 추려서 발간된 『크루그먼의 거시경제학, 제2판』을 따로 번역서로 펴내게 되었다. 이로써 경제원론을 한 학기에 걸쳐 강의하는 경우 미시경제학 부분과 거시경제학 부분 중 어느 한 부분만을 강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폴 크루그먼(지은이)
2008년 50대 중반의 이른 나이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진보파 경제학자. 신무역 이론을 개척한 뛰어난 경제학자로서 상아탑의 경계를 넘어서 사회적 여건의 개선에 직접 영향을 미치려고 노력하는 실천적 경제학자이기도 하다. 1953년 미국 뉴욕주의 주도인 알바니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1979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의 교수가 되었으며 스탠포드대학, 예일대학 및 런던경제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도 강의하였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뉴욕시립 대학 대학원의 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뉴욕타임스>의 고정 칼럼니스트로 활동했다. 크루그먼이 한국에서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97년에 발생한 아시아 외환위기 때이다. 크루그먼은 1994년 〈포린 어페어스 Foreign Affairs〉에 발표한 논문 <아시아 기적의 신화>에서 아시아 신흥공업국들의 급속한 경제발전이 기술과 제도의 발전을 통한 생산성 향상 없이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의 투입에 의존한 것이어서 곧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그의 예견은 불과 3년 만에 현실화되었다. 1997년 12월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는,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하였다. 크루그먼의 예견은 당시 세계경제 질서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에 따라 국가 간에 재화뿐 아니라 생산요소의 이동 또한 더욱 자유화되는 과정에서 취약한 경제 체질의 국가들이 그에 수반된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컸기 때문이다. 이 책 《폴 크루그먼의 지리경제학》의 모태인 아이스켄스 강좌의 강연을 요청받을 당시 크루그먼이 먼저 생각했던 주제가 바로 ‘국제 요소의 이동성’이었을 정도였다. 강좌 당시 유럽연합의 출범이 임박했었는데, 크루그먼은 유럽에서 경제활동에 대한 규제자로서 개별 국가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특히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져올 파급효과에 주목했다. 국제간 요소의 이동성을 자신의 주된 관점인 불완전경쟁과 규모의 경제에서 살펴본 것이 바로 이 책이다. 크루그먼은 스스로를 ‘현대적 진보주의자’로 부른다. <뉴욕타임스>의 그의 블로그 명인 ‘진보주의자의 양심’(The conscience of a Liberal)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는 2007년 발간된 그의 저서명이기도 하다. 이 저서는 20세기 미국의 부와 소득 격차의 역사를 다루는데, 20세기 중반 어떻게 빈부 격차가 크게 줄었다가 지난 20년간 크게 확대되었는가를 설명한다. 2003년 출간한 《대폭로 The Great Unraveling》에서 1990년대 미국 신경제기에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었음을 지적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는 《진보주의자의 양심》에서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빈부 격차의 감소와 1980년대부터 2000년까지의 빈부 격차의 확대 모두에 있어서 정부 정책이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큰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주장하며, 빈부 격차를 확대하도록 만든 정책을 편 부시 행정부를 비판한다. 