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25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16439 | |
005 | 20120910113231 | |
007 | ta | |
008 | 120717s2012 ulkad 000c kor | |
020 | ▼a 9788958073864 ▼g 03470 | |
035 | ▼a (KERIS)BIB000012853610 | |
040 | ▼a 241018 ▼c 241018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2.14 ▼2 22 |
085 | ▼a 152.14 ▼2 DDCK | |
090 | ▼a 152.14 ▼b 2012 | |
100 | 1 | ▼a Changizi, Mark |
245 | 1 0 | ▼a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 / ▼d 마크 챈기지 지음 ; ▼e 이은주 옮김 |
246 | 1 9 | ▼a (The) vision revolution : [how the latest research overturns everything we thought we knew about human vision] |
246 | 3 | ▼a 믿어지지 않겠지만 당신에겐 초능력이 있다! |
260 | ▼a 서울 : ▼b 뜨인돌, ▼c 2012 | |
300 | ▼a 295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2 cm | |
500 | ▼a Illustration: Ralph Voltz | |
650 | 0 | ▼a Vision |
650 | 0 | ▼a Visual perception |
700 | 1 | ▼a Voltz, Ralph, ▼e 그림 |
700 | 1 | ▼a 이은주, ▼e 역 |
900 | 1 0 | ▼a 챈기지, 마크,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152.14 2012 | Accession No. 1513100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람은 왜 지금과 같은 식으로 세상을 보는 걸까? 오래도록 이어져온 이 의문 앞에 진화론적 과학자이자 이론 신경생물학자인 마크 챈기지는 전혀 새로운 대답을 내놓는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시각이 초능력을 행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초능력이란 텔레파시, 투시력, 미래 보기, 독심술로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를 통해 환경과 연계된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시각이 지닌 이 네 가지 초능력과 초능력이 존재하게 된 배경을 분석한다. 그의 논의의 초점은 우리의 시각이 ‘어떻게 작용하느냐’가 아닌, ‘왜 그런 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맞춰진다.
인간 시각에 대한 기존의 상식들을 깨고, 학계에 일대의 혁신적인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마크 챈기지의 기발하면서도 획기적인 연구를 살펴볼 수 있다. 자칫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을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초보적인 단계의 지식에서 출발해, 속도감 있게 논리를 전개해 나간다. 또한 영화나 생활 속 일화처럼 친근한 사례와 구체적인 통계 자료를 동원하고, 다수의 화보와 도표를 삽입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1. 인간 시각을 둘러싼 근본적인 의문들에 대한 전혀 새로운 해석!
“우리 눈의 색 시각이 발달한 이유는 잘 익은 과일을 찾아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타인의 마음을 잘 읽어내기 위해서다!”
‘사람은 왜 지금과 같은 식으로 세상을 보는 걸까?’
오래도록 이어져온 이 의문 앞에 진화론적 과학자이자 이론 신경생물학자인 마크 챈기지는 전혀 새로운 대답을 내놓는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시각이 초능력(superpower)을 행하기 위해서라는 것!
그가 말하는 초능력이란 텔레파시, 투시력, 미래 보기, 독심술로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를 통해 환경과 연계된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시각이 지닌 이 네 가지 초능력과 초능력이 존재하게 된 배경을 분석한다.
그의 논의의 초점은 우리의 시각이 ‘어떻게 작용하느냐’가 아닌, ‘왜 그런 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맞춰진다.
‘우리 두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
‘우리는 왜 색깔을 구별할까?’
‘우리 눈은 왜 착시를 일으킬까?’
‘우리 눈은 어떻게 글자를 빨리 인식할까?’
이 네 가지의 질문에 대한 전통적인 믿음들, 예를 들면 3차원 사물을 볼 수 있도록 영장류의 쌍안 시각이 진화했고, 잘 익은 과일을 찾아내기 위해 고등 영장류에서 색 시각이 발달했다는 등의 가정을 마크 챈기지는 설득력 있게 부정하며, 자신의 독창적인 해석을 명쾌하고 위트 있는 언어로 풀어낸다.
자칫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을 일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초보적인 단계의 지식에서 출발해, 속도감 있게 논리를 전개해 나간다.
또한 영화나 생활 속 일화처럼 친근한 사례와 구체적인 통계 자료를 동원하고, 다수의 화보와 도표를 삽입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에서 마크 챈기지는 자신의 획기적인 연구의 결론들을 보여주며, 그것들이 단지 시각의 역할만이 아닌, 세상과 인간이 상호 소통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일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설명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본다’는 것이 전혀 다르게 다가올 것이다.
2.. 우리 눈은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
인간 시각에 대한 기존의 상식들을 깨고, 학계에 일대의 혁신적인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마크 챈기지의 기발하면서도 획기적인 연구를 살펴보자.
1. 우리는 왜 색을 구별할까? - 텔레파시
우리가 색을 구별하는 이유는 타인의 피부색의 변화를 읽어내기 위해서이다. 혈류량과 혈중 산소 농도에 따라 피부색에 일어나는 변화를 통해 타인의 생각이나 건강 상태를 읽어낼 수 있다. 다양하고 깊은 감정과 생각이 드러나는 피부색을 분간하는 시력은 다른 동물들이 갖지 못한 뛰어난 공감 능력으로 이어진다.
