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19119 | |
005 | 20220103103401 | |
007 | ta | |
008 | 120906s2012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1617056 ▼g 03370 | |
035 | ▼a (KERIS)BIB000012885371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71.3 ▼2 22 |
085 | ▼a 371.3 ▼2 DDCK | |
090 | ▼a 371.3 ▼b 2012z6 | |
100 | 1 | ▼a 김태현 ▼0 AUTH(211009)91739 |
245 | 1 0 | ▼a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 ▼b '수업 성찰'을 통해 교사의 내면을 세우다 / ▼d 김태현 지음 |
260 | ▼a 서울 : ▼b 좋은교사, ▼c 2012 ▼g (2020 44쇄) | |
300 | ▼a 352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 |
500 | ▼a 2016년에 발간한 33쇄의 부표제는 '교사의 내면을 세우는 수업 성찰'임 | |
740 | 2 | ▼a 교사의 내면을 세우는 수업 성찰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1167452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117692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5210066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513122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1167452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1176926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5210066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1.3 2012z6 | Accession No. 1513122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직 교사이자 수업 코칭의 전문가로서 많은 교사들의 수업을 함께 보고 이야기를 나누어 온 김태현 저자의 신작. 그간 저자가 지켜본 교사들의 수업은 대부분 교사의 내면적 두려움으로 인해 끊임없이 흔들리고 있었다. 관리자, 학부모, 학생, 이 모든 존재가 교사에게는 두려움을 안겨 주는 대상이었고, 그 속에서 교사는 자신이 의도한 수업을 끝까지 밀고 나갈 수 있는 힘을 상실한 채 괴로워할 뿐이었다.
그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저자는 지금 교사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위로’와 ‘성찰’임을 깨닫게 되었다. 칭찬과 격려보다는 손가락질에 익숙해져 버린 교사들의 지친 내면을 일으켜 세우는 것, 자신의 수업을 제대로 살펴보는 ‘성찰’의 시간을 통해 수업의 진짜 모습을 들여다보며 수업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 진정한 수업 개선의 열쇠는 바로 이러한 ‘수업 성찰’임을 저자는 이야기한다.
흔들리는 학교, 흔들리는 수업,
그 속에서 힘겨워하는 교사들의 내면을 위로하는 책.
교사의 내면을 살피고 수업을 돌아보는 ‘수업 성찰’을 통해
교사와 학생, 우리 학교, 더 나아가 우리 교육의 근본을 바꾸어 가는
진정한 치유의 힘을 만난다!
교사의 내면을 이야기하다
언제부턴가 학교는 혼돈 속에 빠져 있다. 달라진 학생들의 모습이 연일 이야기되고, 흔들리는 학교의 위기에 대한 담론이 우리 주변을 끊임없이 맴돌고 있다. 그리고 그 속에서 교사 생활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괴로워하는 교사들도 점점 더 많아져만 간다. 아이들은 끝간데 없이 달라져 가고 있는데 열악한 학교 환경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결국에는 이 모든 책임의 화살을 교사를 향해 겨누기가 일쑤인 것이 우리의 학교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당해 내지 못한 채 자꾸만 흔들리는 교사들의 내면은 결국 다시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되고, 이는 또다시 우리 학교와 교육을 흔들어 놓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렇듯 이 땅의 교사들이 느끼는 아픔과 괴로움의 한가운데에는 다름 아닌 ‘수업’이 자리하고 있다. 2012년, 대한민국 학교 현장의 곳곳에서 우리는 흔들리는 수업을 만난다. ‘교실 붕괴’라는 말이 들려오기 시작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건만, 상황은 갈수록 악화되어 갈 뿐 개선의 기미를 찾아보기란 쉽지가 않다. ‘수업을 바꾸어야 한다’는 목소리는 높지만 그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들은 대부분 교사들을 경쟁과 평가의 장으로 밀어넣기 일쑤이거나, 수업 장학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피상적인 수업의 겉모습을 바꾸라고 요구할 뿐이다.
현직 교사이자 수업 코칭의 전문가로서 많은 교사들의 수업을 함께 보고 이야기를 나누어 온 저자는, 이러한 처방으로는 결코 교사들이 달라질 수 없다고 말한다. 그간 저자가 지켜본 교사들의 수업은 대부분 교사의 내면적 두려움으로 인해 끊임없이 흔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관리자, 학부모, 학생, 이 모든 존재가 교사에게는 두려움을 안겨 주는 대상이었고, 그 속에서 교사는 자신이 의도한 수업을 끝까지 밀고 나갈 수 있는 힘을 상실한 채 괴로워할 뿐이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저자는 지금 교사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위로’와 ‘성찰’임을 깨닫게 되었다. 칭찬과 격려보다는 손가락질에 익숙해져 버린 교사들의 지친 내면을 일으켜 세우는 것, 자신의 수업을 제대로 살펴보는 ‘성찰’의 시간을 통해 수업의 진짜 모습을 들여다보며 수업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는 작업, 진정한 수업 개선의 열쇠는 바로 이러한 ‘수업 성찰’임을 저자는 이야기한다.