그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공적의료보험에 보다 예산을 많이 투입하고 국방비를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는 ‘신뉴딜 new New Deal’ 정책을 제안한다. 그는 재화와 노동시장의 불완전성을 전제하며 정부 당국의 일정한 개입을 정당화하는 신케인즈주의자로 분류될 수 있다. 2012년에는 세계적인 금융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불황을 당장 종식하라! End This Depression Now!》를 출간한다. 그는 재정감축과 긴축정책 수단들이 경제를 순환시키고 취약한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자금 흐름을 어렵게 할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소비할 수 없고 충분한 소비가 없으면 시장은 지탱될 수 없으며, 대량 실업이 존재하면 충분한 소비가 가능하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공공 부문을 통해서건 민간 부문을 통해서건 경제를 자극하는 것이 필요한데, 그렇지 못할 경우 불가피하게 경제불황이 지속될 뿐 아니라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대부분의 나라들이 경제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을 주장하는 그의 입장은 한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2016년 한국에서 진행된 컨퍼런스에서 크루그먼은 “전 세계 경제는 현재 경기부양 정책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재정적인 여력이 높기 때문에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사회지출 비중이 OECD 국가 중에서 멕시코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라면서 “사회지출을 늘림으로써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서민들의 생활수준을 높여 결과적으로 성장을 진작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크루그먼은 학자로서 그간 20여 권의 학술서, 교재 및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책을 출간하였고, 20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또한 <뉴욕타임스>와 <포춘 Fortune>을 비롯한 대중적 신문과 잡지에도 수백 편의 칼럼을 기고하며, 현실 문제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그는 해설자로서 국제무역을 비롯하여 소득분배, 조세, 거시경제학, 보건, 사회 및 정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에 걸친 이슈들을 다루어 왔다.
로빈 웰스(지은이)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시카고대학교에서 학부를 마치고 버클리에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MIT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미시간대학교, 사우샘프턴대학교(영국), 스탠퍼드대학교, MIT에서 강의를 하였다.
박대근(옮긴이)
