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90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15865 | |
005 | 20120817192043 | |
007 | ta | |
008 | 120816s2012 ulka b AQ 000c kor | |
020 | ▼a 9788997578320 ▼g 93800 | |
035 | ▼a (KERIS)BIB000012758440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801.93 ▼2 22 |
085 | ▼a 801.93 ▼2 DDCK | |
090 | ▼a 801.93 ▼b 2003 ▼c 20 | |
100 | 1 | ▼a 고규진 ▼0 AUTH(211009)32139 |
245 | 1 0 | ▼a 문학정전 / ▼d 고규진 지음 |
260 | ▼a 서울 : ▼b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c 2012 | |
300 | ▼a 164 p. : ▼b 삽화 ; ▼c 21 cm | |
440 | 0 0 | ▼a 문학의 기본 개념 ; ▼v 20 |
500 | ▼a 부록: 정전 연구용어 해설 | |
504 | ▼a 참고문헌: p. [149]-157 | |
546 | ▼a 이 저서는 2011년도 전북대학교 저술장려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1.93 2003 20 | 등록번호 1116732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머리말 = 5 Ⅰ. 문학정전의 역사 = 11 1. 정전의 어원과 의미 = 11 2. 유럽 문학정전의 형성 = 15 3. 정전논쟁 = 26 Ⅱ. 고대 고전의 정전화과정: 문자문화와 호메로스의 서사시 = 31 1. 문화, 기억, 문자 = 31 2. 그리스 문자문화와 문화적 기억 = 38 3.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고정의 형성 = 54 Ⅲ. 근대 문학정전 형성과정의 역사적 예: 독일의 고전주의 = 65 1. 독일의 "특수한 길" = 65 2. 괴테, 쉴러의 동시대 수용 양상 = 68 3. 고전 민족문학의 정전화 = 72 4. 민족문학정전의 제 문제 = 80 Ⅳ. 문학정전의 현 상황 = 87 1. "문학의 위기" = 87 2. 문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 = 95 3. 다문화사회에서의 문학정전 = 102 Ⅴ. 현대사회에서의 문학정전의 기능 = 109 1. 문학체계의 진화와 문학정전 = 109 2. 문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문학정전의 기능 = 120 맺는말 = 129 부록 : 정전 연구용어 해설 = 133 참고문헌 = 149 참고하면 좋은 문헌들 =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