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특종을 만드는 TV 뉴스 이렇게 취재한다 2012년 개정판

특종을 만드는 TV 뉴스 이렇게 취재한다 2012년 개정판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구철
서명 / 저자사항
특종을 만드는 TV 뉴스 이렇게 취재한다 / 김구철 지음
판사항
2012년 개정판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형태사항
xvi, 401 p. : 삽화 ; 23 cm
ISBN
9788966800520
일반주기
부록: 생방송 원고 고쳐 보기, 생방송 원고 사례 모음, 리드인의 종류  
000 00747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18223
005 20120903103031
007 ta
008 120802s2012 ulka 000c kor
020 ▼a 9788966800520 ▼g 93070
035 ▼a (KERIS)BIB000012881282
040 ▼a 211019 ▼d 244002
082 0 4 ▼a 070.43 ▼2 22
085 ▼a 070.43 ▼2 DDCK
090 ▼a 070.43 ▼b 2012z3
100 1 ▼a 김구철 ▼0 AUTH(211009)45345
245 1 0 ▼a 특종을 만드는 TV 뉴스 이렇게 취재한다 / ▼d 김구철 지음
246 3 ▼a 특종을 만드는 티브이 뉴스 이렇게 취재한다
250 ▼a 2012년 개정판
260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2
300 ▼a xvi, 401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생방송 원고 고쳐 보기, 생방송 원고 사례 모음, 리드인의 종류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3 2012z3 등록번호 111674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070.43 2012z3 등록번호 1513107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43 2012z3 등록번호 111674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청구기호 070.43 2012z3 등록번호 1513107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초의 뉴스 취재 가이드북이 출간 6년 만에 개정되었다. 김구철 기자는 동아방송대학에서의 취재론 강의와 KBS연수원에서의 방송보도론을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다. 직접 취재 현장을 누비며 얻은 경험을 솔직하고 담백하게 정리했다. 이번 개정판은 지상파 판도 변화, 종편의 출현, 방송 기술 발전으로 인한 취재, 제작 시스템 변화 등 달라진 방송 환경을 담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구철(지은이)

KBS를 비롯한 방송사에서 30년 가까이 일한 언론인 출신이다. 서울법대 출신으로 대학원까지 졸업하고, 외국 대학원에 유학까지 한 지성파 기자는 그 당시에는 정말 흔치 않았다. 현재는 경기대 교수 겸 시민단체인 민생경제정책연구소장으로 일하고 있고,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문화관광전문위원이기도 하다. 언론인 시절 정치부 기자로서 세 차례나 대통령 직접 선거를 취재하는 더없는 행운을 누리고, 기수를 뛰어넘어 선배들보다 먼저 영국의 명문대학 브리스틀 대학에 해외 장기 연수를 다녀오는 등 엘리트 언론인 코스를 밟았다. 재정경제부를 담당할 때에는 120명이 넘는 내외신 기자의 대표가 될 정도로 보스 기질도 있다. KBS 가 한창 어렵던 시절 대외협력 업무를 담당했고, 방송 환경이 급변하던 2000년 전후 IPTV를 비롯한 방송통신 융합 업무에도 깊숙이 관여했다. 일찍부터 TV 뉴스의 시스템화에 눈을 떠 방송 뉴스 제작에 관한 연구와 집필을 꾸준히 해 왔고, 이를 바탕으로 종편사 초기의 뉴스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고 기자와 앵커의 교육 훈련을 담당했다. 인프라가 열악한 종편사에서 선거방송 기획단장으로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치러냈다. 