한양대학교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한국과학기술원 경영공학 석사(1983.2)를 취득했으며, 미국 Harvard대학교(1989.5)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했다. 그 후 미국 뉴욕주립대학교(1989.9~1991.8) 경제학과 조교수로 재직한 후 현재까지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거시경제학과 국제금융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및 학술서적에 거시, 금융, 국제금융 관련 연구논문을 기고했다. 주된 논문으로는 가계부채의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자료 분석(경제연구, 2015), Population Aging and Financial Markets(Seoul Journal of Economics, 2007) 등이 있다. 제7대 한국국제금융학회 회장과 제 제41대 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김재영(옮긴이)
서울대학교 물리학 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경제학 박사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올버니) 조교수, 부교수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연구 분야 : 계량경제학, 거시경제학, 금융경제학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서론 : 일상생활로서의 경제 = 1 어느 일요일 = 1 보이지 않는 손 = 2 나의 편익, 너의 비용 = 3 호황기와 불황기 = 4 발전과 성장 = 5 발견을 위한 원동력 = 5 제1장 제1법칙 = 7 기본원칙 = 7 개인적 선택 : 경제학의 핵심 = 8 자원의 희소성 = 8 기회비용 : 어떤 것을 얻기 위해서 포기해야 하는 것의 실제 비용 = 9 탐구자를 위하여 : 1페니를 가질 것인가? = 10 '얼마나 많이?'는 한계라는 개념에 의해 정해진다 = 11 사람들은 자신의 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 기회를 모두 사용한다 = 12 탐구자를 위하여 : 성적에 대해 보상을 해야하는가? = 13 개인적 선택 : 요약 = 13 현실 경제의 이해 : 여성의 사회진출 = 14 상호작용 :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 15 교역으로부터의 이익이 존재한다 = 15 시장은 균형을 향하여 움직인다 = 17 탐구자를 위하여 : 교통 방향 선택하기 = 17 자원은 사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 18 시장은 대부분 효율성을 달성한다 = 19 시장이 효율성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정부의 개입이 사회의 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 20 현실 경제의 이해 : 고속도로의 균형 회복하기 = 21 경제 전반의 상호작용 = 22 한 경제 주체의 지출은 다른 경제 주체의 소득이다 = 22 경제 전체의 총지출은 그 경제의 생산능력을 벗어나기도 한다 = 23 정부의 정책은 지출을 변화시킬 수 있다 = 23 현실 경제의 이해 : 베이비시터의 모험 = 24 미리보기 = 25 제2장 경제모형 : 상충관계와 무역 = 31 바람터널 = 31 경제학의 모형 : 중요한 예 = 32 탐구자를 위하여 : 경제모형을 통해 돈을 벌다 = 32 상충관계 : 생산가능곡선 = 33 비교우위와 교역으로부터의 이익 = 40 비교우위와 국제무역 = 44 함정 : 비교우위에 대한 오해 = 44 거래 : 순환도 = 45 국제비교 : 파자마 공화국 = 46 현실 경제의 이해 : 부유한 나라, 가난한 나라 = 48 모형 사용하기 = 49 실증적 경제학과 규범적 경제학 = 49 경제학자들이 합의하지 못할 때와 그 이유 = 51 탐구자를 위하여 : 경제학자들이 합의하는 경우 = 52 현실 경제의 이해 : 정부에서 일하는 경제학자들 = 53 미리보기 = 54 제2장 부록 : 경제학과 그래프 = 60 그림 이해하기 = 60 그래프, 변수, 그리고 경제학적 모형 = 60 그래프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60 두 변수 그래프 = 61 그래프에서의 곡선 = 62 기본 개념 : 곡선의 