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성태제
연구요약
목차
I.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의 배경 및 절차 14
1. 개발의 배경과 필요성 16
2. 개발의 절차와 방법 18
가. 개발 절차 18
나. 주요 내용 19
다. 연구 방법 22
II.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 문항 개발 26
1. 성취기준의 의미와 개발 원리 28
가. 성취기준의 의미 28
나. 성취기준의 개발 원리 29
2. 성취수준의 의미와 개발 원리 35
가. 성취수준의 의미 35
나. 성취수준의 개발 원리 37
다. 성취수준의 활용 42
3. 평가문항 개발 원리 47
가. 평가문항 개발 목적 47
나. 평가문항 개발 원리 48
III. 고등학교 체육과 심화과목 매뉴얼 개발 56
1. 고등학교 심화과목 매뉴얼 개발의 필요성 58
2. 고등학교 심화과목 매뉴얼 개발 절차 60
가. 심화과목 교육과정 체계의 파악 및 대표 과목의 선정 60
나. 심화과목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 개발 원리와 예시 작성 61
다. 선정 과목의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개발 65
IV.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 문항 현장 적합성 검토 68
1. 검토 목적 및 절차 70
가. 검토 목적 70
나. 검토 절차 70
2. 검토 기준 및 관점 73
가. 성취기준 73
나.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73
다. 단원/영역, 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74
라. 예시평가문항 74
마. 심화과목 매뉴얼 75
3. 검토 결과 반영 예시 75
가. 성취기준 76
나. 성취수준 77
다. 영역/학기 단위의 성취수준 80
V. 요약 및 제언 84
1. 요약 86
2. 제언 88
참고문헌 91
부록 94
[부록 I]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 96
[부록 II] 초등학교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 평가문항 100
[부록 III] 중학교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181
[부록 IV] 고등학교 체육과 일반과목 성취기준·성취수준·예시평가문항 246
[부록 V] 고등학교 체육과 심화과목 매뉴얼 382
〈표 I-1〉 체육과 기준개발 회의 현황 23
〈표 II-1〉 성취기준 번호와 진술 어미 예시 29
〈표 II-2〉 성취 기준이 교육과정의 양과 수준을 적정화한 경우 30
〈표 II-3〉 교육과정이 포괄적이어서 분리하여 개발한 경우 30
〈표 II-4〉 교육과정이 상세하여 통합해 개발한 경우 31
〈표 II-5〉 ''초등학교 체육''과 중학교 ''체육'' 교과 성취기준 간 위계 예시 31
〈표 II-6〉 교육과정이 모호하여 구체적으로 개발한 경우 32
〈표 II-7〉 초, 중, 고등학교 체육교과 성취기준 개발 내역 32
〈표 II-8〉 성취기준의 상/중/하 구분 37
〈표 II-9〉 중학교 여가활동 ''사회와 여가'' 영역 성취수준의 예 39
〈표 II-10〉 중학교 7학년 1학기 성취수준의 예 40
〈표 II-11〉 예시평가문항(도구) 개발 현황 48
〈표 II-12〉 예시평가문항 개발의 예 51
〈표 II-13〉 중학교 7-1학기 평가 계획표의 예 54
〈표 III-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체육과 심화과목 구성 체계 60
〈표 III-2〉 체육과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 예시 개발 과목 61
〈표 IV-1〉 성취기준 현장 적합성 검토 결과 정리 형식 75
[그림 I-1] 체육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연구 절차 18
[그림 II-1] 성취수준 ''상/중/하'' 체계의 학년군 간 관계 모형 38
[그림 III-1] 고등학교 체육과 심화과목 매뉴얼 구성 체제 59
[그림 III-2] 심화과목 매뉴얼 개발 절차 60
[그림 III-3] 심화과목 성취기준·성취수준·평가문항 개발 절차 65
[그림 IV-1] 현장 적합성 검토 일정 71
[그림 IV-2] 현장 적합성 검토 단계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