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민우, 연구책임 노은희, 연구 김도남, 연구 옥현진, 연구 최숙기, 연구 구영산, 연구 강영미, 연구 곽춘옥, 연구 구본관, 연구 김기훈, 연구 김창원, 연구 김호태, 연구 류수열, 연구 안혁, 연구 이도영, 연구 이지수, 연구 이한공, 연구 조재윤, 연구 주세형, 연구 진선희, 연구 천경록, 연구 황희종, 연구 박제윤, 연구 최종선, 연구 정세희, 연구
서명 / 저자사항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 남민우 연구책임 ; 노은희 [외] 연구 ; 박제윤, 최종선 연구협력; 정세희 연구조원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   [대전] :   충청남도교육청,   2012  
형태사항
vii, 470 p. : 삽화 ; 26 cm
ISBN
9788966871391
일반주기
연구: 김도남, 옥현진, 최숙기, 구영산, 강영미, 곽춘옥, 구본관, 김기훈, 김창원, 김호태, 류수열, 안혁, 이도영, 이지수, 이한공, 조재윤, 주세형, 진선희, 천경록, 황희종  
2012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07-109
000 02193namcc2200637 c 4500
001 000045719332
005 20120911195553
007 ta
008 120911s2012 ulka b 000c korFR
020 ▼a 9788966871391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1.26 ▼2 22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2z8
245 0 0 ▼a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 ▼d 남민우 연구책임 ; ▼e 노은희 [외] 연구 ; ▼e 박제윤, ▼e 최종선 연구협력; ▼e 정세희 연구조원
246 1 1 ▼a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s standards and level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 ▼b Korean language education
260 ▼a 서울 : ▼b 교육과학기술부 ; ▼a [대전] : ▼b 충청남도교육청, ▼c 2012
300 ▼a vii, 470 p. : ▼b 삽화 ; ▼c 26 cm
500 ▼a 연구: 김도남, 옥현진, 최숙기, 구영산, 강영미, 곽춘옥, 구본관, 김기훈, 김창원, 김호태, 류수열, 안혁, 이도영, 이지수, 이한공, 조재윤, 주세형, 진선희, 천경록, 황희종
500 ▼a 2012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
504 ▼a 참고문헌: p. 107-109
536 ▼a 이 연구는 2012년도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 사업을 위한 특별교부금으로 수행되었음
700 1 ▼a 남민우, ▼e 연구책임 ▼0 AUTH(211009)44326
700 1 ▼a 노은희, ▼e 연구 ▼0 AUTH(211009)34608
700 1 ▼a 김도남, ▼e 연구 ▼0 AUTH(211009)141846
700 1 ▼a 옥현진, ▼e 연구
700 1 ▼a 최숙기, ▼e 연구 ▼0 AUTH(211009)78639
700 1 ▼a 구영산, ▼e 연구 ▼0 AUTH(211009)14033
700 1 ▼a 강영미, ▼e 연구
700 1 ▼a 곽춘옥, ▼e 연구 ▼0 AUTH(211009)106700
700 1 ▼a 구본관, ▼e 연구
700 1 ▼a 김기훈, ▼e 연구
700 1 ▼a 김창원, ▼e 연구
700 1 ▼a 김호태, ▼e 연구
700 1 ▼a 류수열, ▼e 연구
700 1 ▼a 안혁, ▼e 연구
700 1 ▼a 이도영, ▼e 연구
700 1 ▼a 이지수, ▼e 연구
700 1 ▼a 이한공, ▼e 연구 ▼0 AUTH(211009)121936
700 1 ▼a 조재윤, ▼e 연구 ▼0 AUTH(211009)129246
700 1 ▼a 주세형, ▼e 연구 ▼0 AUTH(211009)116353
700 1 ▼a 진선희, ▼e 연구 ▼0 AUTH(211009)80147
700 1 ▼a 천경록, ▼e 연구
700 1 ▼a 황희종, ▼e 연구
700 1 ▼a 박제윤, ▼e 연구 ▼0 AUTH(211009)72687
700 1 ▼a 최종선, ▼e 연구
700 1 ▼a 정세희, ▼e 연구 ▼0 AUTH(211009)39224
900 1 0 ▼a Nam, Min-Woo, ▼e 연구책임
900 1 0 ▼a Noh, Eun-Hee, ▼e 연구
900 1 0 ▼a Kim, Do-Nam, ▼e 연구
900 1 0 ▼a Ok, Hyoun-Jin, ▼e 연구
900 1 0 ▼a Choi, Sook-Ki, ▼e 연구
900 1 0 ▼a Goo, Young-San, ▼e 연구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26 2012z8 등록번호 111674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머리말 / 성태제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5