기울기 = 63 직선의 기울기 = 63 수평 및 수직곡선과 그 기울기 = 65 비선형곡선의 기울기 = 65 비선형곡선의 기울기 계산하기 = 67 극대점과 극소점 = 68 곡선 아래 또는 위의 영역 넓이 계산하기 = 69 수치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 = 70 수치 그래프의 유형 = 71 수치 그래프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 = 73 제2부 공급과 수요 제3장 공급과 수요 = 79 커피콩의 수요와 공급 = 79 수요와 공급 : 완전경쟁시장의 모형 = 80 수요곡선 = 81 수요계획과 수요곡선 = 81 국제비교 : 비싸면 덜 쓴다 = 82 함정 : 수요 대(對) 수요량 = 83 수요곡선의 이동 = 83 수요곡선의 이동에 대한 이해 = 84 현실 경제의 이해 : 교통난과의 전쟁 = 89 공급곡선 = 90 공급계획과 공급곡선 = 91 공급곡선의 이동 = 92 공급곡선의 이동에 대한 이해 = 93 현실 경제의 이해 : 작은 동물만이 살아남는다? = 96 수요, 공급, 그리고 균형 = 98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 찾기 = 98 함정 : 사고, 팔다? = 98 왜 시장의 모든 판매와 구매는 같은 가격에서 이루어지는가? = 99 왜 균형가격보다 높으면 시장가격이 떨어지는가? = 100 왜 균형가격보다 낮으면 시장가격이 올라가는가? = 101 균형 개념을 이용한 시장 설명 = 101 현실 경제의 이해 : 공연 티켓의 경제학 = 101 수요와 공급의 변화 = 102 수요곡선의 변화에 따른 결과 = 103 공급곡선의 변화에 따른 결과 = 104 함정 : 어느 곡선일까? = 105 수요와 공급의 동시적인 변화 = 105 탐구자를 위하여 : 패션 모델의 고난 = 106 현실 경제의 이해 : 또띠아 위기 = 107 완전경쟁시장 그리고 기타 = 108 미리보기 = 109 제4장 시장의 반격 = 11 효과적이지 않았던 대도시의 정책들 = 115 정부가 가격을 조정하는 이유 = 116 가격상한제 = 117 가격상한제의 모형화 = 117 가격상한제가 비효율적인 이유 = 118 탐구자를 위하여 : 임대료 규제, 뭄바이의 사례 = 122 가격상한제의 존재 이유 = 123 현실 경제의 이해 : 카라카스에서 쇼핑의 어려움 = 124 가격하한제 = 125 탐구자를 위하여 : 가격하한제와 학교 급식 = 127 왜 가격하한제가 비효율적인가 = 128 함정 : 가격상한과 하한, 그리고 거래량 = 128 가격하한제의 존재 이유 = 130 국제비교 : 미국의 매우 낮은 최저임금 = 131 현실 경제의 이해 : 남부 유럽의 '노동의 암시장' = 131 수량규제 = 133 수량규제에 대한 자세한 분석 = 134 수량규제의 비용 = 137 현실 경제의 이해 : 뉴저지의 대합조개 = 138 미리보기 = 139 제5장 국제무역 = 145 해산물 전쟁 = 145 비교우위와 국제무역 = 146 생산가능성과 비교우위 : 복습 = 146 국제무역으로부터의 이득 = 149 비교우위와 절대우위 = 150 국제비교 : 세계의 생산성과 임금 = 152 비교우위의 원인 = 152 탐구자를 위하여 :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과 국제무역 = 154 현실 경제의 이해 : 기술과 비교우위 = 155 수요, 공급과 국제무역 = 156 수입의 영향 = 157 수출의 영향 = 159 국제무역과 임금 = 160 현실 경제의 이해 : 19세기의 무역, 임금 및 토지가격 = 163 보호무역의 효과 = 164 관세의 효과 = 164 수입할당제의 효과 = 166 현실 경제의 이해 : 미국의 보호무역 = 167 보호무역의 정치경제 = 168 보호무역의 논리 = 168 보호무역의 정치학 = 169 국제무역협정과 세계무역기구 = 169 탐구자를 위하여 : 중국 바지의 홍수 = 171 세계화에 대한 새로운 도전 = 171 현실 경제의 이해 : 도하 협상의 교착 = 173 미리보기 = 174 제5장 부록 :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 180 소비자잉여와 수요곡선 = 180 지불할 용의와 수요곡선 = 180 지불할 용의와 소비자 잉여 = 181 생산자잉여와 공급곡선 = 183 비용과 생산자잉여 = 184 교역으로부터의 이익 = 186 제3부 거시경제학 