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진동, 연구책임 문영주, 연구 박주현, 연구 신항수, 연구 진재관, 연구 임기환, 연구 김옥진, 연구 배성호, 연구 정미란, 연구 김미선, 연구 김민정, 연구 김성자, 연구 백유선, 연구 우정애, 연구 강석화, 연구 이경찬, 연구 강선주, 연구 오정현, 연구 최상훈, 연구 박귀미, 연구 박제윤, 연구 유상범, 연구
Title Statement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 박진동 연구책임 ; 문영주 [외] 연구; 박제윤, 유상범 연구협력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대전] :   충청남도교육청,   2012  
Physical Medium
ix, 249 p. : 삽화 ; 26 cm
ISBN
9788966871421
General Note
연구: 박주현, 신항수, 진재관, 임기환, 김옥진, 배성호, 정미란, 김미선, 김민정, 김성자, 백유선, 우정애, 강석화, 이경찬, 강선주, 오정현, 최상훈, 박귀미  
2012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105-107)과 부록수록
000 02587namcc2200769 c 4500
001 000045719334
005 20120911192959
007 ta
008 120911s2012 ulka b 000c korFR
020 ▼a 978896687142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1.26 ▼2 22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2z6
245 0 0 ▼a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 ▼d 박진동 연구책임 ; ▼e 문영주 [외] 연구; ▼e 박제윤, ▼e 유상범 연구협력
246 1 1 ▼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in history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60 ▼a 서울 : ▼b 교육과학기술부 ; ▼a [대전] : ▼b 충청남도교육청, ▼c 2012
300 ▼a ix, 249 p. : ▼b 삽화 ; ▼c 26 cm
500 ▼a 연구: 박주현, 신항수, 진재관, 임기환, 김옥진, 배성호, 정미란, 김미선, 김민정, 김성자, 백유선, 우정애, 강석화, 이경찬, 강선주, 오정현, 최상훈, 박귀미
500 ▼a 2012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
504 ▼a 참고문헌(p. 105-107)과 부록수록
536 ▼a 이 연구는 2012년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을 위한 특별교부금으로 수행되었음
700 1 ▼a 박진동, ▼e 연구책임 ▼0 AUTH(211009)8493
700 1 ▼a 문영주, ▼e 연구
700 1 ▼a 박주현, ▼e 연구
700 1 ▼a 신항수, ▼e 연구 ▼0 AUTH(211009)144090
700 1 ▼a 진재관, ▼e 연구 ▼0 AUTH(211009)53581
700 1 ▼a 임기환, ▼e 연구
700 1 ▼a 김옥진, ▼e 연구
700 1 ▼a 배성호, ▼e 연구 ▼0 AUTH(211009)118442
700 1 ▼a 정미란, ▼e 연구 ▼0 AUTH(211009)78903
700 1 ▼a 김미선, ▼e 연구
700 1 ▼a 김민정, ▼e 연구
700 1 ▼a 김성자, ▼e 연구
700 1 ▼a 백유선, ▼e 연구 ▼0 AUTH(211009)59577
700 1 ▼a 우정애, ▼e 연구 ▼0 AUTH(211009)36648
700 1 ▼a 강석화, ▼e 연구 ▼0 AUTH(211009)49292
700 1 ▼a 이경찬, ▼e 연구
700 1 ▼a 강선주, ▼e 연구 ▼0 AUTH(211009)57512
700 1 ▼a 오정현, ▼e 연구
700 1 ▼a 최상훈, ▼e 연구
700 1 ▼a 박귀미, ▼e 연구 ▼0 AUTH(211009)20282
700 1 ▼a 박제윤, ▼e 연구 ▼0 AUTH(211009)72687
700 1 ▼a 유상범, ▼e 연구 ▼0 AUTH(211009)14116
900 1 0 ▼a Park, Jindong, ▼e 연구책임
900 1 0 ▼a Mun, Youngjoo, ▼e 연구
900 1 0 ▼a Park, Joohyun, ▼e 연구
900 1 0 ▼a Sin, Hangsu, ▼e 연구
900 1 0 ▼a Chin, Jaegwan, ▼e 연구
900 1 0 ▼a Lim, Ki Hwan, ▼e 연구
900 1 0 ▼a Kim, Ok Jin, ▼e 연구
900 1 0 ▼a Bae, Seong Ho, ▼e 연구
900 1 0 ▼a Jeong, Mi-ran, ▼e 연구
900 1 0 ▼a Kim, Mi Sun, ▼e 연구
900 1 0 ▼a Kim, Min Jung, ▼e 연구
900 1 0 ▼a Kim, Sung Ja, ▼e 연구
900 1 0 ▼a Paek, Yooseon, ▼e 연구
900 1 0 ▼a Woo, Jeongae, ▼e 연구
900 1 0 ▼a Kang, Seok Hwa, ▼e 연구
900 1 0 ▼a Lee, Kyung Chan, ▼e 연구
900 1 0 ▼a Kang, Sun Joo, ▼e 연구
900 1 0 ▼a Oh, Jeong-hyun, ▼e 연구
900 1 0 ▼a Choi, Sang Hoon, ▼e 연구
900 1 0 ▼a Park, Guimi, ▼e 연구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2z6 Accession No. 1116746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공동연구진