수업을 바꾸는 힘, 성찰
수업을 성찰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자신의 수업을 가만히 들여다보는 작업이다. 오랜 경력을 지닌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해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한 번도 자신의 수업을 제대로 들여다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수업을 성찰하는 작업은 먼저 수업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살펴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동영상을 통해 수업을 보되, 수업의 겉모습을 살펴서 수업을 평가하고 재단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내면을 중심으로, 학생의 배움을 중심으로 수업을 살펴보고 묵상하는 것이다. 수업을 평가의 대상이 아닌 성찰과 나눔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근본적인 수업 변화를 꾀하는 행위가 바로 ‘수업 성찰’이다. 이러한 수업 성찰은 교사 스스로 할 수도 있지만, 동료 교사와 함께 수업을 살펴보면서 서로의 마음을 이야기하고 수업을 나눔으로써 더욱 깊이 있게 수업을 성찰해 볼 수 있다. 수업 성찰을 통해 교사는 내면적인 치유를 경험하는 동시에 자신의 수업의 진짜 모습을 발견하고 앞으로 나의 수업은 어떠해야 할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수업 성찰의 흐름을 통해 근본적인 수업의 변화까지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저자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들려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저자는 우리의 수업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수업 속 ‘신념’ ‘관계’ ‘대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을 이야기하는데, 이는 수업 성찰의 방법에 대해 알려 주는 매뉴얼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근본적으로 ‘수업’이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한 번 더 돌아보게 하는 지침서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흔들리지 않는 강한 신념을 가진 수업, 학생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고 상호 작용하는 수업, 교사 주도의 일제식 수업이 아닌 대화와 여백을 가진 수업, 의미 있는 내용을 담아 내는 수업 등에 대하여 펼쳐 놓는 저자의 이야기는, 수업의 방향을 찾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하는 교사들에게 든든한 나침반이 되어 주기에 충분하다. 무엇보다 이 책 속에는 저자가 그동안 만나 온 교사들과 그들의 수업 이야기가 오롯이 담겨 있어 더욱 생생한 수업 성찰의 시간을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다양한 수업 경험을 통해 저자가 펼쳐 내는, 수업과 교육에 대한 혜안으로 가득 찬 메시지들은 많은 교사들에게 교사로서의 자세를 되새기고 다시금 뚜벅뚜벅 걸어갈 수 있게 하는 강한 동력이 되어 주리라 생각한다.
수업이 바뀐다, 학교가 바뀐다
이렇듯 수업 성찰은 교사의 내면을 다독이는 동시에 수업을 바꾸어 가는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저자가 속한 교육 운동 단체인 ‘좋은교사’는 저자의 이와 같은 생각을 바탕으로 ‘수업 친구 만들기’라는 수업 운동을 펼쳐 왔다. 수업을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함께 나누는 성찰의 작업을 동료 교사인 수업 친구들과 함께 진행하면서 서로의 내면을 위로하고 수업을 발전시키는 기회로 삼을 뿐 아니라, 더 나아가 학교의 문화, 우리 교육의 문화를 바꾸어 가는 작은 계기로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책 속의 여러 사례에서도 확인되는 것처럼, 처음에는 한두 명의 수업 친구로 시작하여 나중에는 여럿이 함께 모여 서로의 수업을 나누고 학교 이야기를 나누는 동아리로 발전하고, 더 나아가 학교의 문화를 바꾸어 낼 수 있다는 것. 물론 수업 친구가 이렇듯 커다란 목표만을 지향하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수업 친구가 가져오는 이와 같은 성과들은 우리 교육에 너무나 소중한 단비가 되어 주고 있다. 서로에게 무관심하던 교사들이 어느새 서로의 마음을 열고 수업을 나누는 시간, 그 시간들이 차곡차곡 쌓여 더욱 커다란 시선으로 우리의 학교와 교육을 바라보고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이 만들어진다면, 그 어떤 상위 기관의 정책이나 지침보다 더욱 실질적인 교육 개혁의 대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학교의 위기라고들 하고, 여러 방향에서 그 해법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학교의 중심에는 언제나 ‘수업’이 자리하고 있으며, 바로 이 수업의 변화가 바로 학교의 위기를 극복해 갈 수 있는 근본적 방안이라는 사실이다. 이제 경쟁과 평가, 혹은 수업 기술에 매몰된 수업 개선이 아닌, 교사의 내면을 세우는 수업 성찰을 통해, 우리 교육의 진정한 변화의 흐름을 만들어 가야 할 때이다. 이 책은 그러한 ‘수업 성찰’의 장을 찬찬히 펼쳐 보임으로써 교사들에게 또 하나의 좋은 수업 친구가 되어 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태현(지은이)