소개 제6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 189 후버빌 = 189 거시경제학의 본질 = 190 거시경제학적 질문 = 190 거시경제학 :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 = 191 거시경제학 : 이론과 정책 = 192 현실 경제의 이해 : 부시 대통령이 후버 대통령과 달랐던 이유 = 193 경기순환 = 194 경기순환 도표 그리기 = 195 탐구자를 위하여 : 경기후퇴와 경기팽창의 정의 = 196 경기후퇴의 고통 = 197 국제비교 : 국제 경기순환 = 198 경기순환 길들이기 = 198 현실 경제의 이해 : 경기후퇴의 비교 = 199 장기 경제성장 = 200 탐구자를 위하여 : 장기 경제성장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 202 현실 경제의 이해 : 두 식민지 이야기 = 202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20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원인 = 20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고통 = 205 현실경제의 이해 : 신속한 인플레이션 지표 = 205 국제 불균형 = 206 현실경제의 이해 : 에스토니아의 기적적인 무역적자 = 207 미리보기 = 208 제7장 거시경제의 측정 = 213 혁명 이후 = 213 국민계정 = 214 순환도의 재방문과 확장 = 214 국내총생산 = 218 국내총생산의 계산 = 219 탐구자를 위하여 : 추산되는 우리 인생 = 221 함정 : GDP에 포함되는 것과 포함되지 않는 것 = 222 탐구자를 위하여 : 무엇을 더할 것인가? = 224 국내총생산이 의미하는 것 = 225 현실 경제의 이해 : 국민계정의 탄생 = 225 실질 국내총생산 : 총생산의 척도 = 226 실질 국내총생산의 계산 = 227 실질 국내총생산이 측정하지 않는 것 = 229 국제비교 : GDP와 삶의 의미 = 230 현실 경제의 이해 : 베네수엘라의 기적? = 230 물가지수와 물가수준 = 232 시장바구니와 물가지수 = 232 소비자물가지수 = 234 다른 물가지수 = 235 탐구자를 위하여 : 소비자물가지수는 과대평가되었는가? = 236 현실 경제의 이해 : 소비자물가지수 연동제도 = 237 미리보기 = 736 제8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 245 현직 대통령의 패배 = 245 실업률 = 246 실업의 정의와 측정 = 246 실업률의 유의성 = 247 성장과 실업 = 250 현실 경제의 이해 : 낮은 로키산맥 = 252 자연실업률 = 253 일자리의 파괴와 창조 = 254 마찰적 실업 = 254 구조적 실업 = 256 자연실업률 = 258 자연실업률의 변화 = 259 국제비교 : OECD 국가들의 자연실업률 = 260 탐구자를 위하여 : 구금된 실업자? = 261 현실 경제의 이해 : 동독의 구조적 실업 = 262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263 물가수준은 중요하지 않으나… = 264 …물가의 변화율은 중요하다 = 264 인플레이션으로부터의 승자와 패자 = 267 인플레이션은 쉽고 디스인플레이션은 어렵다 = 268 현실 경제의 이해 : 이스라엘의 인플레이션 경험 = 269 미리보기 = 270 제4부 장기 경제성장 제9장 장기 경제성장 = 277 성장 이야기 = 278 시간과 공간에 따른 경제의 비교 = 278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 = 278 경제성장률 = 280 함정 : 수준의 변화와 변화율 = 280 현실 경제의 이해 : 인도가 도약하다 = 282 장기 성장의 원천 = 283 생산성이 중요한 이유 = 283 생산성 향상의 요인 = 283 성장회계 : 총생산함수 = 285 탐구자를 위하여 : 월마트 효과 = 286 함정 : 수익체감이 작용하더라도 생산성은 여전히 증가한다 = 287 자연자원은 어떤 영향을 미칠까? = 289 현실 경제의 이해 : 정보기술의 역설 = 290 성장률에 차이가 나는 이유 = 292 자본, 기술과 성장 격차 = 292 탐구자를 위하여 : R&D의 발명 = 294 