2. 연구 내용과 방법 16


가. 연구 내용 16


나. 연구 방법 18


II.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개발 방안 23


1. 성취평가제와 학생 평가의 변화 25


2.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의미 27


가. 성취기준의 의미 27


나. 성취수준의 의미 28


다. 예시 평가도구의 의미 30


3.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개발 방안 31


가. 성취기준의 개발 방안 31


나. 성취수준의 개발 방안 33


다. 예시 평가도구의 개발 방안 39


4. 현장 적합성 검토 방안 40


가. 현장 적합성 검토 목적과 일정 40


나. 현장 적합성 검토의 기준과 관점 41


다. 현장 적합성 검토 절차와 방법 43


III. 국어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개발 방안 45


1.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 분석 47


가. 내용 체계의 특징 분석 47


나. 내용 성취기준의 특징 분석 63


2. 영역·과목별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개발 방안 75


가. 듣기·말하기 및 화법 영역 75


나. 읽기 및 독서 영역 80


다. 쓰기 및 작문 영역 85


라. 문법 영역 90


마. 문학 영역 94


바. 고전 과목 103


3.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108


가. 성취기준의 활용 방안 108


나. 성취수준의 활용 방안 108


다.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110


IV. 요약 및 제언 111


1. 요약 113


2. 제언 116


참고문헌 119


Abstract 123


부록 125


[부록 1] 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 127


[부록 2] 중학교 국어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 189


[부록 3] 고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 235


[부록 4] 고등학교 심화과목(문예창작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 389


[부록 5] 현장 적합성 검토 양식(고등학교) 479


〈표 I-2-1〉 국어과 성취기준 개발 연구 일정 20


〈표 II-3-1〉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상-중-하)의 일반적 특성 34


〈표 II-4-1〉 성취기준 검토 지침 41


〈표 II-4-2〉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 검토 지침 42


〈표 II-4-3〉 학기/과목 단위 성취수준 검토 지침 42


〈표 II-4-4〉 예시 평가도구와 평가문항 검토 지침 42


〈표 III-1-1〉 듣기·말하기 영역의 내용 체계 (2009년 개정) 47


〈표 III-1-2〉 ''국어 I''과 ''국어 II''의 화법 영역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48


〈표 III-1-3〉 ''화법과 작문''의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49


〈표 III-1-4〉 공통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의 ''성취 기준'' 수 비교 50


〈표 III-1-5〉 선택 교육과정 화법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0


〈표 III-1-6〉 읽기 영역의 내용 체계 (2009년 개정) 51


〈표 III-1-7〉 ''국어 I''과 ''국어 II''의 독서 영역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52


〈표 III-1-8〉 ''독서와 문법''의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52


〈표 III-1-9〉 공통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3


〈표 III-1-10〉 선택 교육과정 독서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3


〈표 III-1-11〉 쓰기 영역의 내용 체계 (2009 개정) 54


〈표 III-1-12〉 공통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5


〈표 III-1-13〉 선택 교육과정 작문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5


〈표 III-1-14〉 공통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 (2009 개정) 56


〈표 III-1-15〉 ''국어 I ''과 ''국어 II''의 문법 영역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57


〈표 III-1-16〉 ''독서와 문법''의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57


〈표 III-1-17〉 공통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8


〈표 III-1-18〉 선택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58


〈표 III-1-19〉 공통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 (2009 개정) 59


〈표 III-1-20〉 ''국어 I ''과 ''국어 II''의 문학 영역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60


〈표 III-1-21〉 선택 교육과정 〈문학〉 의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60