그는 1960년 동방추로지향(東方鄒魯之鄕)으로 칭해지는 경북 안동에서 유서 깊은 양반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추는 맹자가 태어난 곳이요, 노나라는 공자가 태어난 곳이니 성현이 태어난 고장이라는 뜻의 자부심 가득한 표현이다. 조선 왕조 시절 의성 김씨 선조들은 주로 현대의 언론기관이라 할 수 있는 삼사(三司)에 출사했는데, 그가 방송에 투신한 것이 집안 내력과 무관하지만은 않은 듯하다. 초년병 시절부터 ‘점잖고 예의바른 기자’와 ‘독종’이라는 다분히 상반되는 평가를 동시에 받은 것도 그 연장선상에 놓인다고 볼 수 있다. 인간관과 세계관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방송통신대학 조교로 일하던 1980년대 중반으로 비교적 늦은 편이다. 당시 방송통신대학에는 강경선 교수가 부임하면서, 1990년대 이후의 사법개혁을 주도하던 ‘서울 법대 72학번’의 아지트가 되었는데, 그때 김구철이 자주 접한 법대 72학번은 강경선 교수를 위시해 김순태(형법) 이원희(세법), 천정배(정치인), 서현(전 판사), 전원배(헌법), 곽노현(법철학)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들의 영향으로 김구철은 앰네스티 언론인위원회 부회장, 한국기자협회 부회장으로 인권과 사회정의, 정치와 언론, 언론 개혁 등에 적극 참여해 왔다. 그의 관심은 또 우리말과 글 바르게 쓰기, 방송통신 융합, 국가 발전 전략 등을 거쳐 선비 문화에 이르고 있다. 역서 『새로운 영국의 희망 토니 블레어』(1997)을 비롯해 언론인으로서는 드물게 다방면에 걸쳐 많은 저서를 펴냈다. 저서로는 『김구철의 대선전략』(2017), 위기 관리 사례 연구집인 『제국의 몰락』(2013), 방송기자 입문자를 위한 『방송뉴스 이렇게 취재한다』(2008) 『TV뉴스 이렇게 취재한다』(2005) 『첨삭지도 TV뉴스 리포트』(1998)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 ⅵ
들어가는 말 = xi
1부 취재기자의 자세
 적극적으로 생각하라 = 2
  '기사가 된다'는 전제에서 취재하라 = 2
  취재 없이 특종 없다 = 4
  다른 언론의 보도를 반드시 확인하라 = 5
 현장에서 말하라 = 8
  움직여라, 신발이 다 닳도록 움직여라 = 8
  반드시 현장에 가라 = 9
  인터뷰, 취재의 알파(Α)요, 오메가(Ω) = 18
 내 문제라고 생각하라 = 23
  불만 있는 자에게 취재하라 = 23
  취재원의 입장에 서 보라 = 27
 크게, 다르게 보라 = 30
  선배, 동료와 상의하라 = 30
  다양한 각도에서 사안을 파악하라 = 33
  정치적 구도를 파악하라 = 34
 취재 전쟁을 주도하라 = 38
  무기를 놓지 마라 = 39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확보하라 = 42
  1보를 놓치지 마라 = 45
  철저히 준비하라 = 46
  현장 지휘본부를 차려라 = 51
2부 TV 뉴스의 취재
 TV 뉴스의 이해 = 56
  TV는 바보상자 = 56
  TV는 문화요 생활이다 = 58
  TV뉴스의 전달 방식 = 60
 TV 뉴스와 신문 뉴스는 다르다 = 61
  TV 뉴스는 기획부터 다르다 = 62
  육상 릴레이 경기와 비슷하다 = 65
  신문의 구독률과 TV 시청률은 차원이 다르다 = 66
  다시 TV는 바보상자다 = 69
  막대한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하다 = 71
  실패하면 피해가 막심하다 = 73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 74
 TV 뉴스의 전달 방식 = 79
  스트레이트 = 79
  사운드바이트 = 80
  패키지 = 80
  생방송 = 81
 TV 뉴스의 구성 = 86
  영상 구성의 포트폴리오 = 87
  음향 구성의 포트폴리오 = 88
  가장 효과적인 미디어, TV = 89
  흥미로운 영상 = 99
  현장음이 현장을 말한다 = 105
  스탠드업 = 105
3부 인터뷰
 인터뷰이를 편하게 하라 = 128
  아이스브레이킹 = 129
  의도를 숨겨라 = 130
  취재원에게 부담을 주지 마라 = 131
 인터뷰를 설계하라 = 133
  인터뷰이를 파악하라 = 135
  인터뷰를 설계하라 - 쉬운 질문에서 어려운 질문으로 = 136
  필요하면 창끝을 턱 아래 들이대라 = 137
  우회해서 물어라 = 139
 당당하게 그러나 겸손하게 = 140
  어려운 말이나 외국어는 피하라 = 141