국제비교 : 구유럽과 신기술 = 294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부의 역할 = 295 현실 경제의 이해 : 브라질의 곡창지대 = 297 성공, 실망과 실패 = 298 동아시아의 기적 = 298 라틴아메리카의 실망 = 299 아프리카의 어려움 = 300 현시 경제의 이해 : 각국의 경제는 수렴하고 있을까? = 301 세계의 경제성장은 지속가능한가? = 303 자연자원과 성장에 대한 재론 = 303 경제성장과 환경 = 306 탐구자를 위하여 : 자원에 대한 석탄 같은 충고 = 306 현실 경제의 이해 : 기후 보호의 비용 = 306 미리보기 = 309 제10장 저축, 투자지출과 금융시스템 = 315 땅 속의 구멍 = 315 저축과 투자지출 짝짓기 = 316 함정 : 투자와 투자지출 = 316 저축-투자지출 항등관계 = 316 함정 : 여러 가지 종류의 자본 = 318 국제비교 : 미국의 낮은 저축률 = 320 탐구자를 위하여 : 누가 항등관계를 성립되도록 만드는가? = 320 대부자금시장 = 821 현실 경제의 이해 : 50년간의 미국의 이자율 = 328 금융시스템 = 330 금융시스템의 세 가지 과제 = 331 자산의 종류 = 334 금융중개기관 = 336 현실 경제의 이해 : 은행과 한국의 경제 기적 = 339 금융 변동 = 340 탐구자를 위하여 : 다우존스, 지금은 어때요? = 340 주식과 기타 자산에 대한 수요 = 341 자산가격에 대한 기대 = 343 자산가격과 거시경제 = 344 현실 경제의 이해 : 미국의 거대한 주택 거품 = 345 미리보기 = 346 제5부 단기 경기변동 제11장 소득과 지출 = 353 번영과 쇠퇴 = 353 승수 : 비공식적인 소개 = 354 현실 경제의 이해 : 승수와 대공황 = 357 소비지출 = 358 현재의 가처분소득과 소비지출 = 358 총소비함수의 이동 = 362 현실 경제의 이해 : 유명한 첫 예측 실패 사례 = 364 투자지출 = 366 이자율과 투자지출 = 367 예상되는 미래 실질 국내총생산, 생산용량과 투자지출 = 368 재고와 계획되지 않은 투자지출 = 369 현실 경제의 이해 : 이자율과 미국의 주택경기 호황 = 370 소득-지출 모형 = 371 계획된 총지출과 실질 국내총생산 = 372 소득-지출 균형 = 374 재고조정과 승수 과정 = 377 현실 경제의 이해 : 재고와 경기후퇴의 종료 = 380 미리보기 = 381 제11장 부록 : 산술에 의한 승수의 도출 = 386 제12장 총수요와 총공급 = 389 시스템에 대한 충격 = 389 총수요 = 390 총수요곡선이 우하향하는 이유 = 391 총수요곡선과 소득-지출 모형 = 393 총수요곡선의 이동 = 395 함정 : 자산의 변화 : 총수요곡선 상의 이동 대 총수요곡선의 이동 = 397 정부정책과 총수요 = 397 현실 경제의 이해 : 총수요곡선 상의 이동, 1979∼1980년 = 399 총공급곡선 = 399 단기 총공급곡선 = 400 탐구자를 위하여 : 진정으로 신축적인 것과 경직적인 것 = 401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 403 장기 총곡급곡선 = 405 단기에서 장기로 = 408 함정 : 장기가 진정으로 의미하는 것은? = 408 현실 경제의 이해 : 대공황 기간 중의 물가와 총생산 = 409 총수요-총공급 모형 = 411 단기 거시경제 균형 = 411 총수요곡선의 이동 : 단기적 효과 = 412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 = 412 국제비교 : 2007∼2008년의 공급충격 = 415 장기 거시경제 균형 = 415 탐구자를 위하여 : 디플레이션은 어디로 갔나? = 417 현실 경제의 이해 : 현실에 있어서 공급충격과 수요충격 = 419 거시경제 정책 = 420 수요충격에 대한 정책 = 421 탐구자를 위하여 : 케인즈와 장기 = 421 공급충격에 대한 대응 = 422 현실 경제의 이해 : 경기안정정책은 경기를 안정시킬 수 있나? = 423 미리보기 = 424 제6부 안정화 정책 제13장 재정정책 = 431 경제의 시동 걸기 = 431 재정정책의 기초 = 432 조세, 재화와 서비스 구매, 정부 이전지출 그리고 차입 = 433 정부예산과 정부지출 = 434 확장적 재정정책과 긴축적 재정정책 = 435 탐구자를 위하여 : 투자세액공제 = 435 주의해야 할 것 : 재정정책의 