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나는 재즈광, 히피, 마약중독자 그리고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였다 (2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Van Gelder, Kiera 서민아, 1970-, 역
서명 / 저자사항
나는 재즈광, 히피, 마약중독자 그리고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였다 / 키라 밴 겔더 지음 ; 서민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필로소픽 :   푸른커뮤니케이션,   2012  
형태사항
439 p. ; 23 cm
원표제
(The) Buddha & the borderline : my recovery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Buddhism, & online dating
ISBN
9788992168984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35
일반주제명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Patients -- United States -- Biography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editation -- Therapeutic use
주제명(개인명)
Van Gelder, Kiera   Mental health  
000 01256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717708
005 20121011165033
007 ta
008 120731s2012 ulk b 000c bkor
020 ▼a 9788992168984 ▼g 03180
035 ▼a (KERIS)BIB000012875273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16.85852 ▼2 23
085 ▼a 616.85852 ▼2 DDCK
090 ▼a 616.85852 ▼b 2012
100 1 ▼a Van Gelder, Kiera
245 1 0 ▼a 나는 재즈광, 히피, 마약중독자 그리고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였다 / ▼d 키라 밴 겔더 지음 ; ▼e 서민아 옮김
246 1 9 ▼a (The) Buddha & the borderline : ▼b my recovery from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rough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Buddhism, & online dating
246 3 1 ▼a Buddha and the borderline
260 ▼a 서울 : ▼b 필로소픽 : ▼b 푸른커뮤니케이션, ▼c 2012
300 ▼a 43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435
600 1 0 ▼a Van Gelder, Kiera ▼x Mental health
650 0 ▼a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x Patients ▼z United States ▼v Biography
650 0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650 0 ▼a Meditation ▼x Therapeutic use
700 1 ▼a 서민아, ▼d 1970-, ▼e▼0 AUTH(211009)7474
900 1 0 ▼a 밴 겔더, 키라,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5852 2012 등록번호 111676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85852 2012 등록번호 1513102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6.85852 2012 등록번호 111676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85852 2012 등록번호 15131029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버림받기가 죽기보다 싫은 여자,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찾다. 열두 살 때 수학노트를 잃어버려 자살을 시도하고, 열다섯 살 에는 남자친구에게 차여 혈서를 써서 보냈던 키라. 그녀는 약물중독, 우울증, 집착, 난잡한 이성 관계 등 극심한 불안과 병적인 집착 속에서 방황한다.

자신의 행동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했지만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한 채 수많은 심리치료사와 진단, 약물, 치료를 거쳐야 했다. 그리고 남자친구의 권유로 간 한 병원에서 20여 년 만에 그동안 겪었던 돌발 행위와 분노, 충동적인 행동 등이 바로 경계성 인격장애 때문이었음을 진단받는다.

이 책은 경계성 인격장애를 극복한 한 여성의 솔직하고 흥미진진한 심리치유 자서전이다. 경계성 인격장애의 절망과 고통을 생생하게 그리면서도 결코 칙칙하거나 무겁지 않고 배꼽 빠지게 웃을 수 있을 만큼 재치 있게 묘사해 경계성 인격장애 관련 책 중에서 단연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마존닷컴 불교 전기 분야 1위

|출판사 서평|
20년간 앓아온 경계성 인격장애에서 탈출하기

열두 살 키라가 약을 먹고 자살을 시도했다. 시험을 앞두고 수학 노트를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이후 열다섯 살 키라는 자해를 한다. 남자친구 때문이었다. 자신을 배신한 남자친구에게 혈서를 써서 보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도 중퇴를 반복하며 방황한다. 왜 그녀는 이토록 극심한 불안과 병적인 집착으로 고통스러운 인생을 보낸 것일까?
성인이 되어서도 한 직장에서 오래 일을 할 수 없어 생계에 지장을 받았다. 또한 경계성 인격장애로 생기는 외로움과 성적 충동이 그녀의 이성을 완전히 마비시켜 ‘닥치는 대로’ 사랑을 했다.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며 끊임없이 그 원인을 찾으려 했지만, 수많은 정신과 의사와 심리치료사를 만나도 뚜렷한 원인을 알 수 없었다. 그녀는 약물중독과 우울증 등으로 6개월 이상 정신병원에서 지냈으며 열 가지가 넘는 치료약을 복용해야 했다. 하루는 활발한 아이가 되었다가, 또 하루는 날라리로 변신하고, 고스족이 되었다가, 히피, 재즈광으로 변신하는 그녀는 마치 아홉 개의 목숨을 지닌 고양이 같았다.
20여 년 동안 방황하던 그녀는 ‘약물중독자 자조모임’에서 만난 남자친구의 권유로 간 한 병원에서 쳇바퀴같이 반복되던 돌발행동과 롤러코스터처럼 급변하는 감정이 경계성 인격장애 때문이었음을 진단받는다.