연구협력진


머리말 / 성태제


연구요약


목차


I.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배경 및 절차 15


1.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배경과 필요성 17


가.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성취기준 개발 17


나. 성취평가제의 도입에 따른 학교 지원 19


다. 역사과 성취기준 개발과 계열성·위계성 원리 22


2.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절차 24


가. 개발 내용 24


나. 연구진 구성 26


다. 추진 일정과 절차 26


II.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문항 개발 31


1. 역사과 교육과정 분석 33


가. 역사교육의 목표 및 특성과 성취기준·성취수준의 개발 33


나. 역사학습 내용의 계열성과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35


2. 성취기준의 의미와 개발 방향 38


가. 성취기준의 의미와 기능 38


나. 성취기준 개발의 실제 40


3. 성취수준의 의미와 개발 방향 48


가. 성취수준의 의미와 성취평가제 48


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개발 50


다.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개발 54


4. 예시평가문항의 개발 방향 62


가. 개발의 방향 62


나. 역사과 평가 문항 제작의 원리 64


다. 예시평가문항 69


5. 성취수준의 활용 78


가. 학기 단위 성취수준의 활용 78


나. 단원/영역 단위 성취수준 79


다.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활용 79


III.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현장 적합성 검토 85


1. 검토 목적 및 절차 87


가. 현장 적합성 검토의 목적과 일정 87


나. 검토 절차와 방법 87


2. 검토기준 및 관점 89


가. 성취기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89


나.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0


다.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0


라. 예시평가도구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1


3. 검토 결과 반영 예시 93


가. 성취기준 검토 결과 반영 예시 93


나.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검토 결과 반영 예시 97


다. 학기 단위 성취수준의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반영 예시 102


라. 예시평가도구의 검토 결과 반영 예시 104


IV. 요약 및 제언 113


1. 요약 115


2. 제언 117


참고문헌 119


Abstract 122


부록 125


I.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127


1. 초등학교 역사 내용 127


2. 중학교 역사 127


3. 고등학교 한국사 130


4.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131


5. 고등학교 세계사 132


II. 초등학교 역사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133


1. 성취기준·성취수준 133


2. 예시평가도구 139


III. 중학교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148


1. 성취기준·성취수준 148


2.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예시 166


3. 예시평가도구 167


IV. 고등학교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176


1. 고등학교 한국사 176


가. 성취기준·성취수준 176


나.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예시 185


다. 예시평가도구 187


2.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227


가. 성취기준·성취수준 227


나.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예시 233


다. 예시평가도구 235


3. 고등학교 세계사 246


가. 성취기준·성취수준 246


나.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예시 253


다. 예시평가도구 255


〈표 I-1〉 본 연구의 개발 내역 24


〈표 I-2〉 주요 용어 해설 25


〈표 I-3〉 공동 연구진 및 협력진의 역할 구분 26


〈표 I-4〉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연구 추진 일정 29


〈표 II-1〉 고등학교 역사과 교육 목표 35


〈표 II-2〉 2009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36


〈표 II-3〉 한국사·세계사 영역의 학교급별 내용 구성 원칙 38