시차 = 437 현실 경제의 이해 : 일본의 확장적 재정정책 = 438 정부구매 증가의 승수효과 = 439 정부구매 증가의 승수효과 = 440 정부 이전지출과 조세의 승수효과 = 441 조세가 승수에 미치는 영향 = 443 현실 경제의 이해 : 그 경기부양조치에 대해… = 444 재정수지 = 446 재정정책의 척도로서의 재정수지 = 446 경기순환과 순환조정된 재정수지 = 447 재정수지는 균형을 이루어야만 하는가? = 449 현실 경제의 이해 : 안정성 조약인가 우둔성 조약인가? = 450 재정정책의 장기적 영향 = 451 적자, 흑자와 부채 = 451 함정 : 적자 대 부채 = 452 정부부채 증가가 제기하는 문제 = 452 국제비교 : 미국식 부채 = 453 현실에 있어서의 재정적자와 정부부채 = 454 탐구자를 위하여 :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정부부채는 어떻게 해소 되었는가? = 455 암묵적 부채 = 456 현실 경제의 이해 : 아르헨티나의 채권자들이 이발을 하다 = 458 미리보기 = 460 제13장 부록 : 조세와 승수 = 466 제14장 화폐, 은행과 연방준비제도 = 469 우스운 화폐 = 469 화폐의 의미 = 470 화폐란 무엇인가? = 471 국제비교 : 덩치 큰 화폐들 = 473 화폐의 역할 = 473 화폐의 종류 = 473 화폐공급의 측정 = 475 함정 : 화폐공급에 포함되지 않는 것 = 475 탐구자를 위하여 : 도대체 현금은 모두 어디에 있는 것일까? = 476 현실 경제의 이해 : 달러의 역사 = 476 화폐공급에 있어서 은행의 역할 = 478 은행이 하는 일 = 478 예금인출사태의 문제 = 479 은행 규제 = 480 현실 경제의 이해 : 훌륭한 은행 제도 = 482 화폐공급의 결정 = 483 은행은 어떻게 화폐를 창조하는가 = 483 지불준비금, 예금과 화폐승수 = 485 현실에 있어서의 화폐승수 = 486 현실 경제의 이해 : 화폐공급 감소의 승수 과정 = 488 연방준비제도 = 489 연방준비제도의 구조 = 489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 지불준비율과 재할인율 설정 = 490 공개시장 조작 = 491 유럽중앙은행 = 493 탐구자를 위하여 : 누가 연준이 보유한 자산에 대한 이자를 받아 가는가? = 493 현실 경제의 이해 : 연준의 대차대조표 : 정상과 비정상 = 495 21세기 미국 은행시스템의 개관 = 497 20세기 전환점에 있어서 미국 은행업의 위기 = 497 은행위기에 대한 반응 : 연방준비제도의 창설 = 498 1980년대의 저축대부조합 위기 = 500 미래로 되돌아가기 : 2008년의 금융위기 = 501 현실 경제의 이해 : 2008년 위기와 연준 = 504 미리보기 = 506 제15장 통화정책 = 513 연준은 잠자고 있다! = 513 화폐수요 = 514 화폐 보유의 기회비용 = 514 탐구자를 위하여 : 두려움과 이자율 = 515 화폐수요곡선 = 516 화폐수요곡선의 이동 = 517 현실 경제의 이해 : 엔화는 현금으로 = 519 화폐와 이자율 = 520 균형이자율 = 521 함정 : 목표 대 시장 = 522 두 가지 이자율 모형? = 522 통화정책과 이자율 = 523 탐구자를 위하여 : 장기이자율 = 524 현실 경제의 이해 : 연방준비제도가 경로를 바꾸다 = 525 통화정책과 총수요 = 526 확장적 통화정책과 긴축적 통화정책 = 527 통화정책, 소득과 지출 = 528 실제의 통화정책 = 529 인플레이션 목표제 = 531 국제비교 : 인플레이션 목표 = 531 현실 경제의 이해 : 연준은 원하는 것을 이룬다 = 532 장기에 있어서의 화폐, 총생산과 물가 = 533 화폐공급 증가의 단기 및 장기 효과 = 534 화폐의 중립성 = 535 장기에 있어서의 화폐공급 변화와 이자율 = 536 현실 경제의 이해 : 화폐의 중립성에 대한 국제적 증거 = 537 미리보기 = 538 제15장 부록 : 두 가지 이자율 모형의 일관성 = 542 단기에 있어서의 이자율 = 542 장기에 있어서의 이자율 = 544 제16장 인플레이션, 디스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 547 여행가방 들고 은행에 가기 = 547 화폐와 인플레이션 = 548 화폐와 물가에 대한 고전적 모형 = 548 탐구자를 위하여 : 인플레이션에 연동하기 = 551 