경계성 인격장애와 변증법적 행동치료, 그리고 마음챙김
키라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의 치료법인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와 불교 명상으로 고통을 극복해나간다.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삶 속에서 옳고 그름의 진위를 따지지 않고, 모순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술을 익히는 것이다. 키라와 같은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의 심리는 양극단을 수시로 오간다. 죽고 싶고 괴롭다가도, 곧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키라는 이런 다중적이고 애매모호한 상태를 포용하도록 감정의 강도를 스스로 조절하도록 하는 훈련을 시작한다.
변증법적 행동치료 가운데에는 ‘수용 전략’의 기초로서 불교의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이 있다.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고, 상황을 변화시키려 애쓰지 않은 채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을 가만히 바라보는 기술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변증법적 행동치료와 명상을 훈련하면서 고통에 찬 삶을 어떻게 살 만한 가치가 있는 삶으로 바꿀 수 있는지 훌륭하게 그리고 흥미롭게 기술한다.

서툰 인간관계에서 오는 불안과 두려움을 극복하고 싶은 사람이 읽어야 할 책
경계성 인격장애로 인한 고통과 불안, 공허함을 이겨내고, 안정감과 인생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무겁지 않고 연신 깔깔 웃으며 읽을 수 있게 묘사한 이 책은 지금까지 나온 경계성 인격장애 관련 책 중에서 단연 고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저자는 미국 정신의학회의 최신 자료를 참고해가며 경계성 인격장애를 깊이 연구하고 자신의 치유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유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아울러 책에 등장하는 그녀가 찾아 읽었던 논문, 관련 서적, 인터넷사이트 등도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 및 전문가 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경계성 인격장애라는 용어가 국내에서는 아직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불안과 외로움, 공허함 같은 누구나 느껴봤음직한 증상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저자의 행동과 감정에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녀의 고민과 솔직함은 경계성 인격장애가 아니더라도 이유 없이 삶이 힘들거나 정신적 고통으로 심리 상담을 생각하는 20~30대에게 치유와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경계성 인격장애를 직접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재치 있고 명쾌하며 솔직하게 묘사한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이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 조금만 질책을 들어도 자존감이 땅바닥으로 꺼지는 사람들
■ 정신적 고통으로 인해 부모와의 관계마저 힘든 사람들
■ 늘 이상한 사람과 연애를 해 관계가 언제나 엉망으로 끝나버리는 사람들
■ 자꾸만 내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맞추느라 내 행복은 뭔지도 잊어버린 사람들
■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극복하는지 살펴보고 자신의 생활을 가다듬고 싶은 사람들
■ 결혼 전 연애로 힘들어하는 여성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키라 밴 겔더(지은이)

화가, 교육가, 작가이다. 대학원에서 미술학 석사학위(MFA)를 받았다. 열두 살에 처음 자살을 시도했고 그 이후로 마약 중독,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자해, 난잡한 이성관계 등 여러 가지 고통을 겪었다.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한 채 약물치료, 알코올 중독 치료, 심리상담 등을 받으며 20여 년을 지내오다가 마침내 그동안 겪었던 모든 질환과 돌발행동들이 경계성 인격장애 때문이었음을 진단받는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과 같은 장애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해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계성 인격장애를 자세히 소개하고 회복되기까지의 과정을 솔직하게 밝힌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을 돕는 활동가로도 일하고 있으며,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한 교육 다큐멘터리 <한 발짝 뒤로 물러나Back from the Edge>에 출연하기도 했다. 장애를 극복한 저자의 이야기는 전 세계에 큰 감동을 주고 있다. 2016년 현재 매사추세츠의 티베트 불교 명상센터에서 살고 있다.

서민아(옮긴이)

대학에서 영문학과 경영학을, 대학원에서 비교문학을 공부했다. 옮긴 책으로는 『송골매를 찾아서』, 『헤이트: 우리는 증오를 팝니다』, 『마음챙김의 배신』, 『푸코의 예술철학』, 『에든버러』, 『자전소설 쓰는 법』, 『키라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은여우 길들이기』, 『인간은 개를 모른다』, 『자유의지』, 『번영과 풍요의 윤리학』, 『플랫랜드』, 『카뮈, 침묵하지 않는 삶』, 『비트겐슈타인 가문』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의 글 = 4
프롤로그 = 6
1부 연인들 
 1 정신질환, 자살 충동을 일으키는 약물중독 = 16
 2 아가씨, 새로 개조하는 게 어때 = 31
 3 감히 그 이름을 말하지 못하는 병명 = 42
 4 마음관찰과 빅맥 = 54
 5 구세주들 = 68
 6 다시 제자리로 = 84
2부 최후의 수단 
 7 단기적인 해결책들 = 94
 8 악마와 춤을 = 105
 9 탈출 작전 = 125
 10 절망의 성배 = 138
 11 안전 = 151
3부 빛을 향하여 
 12 열쇠들 = 168
 13 감정조절장애여, 안녕 = 183
 14 첫 데이트 때 오럴섹스 금지 = 201
 15 빈 방 = 215
 16 오토바이 배우기 = 233
4부 탈출 
 17 첫 번째 손길 = 248
 18 노출 = 258
 19 수많은 모습들 = 269
 20 통제와 비난 = 286
 21 엄마에게 한 걸음 더 = 297
 22 정점 = 313
5부 고통의 변형 
 23 귀의(歸依) = 328
 24 반전들 = 345
 25 날라리 불교신자 = 366
 26 바즈라야나 불교 = 388
 27 고기를 요리하는 남자 = 404
 28 참된 본성을 비추는 거울 = 418
감사의 인사 = 428
추천 자료 = 432
참고 도서 = 435
옮긴이 후기 = 436

관련분야 신착자료

이정화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의학회 (202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3)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