EBS 다큐프라임 <선생님이 달라졌어요> ‘수업코칭전문가’로 활약, 이를 계기로 <좋은교사 수업코칭연구소>를 만들어, 선생님들의 수업을 돕는 사역을 10년 이상 해왔다. 그 안에서 교사들의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예술 감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교사감성커뮤니티 <소소한 책방>을만들어 시, 명화, 글쓰기로 선생님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교사의 시선』 등을 출간했으며, 교육 분야에서는 이례적으로 15만 부 이상이 판매되면서 최장기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교육계의 멘토로 자리매김했다. 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시와 그림을 소개하면서, 현대인들이 보통의 하루를 예술적 감성과 창조적 영감으로 잘 버텨가게 하는 꿈을 펼치려 한다. 카페 cafe.daum.net/teacher-joy 페이스북 www.facebook.com/esfkth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추천의 글 = 9 여는 글 - 수업 성찰을 시작하며 = 18 01 수업을 보며 성찰하기 수업 속에서 나를 보다 = 30 수업 보기 1 비평적인 관점으로 수업 보기 = 36 수업 보기 2 학생의 배움을 중심으로 수업 보기 = 42 수업 보기 3 교사의 내면을 중심으로 수업 보기 = 51 02 수업 속 신념을 살피며 성찰하기 신념 보기 1 내 수업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 68 신념 보기 2 수업 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강한 신념이 있는가? = 78 신념 보기 3 수업이 학생들의 삶을 변화시킨다는 신념이 있는가? = 83 신념 보기 4 배움이 있는 수업이 입시에도 도움이 된다는 신념이 있는가? = 90 신념 보기 5 배움이 있는 수업으로 학교의 가치를 입증하려는 신념이 있는가? = 94 03 수업 속 관계를 살피며 성찰하기 관계 보기 1 수업 속에서 학생들을 일관된 철학으로 대하고 있는가? = 105 관계 보기 2 수업 속에서 경계를 세우기 위한 자신감이 있는가? = 113 관계 보기 3 수업 속에서 경계를 세우기 위한 공동체가 있는가? = 122 관계 보기 4 경계를 세우기 위해 학생들을 지나치게 통제하지 않는가? = 132 관계 보기 5 수업 속에서 존중의 관계를 만드는 데 두려움은 없는가? = 136 04 수업 속 대화를 살피며 성찰하기 대화 보기 1 수업 속에서 대화를 해야겠다는 의지가 있는가? = 148 대화 보기 2 학생들의 대화에 참여할 여백이 있는가? = 151 대화 보기 3 학생들의 말을 기다려 주고, 들어주고, 공감해 주고 있는가? = 156 대화 보기 4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생각이 서로 잘 연결되고 있는가? = 164 05 수업 속 내용을 살피며 성찰하기 내용 보기 1 교과서를 벗어나 수업을 재구성할 용기가 있는가? = 174 내용 보기 2 수업 속에서 학생들이 의미를 발견하고 있는가? = 179 내용 보기 3 수업 속에서 학생들이 의문을 가지고 있는가? = 187 내용 보기 4 수업 속에서 창의가 생기고 있는가? = 193 내용 보기 5 수업 속에서 삶을 성찰하고 있는가? = 204 내용 보기 6 수업 속에 위계가 있는가? = 211 06 수업 친구와 수업 성찰하기 수업 변화를 위한 실천의 여정(수업비평, 아이의 눈으로 수업보기, 배움의 공동체) = 226 교사의 내면을 세우는 '수업 친구 만들기' 운동 = 235 '수업 친구'는 어떻게 만드는가? = 240 '수업 친구 만들기'의 '수업 나눔' = 244 성찰적 질문으로 '수업 나눔'하기 = 255 컨설팅의 방법으로 '수업 나눔'하기 = 265 07 수다 떨며 수업 성찰하기 교사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수업 성찰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 279 수업에서 인쇄물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가? = 290 수행 평가와 내신 평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 297 배움에서 소외되는 학생을 어떻게 배움으로 초대할 수 있는가? = 305 수업에서 교사의 '자기다움'은 어떻게 찾을 수 있는가? = 312 수업에서 교사는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가? = 318 수업 변화를 위해서 교육청, 연수원, 학교 관리자, 교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 332 감사의 말 = 338 주석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