인플레이션세 = 552 초인플레이션의 논리 = 553 현실 경제의 이해 : 짐바브웨의 인플레이션 = 555 완만한 인플레이션과 디스인플레이션 = 556 총생산 갭과 실업률 = 557 단기 필립스곡선 = 559 탐구자를 위하여 : 오쿤의 법칙 = 559 탐구자를 위하여 : 총공급곡선과 단기 필립스곡선 = 561 인플레이션 기대와 단기 필립스곡선 = 563 현실 경제의 이해 : 무서웠던 70년대에서 멋들어진 90년대로 = 564 장기에 있어서의 인플레이션과 실업 = 566 장기 필립스곡선 = 566 자연실업률 재방문 = 568 국제비교 : 세계 각국의 디스인플레이션 = 568 디스인플레이션의 비용 = 569 현실 경제의 이해 : 1980년대의 대(大)디스인플레이션 = 570 디플레이션 = 571 부채 디플레이션 = 571 예상된 디플레이션의 영향 = 572 현실 경제의 이해 : 비재래식으로의 선회 = 574 미리보기 = 575 제7부 사건과 아이디어 제17장 거시경제학 : 사건과 아이디어 = 575 이용가능한 모든 수단들 = 579 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580 화폐와 물가 = 580 경기순환 = 581 현실 경제의 이해 : 경기순환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 581 대공황과 케인즈 혁명 = 583 케인즈의 이론 = 583 경기후퇴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 585 탐구자를 위하여 : 케인즈의 정치학 = 585 현실 경제의 이해 : 대공황의 종식 = 586 케인즈학파 경제학에 대한 도전 = 587 통화정책의 재기 = 588 통화주의 = 588 인플레이션과 자연실업률 = 591 정치적 경기순환 = 592 현실 경제의 이해 :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주의 희롱 = 593 합리적 기대, 실물적 경기변동, 새 고전학파 거시경제학 = 594 합리적 기대 = 594 실물적 경기변동 = 595 탐구자를 위하여 : 공급경제학 = 596 현실 경제의 이해 : 총요소생산성과 경기순환 = 596 현대적 의견일치 = 598 확장적 통화정책은 경기후퇴를 저지하는 데 도움이 될까? = 598 확장적 재정정책은 경기후퇴를 저지하는 데 도움이 될까? = 599 통화정책이나 재정정책이 장기적으로 실업을 감소시킬 수 있을까? = 599 재정정책은 재량적으로 사용되어야 할까? = 599 통화정책은 재량적으로 사용되어야 할까? = 600 거시경제학의 분명하고 조그만 비밀 = 602 현실 경제의 이해 : 거품 이후 = 603 미리보기 = 604 제8부 개방경제 제18장 개방경제 거시경제학 = 609 행복한 여행객과 슬픈 여행객 = 609 자본흐름과 국제수지 = 610 국제수지 계정 = 610 탐구자를 위하여 : GDP, GNP, 그리고 경상수지 = 615 금융수지의 모형화 = 615 국제비교 :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 616 국제 자본흐름의 결정요인 = 619 양방향 자본흐름 = 619 탐구자를 위하여 : 범세계적인 저축 과잉? = 620 현실 경제의 이해 : 자본흐름의 황금기 = 620 환율의 역할 = 622 환율의 이해 = 622 균형환율 = 623 함정 : 어느 쪽이 올랐을까? = 623 인플레이션과 실질환율 = 626 구매력 평가 = 628 탐구자를 위하여 : 햄버거 경제학 = 629 현실 경제의 이해 : 저비용 미국 = 630 환율정책 = 632 환율제도 = 632 어떻게 환율이 고정될 수 있을까? = 632 환율제도 딜레마 = 634 탐구자를 위하여 : 브레튼 우즈에서 유로화에 이르기까지 = 636 현실 경제의 이해 : 중국이 위안화를 고정시키다 = 636 환율과 거시경제정책 = 637 고정환율의 평가절하와 평가절상 = 638 변동환율제도에서의 통화정책 = 639 국제 경기순환 = 640 현실 경제의 이해 : 평가절하된 파운드화의 기쁨 = 641 표 1 미국의 거시경제자료 1929∼2007년 = 647 표 2 국가별 거시경제자료 : GDP(10억 달러) = 652 표 3 국가별 거시경제자료 : 1인당 GDP(달러) = 656 '이해돕기' 문제에 대한 해답 = 661 찾아보기 =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