〈표 II-4〉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수 비교 40


〈표 II-5〉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의 수행 동사 분석 결과 44


〈표 II-6〉 7차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의 수행 동사 분석 결과 44


〈표 II-7〉 성취수준 상/중/하의 일반적 특성 51


〈표 II-8〉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기준의 수행 동사 분석 53


〈표 II-9〉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수행 동사 분석 54


〈표 II-10〉 성취수준 A/B/C/D/E/(F)의 일반적 특성 56


〈표 II-11〉 수행평가 채점 기준 예시 67


〈표 II-12〉 총체적 채점 기준 설정 방식 예시 68


〈표 III-1〉 현장 적합성 검토 참여 학교 88


〈표 III-2〉 성취기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89


〈표 III-3〉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0


〈표 III-4〉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0


〈표 III-5〉 예시평가도구의 검토 기준 및 관점 91


〈표 III-6〉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건수 91


[그림 I-1] 학교급 및 교과별 성취평가제 단계적 추진 일정 19


[그림 I-2]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의 개요 20


[그림 I-3] 성취기준 목표 지향적 교육 체제 21


[그림 I-4] 역사과 성취기준·성취수준 연구의 추진 단계 27


[그림 II-1]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별 목표 구성의 핵심 요소 33


[그림 II-2] 성취수준 ''상/중/하'' 체계의 학년군 간 관계 모형 50


[그림 II-3] 성취수준 진술에 따른 채점 기준 설정 65


[그림 III-1] 현장 적합성 검토의 절차 및 일정 87


[그림 III-2] 현장 적합성 검토의 단계 89


〈사례 II-1〉 성취기준 코드 부여 방식 41


〈사례 II-2〉 초, 중, 고 성취기준의 내용이 위계화된 사례 42


〈사례 II-3〉 교육과정 내용을 간략화한 성취기준 개발 사례 45


〈사례 II-4〉 교육과정 내용을 분리한 성취기준 개발 사례① 46


〈사례 II-5〉 교육과정 내용을 분리한 성취기준 개발 사례② 46


〈사례 II-6〉 교육과정 내용을 분리한 성취기준 개발 사례③ 47


〈사례 II-7〉 교육과정 내용을 분리한 성취기준 개발 사례④ 47


〈사례 II-8〉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예시 52


〈사례 II-9〉 지식과 기능 영역 구조화 수준에 따른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개발 사례 61


〈사례 II-10〉 성취기준을 고려한 선택형 문항 개발 사례 70


〈사례 II-11〉 성취기준을 고려한 서답형 문항 개발 사례 72


〈사례 II-12〉 성취기준을 고려한 수행평가 문항 개발 사례 74


〈사례 II-13〉 고등학교 한국사 학기 평가 계획 76


〈사례 II-14〉 고등학교 한국사 이원목적분류표 76


〈사례 II-15〉 성취수준 기술의 교수·학습 상황 제시 80


〈사례 II-16〉 성취수준의 상, 중, 하 수준 사례 81


〈사례 II-17〉 성취기준을 활용한 선다형 문항 제작 사례 82


〈사례 II-18〉 성취기준을 활용한 수행평가 채점 기준 사례 83


〈사례 III-1〉 성취기준의 방향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3


〈사례 III-2〉 양과 수준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4


〈사례 III-3〉 진술의 명료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5


〈사례 III-4〉 적용의 실효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6


〈사례 III-5〉 수준의 위계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7


〈사례 III-6〉 양과 수준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8


〈사례 III-7〉 진술의 명료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99


〈사례 III-8〉 적용의 실효성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101


〈사례 III-9〉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102


〈사례 III-10〉 선택형 문항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104


〈사례 III-11〉 서답형 문항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107


〈사례 III-12〉 수행평가 문항에 대한 검토 의견 반영 11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