〈표 III-1-22〉 공통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 수 감축 61


〈표 III-1-23〉 선택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수 비교 61


〈표 III-1-24〉 선택 교육과정 〈고전〉 과목의 내용 체계 (2011년 개정) 62


〈표 III-1-25〉 듣기·말하기 담화 유형별 학년 간 위계 63


〈표 III-1-26〉 듣기·말하기 영역의 학년군별 영역 성취기준 63


〈표 III-1-27〉 교육과정 개발진이 제시한 문식성의 발달 기준 65


〈표 III-1-28〉 2009 개정 교육과정 공통 교육과정 읽기 영역의 학년군별 성취 기준 66


〈표 III-1-29〉 공통 교육과정 읽기 교육 내용의 위계화 66


〈표 III-1-30〉 공통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교육 내용 위계화 67


〈표 III-1-31〉 쓰기 영역의 학년군별 영역 성취 기준 68


〈표 III-1-32〉 문법 교육 내용의 학년 간 위계 69


〈표 III-1-33〉 문법 영역의 학년군별 영역 성취 기준 70


〈표 III-1-34〉 공통 교육과정 문학 교육 내용의 위계화 71


〈표 III-1-35〉 문학 영역의 학년군별 영역 성취 기준 73


〈표 III-1-36〉 고전 과목의 내용 성취 기준 74


〈표 III-2-1〉 단계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76


〈표 III-2-2〉 병렬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76


〈표 III-2-3〉 함축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77


〈표 III-2-4〉 중3 듣기·말하기 영역의 학기 단위 성취수준 진술문 78


〈표 III-2-5〉 중학교 1-3학년군 듣기·말하기 예시 평가도구 79


〈표 III-2-6〉 단계형 원리에 따라 개발된 읽기 영역 성취기준의 예 80


〈표 III-2-7〉 병렬형 원리에 따라 개발된 읽기 영역 성취기준의 예 81


〈표 III-2-8〉 함축형 원리에 따라 개발된 읽기 영역 성취기준의 예 82


〈표 III-2-9〉 중3 읽기 영역의 학기 단위 성취수준 진술문 82


〈표 III-2-10〉 중학교 1-3학년군 읽기 영역 예시 평가도구 84


〈표 III-2-11〉 단계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85


〈표 III-2-12〉 병렬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86


〈표 III-2-13〉 적용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87


〈표 III-2-14〉 중3 쓰기 영역의 학기 단위 성취수준 진술문 88


〈표 III-2-15〉 중학교 1-3학년군 쓰기 예시 평가도구 89


〈표 III-2-16〉 단계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90


〈표 III-2-17〉 함축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91


〈표 III-2-18〉 병렬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92


〈표 III-2-19〉 중3 문법 영역의 학기 단위 성취수준 진술문 93


〈표 III-2-20〉 중학교 1-3학년군 문법 예시 평가도구 94


〈표 III-2-21〉 문학 텍스트의 범위나 수준을 고려한 성취기준 95


〈표 III-2-22〉 국어능력의 단계를 고려한 성취기준 1-지식의 계층성 96


〈표 III-2-23〉 국어능력의 단계를 고려한 성취기준 2-지식의 확장성 97


〈표 III-2-24〉 국어능력의 단계를 고려한 성취기준 3-지식의 순차성 97


〈표 III-2-25〉 명시화된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독립성을 고려한 성취기준 98


〈표 III-2-26〉 내용 성취기준에서의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함축성을 고려한 성취기준 99


〈표 III-2-27〉 중2 문학 영역의 학기 단위 성취수준 진술문 100


〈표 III-2-28〉 중학교 1-3학년군 문학 예시 평가 도구 101


〈표 III-2-29〉 단계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103


〈표 III-2-30〉 병렬형 원리에 따른 개발 예시 104


〈표 III-2-31〉 고전 과목의 성취수준 진술문 105


〈표 III-2-32〉 고전 과목의 예시 평가 도구 106


[그림 I-2-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구성도 17


[그림 II-1-1]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의 개요 26


[그림 II-2-1]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 30


[그림 II-3-1] 성취기준 개발 절차 31


[그림 II-3-2] 단원/영역 단위 및 학기/과목 단위의 성취수준 개발 과정 37


[그림 II-4-1] 현장적합성 검토 일정 41


[그림 II-4-2] 현장적합성 검토 과정 43


[그림 IV-2-1] 국어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도구 개발 및 활용 체제 강화를 위한 제언 11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