  바보가 되어 질문하라 = 142
  표정을 관리하라 = 143
 필요한 답변을 얻어라 = 144
  경청하라 = 144
  한 번에 한 가지만 질문하라 = 144
  구체적으로 질문하라 = 145
  말을 너무 많이 하지 마라 = 145
  다시 질문하라 = 146
  부연 설명을 요구하라 = 146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 = 147
 침착하라 = 148
  절대 서두르지 마라 = 149
  때로는 추임새를, 때로는 조용히 기다리며 = 149
  요점을 정리하라 = 150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라 = 150
 마이크에 집착하지 마라 = 152
  꼭 마이크를 사용하려고 집착하지 마라 = 152
  질문도 인터뷰로 쓸 수 있다 = 153
 확인하라 = 154
  리액션 컷 = 154
  확인과 마무리 = 154
 전화 인터뷰 = 156
 기자회견 또는 간담회 = 159
  예정된 기자회견 = 159
  자신을 알리는 기회가 된다 - 회견장 앞자리를 차지하라 = 160
  질문하라 또 질문하라 = 160
  연락처를 확보하라 = 161
  '무엇이', '왜' 긴급인가를 생각하라 = 161
  일인 다역(一人多役)을 예상하라 = 165
  다른 회사 기자의 질문을 파악하라 = 166
4부 취재 전선의 ABC
 다양한 취재 방법을 개발하라 = 170
  다양해진 뉴스 소스에 적응하라 = 170
  성공은 실패의 아버지 = 172
  버려야 산다 = 174
 특종의 유혹 = 175
  큰 흐름을 놓치지 마라 = 177
  제보를 소중히 하라 = 182
 비판 보도의 유혹 = 187
  고발기사, 비판기사의 기능 = 187
  고발 기사를 쓰기 위한 마음가짐 = 188
  고발 보도의 효과 = 189
  선정성의 유혹을 떨쳐라 = 192
5부 TV 뉴스 기사의 작성
 기사를 작성하기 전에 = 198
  정보의 역설 = 198
  사실과 6하원칙 = 200
  사실과 의견 = 216
 방송 언어의 특징 = 221
  한글 = 223
  말글 혹은 품위 있는 구어체 = 225
  시간적 제약 혹은 데드라인과 러닝타임 = 228
  그림에 맞춰 써라 = 230
  주시청층에 대한 배려 = 233
 보도 문장의 구조와 논리 전개 = 237
  TV 뉴스 문장의 구조 = 237
  TV 뉴스의 논리 전개 = 241
 기사를 잘 쓰려면 = 247
 TV 패키지 리포트 원고 쓰기 = 251
6부 생방송 보도의 요령
 생방송 이야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 260
 생방송의 구성 = 263
  리드인 = 264
  기자의 답변 = 265
  생방송 인터뷰 = 266
 생방송의 요령  = 269
  계획하라 = 269
  조직하라 = 270
  영상의 제작과 송출 = 270
  준비하라 = 273
  표준 기사를 지니고 다녀라 = 274
  현안 메모를 지니고 다녀라 = 276
  왜 생방송을 하는가를 생각하라 = 26
  흐름을 파악하라 = 277
  두 가지 원고를 준비하라 = 278
  지나치게 준비하지 마라 = 278
  확인된 사실을 반복하라= 280
  침착하라 또 침착하라, 대담하라 더욱 대담하라 = 281
  필자의 사례 = 282
 중계차 연결 = 287
  중계방송의 의미 = 287
  방송 참여 방식 = 287
  중계팀과의 업무 협의 = 290
  유의 사항 = 291
  중계차 연결에서의 인터뷰 = 294
  재해방송 중계차 연결 = 295
 스튜디오 출연 시 체크 리스트 = 299
 전화 연결 = 301
  생방송 출연과 출연 원고의 사례 = 302
7부 취재원 관리
 폭넓은 취재망을 유지하라 = 306
  CNN의 취재원 관리 = 306
  광범위한 취재 네트워크 = 307
  콜 시트를 활용하라 = 309
  다양한 방법으로 취재 단서를 잡아라 = 310
  다양한 보조 수단을 활용하라 = 312
 취재원 관리를 위한 제언 = 316
  신뢰를 얻어라 = 316
  인간적 관계를 구축하라 = 327
  예의를 지켜라 = 333
  경제성의 원칙을 생각하라 = 336
  자신을 브랜드화하라 = 340
부록
 생방송 원고 고쳐 보기 = 346
 생방송 원고 사례 모음 = 355
 리드인의 종류 = 383

관련분야 신착자료

조용중 선생 추모문집간행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2022)
엄기영 (2023)
김경모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