2.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 - 투시력
눈이 하나가 아니고 두 개이기에, 그리고 두 눈이 앞을 향하고 있기에 ‘투시력’이 가능하다. 한쪽 시야가 방해를 받더라도 다른 쪽 눈이 그것을 어떻게 보완하여 사물을 ‘꿰뚫어 보게’ 되는지, 진화 과정에서 뒤까지 볼 수 있는 측방향 눈 대신, 3차원 시력이 장착된 전방향 눈을 계속 유지했던 배경은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3. 우리 눈은 왜 착시를 일으킬까? - 미래 보기
착시 현상은 우리의 뇌가 현재를 올바로 인식하기 위해 미래를 내다보려 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저자는 말한다. 공놀이를 할 때 상대방이 던진 공이 언제 어느 지점에 도착할지를 머릿속으로 예상하며 잡을 준비를 하듯이, 다가올 현재를 제어하기 위해 미래를 내다보지만, 뇌 지각이 예측한 대로 이미지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착시를 일으키는 것이다.
4. 우리 눈은 어떻게 글자를 빨리 인식할까? - 독심술
세계의 다양한 문자들의 역할과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서, 문자가 수 세기에 걸쳐 자연과 닮은꼴로 진화해 온 것은 인류가 자연을 능숙하게 보도록 진화해 왔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러한 문자들 덕분에 우리는 산 사람의 생각은 물론, 죽은 사람의 생각까지도 힘 안 들이고 읽어낼 수 있고, 멀리 떨어진 사람과 자세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마크 챈기지(지은이)
1969년 미국에서 태어났다. 신경생물학자로 인간의 시각과 청각, 인지과학, 언어, 음악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우리의 눈은 왜 앞을 향해 있는지, 또 색깔은 어떻게 인식하고, 환영은 왜 보게 되며, 글자의 모양은 왜 현재와 같이 생겼는지 등을 다룬 책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는 ‘최고의 시각과학 책 중 하나’라는 찬사를 받았다. 대담하고 독창적인 주장과 신선한 논리 그리고 재기 넘치는 유머로 다른 과학자들은 물론 대중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 책 『자연 모방』은 소리와 인간의 청각 체계의 관계에 대한 진화생물학적 탐구와 함께 언어와 음악의 기원을 밝히고 있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수학을 공부했으며,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신경생물학을 연구했고, 현재는 렌슬리어 공과대학에서 인지과학을 가르치고 있다. 〈뉴욕타임스〉 〈텔레그래프〉 《와이어드》 《포브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시드》 《뉴 사이언티스트》 등 수많은 언론매체에 글을 기고한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 등이 있다.
이은주(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와 영어교육과를 졸업했다. 2012년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외로워지는 사람들》《내 인생 최고의 쇼》《남자》《150살까지 살 수 있을까》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_ 초자연적으로 1 우리는 왜 색을 구별할까? 공감 = 14 벌거벗은 색 = 17 녹색 광자 = 20 피부의 특별한 '무색성' = 23 인종적 착각 = 28 왈도프 샐러드 = 32 피부 텔레비전 = 33 유색인 = 41 벌거벗었다고? 누가? 어디서? = 43 건강한 홍조 = 50 색을 본다는 것은 = 56 눈 속의 피 = 82 알록달록한 색깔 = 86 살아 있는 색으로 = 91 2 우리 눈은 왜 앞을 향해 있을까? 신기한 침팬지 = 94 외눈박이는 왜 희귀할까? = 98 나는 나를 꿰뚫어 본다 = 105 몸은 여기 그러나 거기서 보는 것은 = 107 외눈박이를 위한 비디오 게임 = 115 세상을 둘로 가르기 = 124 불일치하는 시각 = 127 눈과 돌멩이 = 134 뒤를 못 보는 대가 = 139 잎이 무성한 환경을 좋아하는 덩치 큰 동물 = 145 전방 보기의 미래 = 154 투시하라 = 167 3 우리 눈은 왜 착시를 일으킬까? 크리스털 안구 = 170 부디 내 진화론을 용서하길 = 174 시간의 칼날을 무디게 = 178 내 슈퍼컴퓨터는 느림보 = 185 결코 오지 않는 순간 = 188 테이프 감추기 = 192 도롱뇽의 슈퍼 시력 = 199 눈속임 착각 = 202 흐림 제어 = 211 대두되는 미래 = 218 비유클리드적 현재 = 224 착각의 통합 = 229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234 4 우리 눈은 어떻게 글자를 빨리 인식할까? 슈퍼 판독 매체 = 236 바람직한 경청이란 = 241 일하는 손 = 244 야생의 눈을 이용하라 = 247 아기 손으로부터 = 249 단어와 사물 = 254 표음 문자 사용자의 고충 = 262 접점 결합 = 265 자연의 하위 부분 = 269 글자에서 자연 찾기 = 279 호모 튜링이피테쿠스 = 283 글쓰기를 잊지 말자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