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96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715860 | |
005 | 20120817200240 | |
007 | ta | |
008 | 120816s2012 ulk 001c kor | |
020 | ▼a 9788979660920 ▼g 03300 | |
035 | ▼a (KERIS)REW000000157161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5 ▼2 22 |
085 | ▼a 335 ▼2 DDCK | |
090 | ▼a 335 ▼b 2012z2 | |
100 | 1 | ▼a Maass, Alan ▼0 AUTH(211009)108778 |
245 | 1 0 | ▼a 왜 사회주의인가? : ▼b 자본주의 위기의 시대 / ▼d 앨런 마스, ▼e [하워드 진] 지음 ; ▼e 유정, ▼e 이원웅 옮김 |
246 | 1 9 | ▼a (The) case for socialism |
260 | ▼a 서울 : ▼b 책갈피, ▼c 2012 | |
300 | ▼a 208 p. ; ▼c 21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Socialism |
700 | 1 | ▼a Zinn, Howard, ▼d 1922-2010, ▼e 저 |
700 | 1 | ▼a 유정, ▼e 역 |
700 | 1 | ▼a 이원웅, ▼e 역 |
900 | 1 0 | ▼a 마스, 앨런, ▼e 저 |
900 | 1 0 | ▼a 진, 하워드,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 2012z2 | 등록번호 1116732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5 2012z2 | 등록번호 1513106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5 2012z2 | 등록번호 1116732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5 2012z2 | 등록번호 15131063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 자본주의의 보루 미국에서 혁명적 사회주의자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 앨런 마스는 왜 자본주의 체제가 고장났고, 사회주의가 그 대안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회주의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쉽고 명쾌하게 설명한다. 후기 "유진 뎁스와 사회주의 사상"을 쓴 하워드 진은 소련이라는 가짜 사회주의가 제거된 덕분에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진정한 사회주의를 다시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생겨났다고 강조한다.
21세기가 됐는데도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의 삶은 더 절망적인 것이 됐고, 전쟁과 환경 재앙의 위협이 우리 모두에게 다가오고 있다.
해마다 영양실조나 관련 질병으로 죽는 5세 미만 어린이가 약 600만 명이나 된다. 제2차세계대전 때 나치에게 학살당한 유대인이 600만 명이었으니 굶주림 때문에 전 세계 어린이가 해마다 홀로코스트를 겪는 셈이다. 특히 2008년 세계경제 위기 이후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하루하루 생존하는 것 자체가 엄청난 고역이 됐다. 제3세계의 가난한 나라는 물론이고 유럽과 미국 같은 선진국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경제 위기에 따른 긴축 재정으로 연금이 줄어 생활고에 시달리던 그리스의 한 약사가 국회 앞에서 머리에 총을 쏴 자살하는 일도 있었다.
가장 부유한 나라 미국에서조차 빈곤과 가난이 평범한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빈곤선 이하 생활을 하는 미국인이 국민 7명 중 1명꼴인 3980만 명이나 되고, 뉴욕의 노숙자가 10만 명이나 된다.
굶주림을 해결하는 데 인색하기만 한 각국 정부는 은행을 살리는 데는 수천 억 달러를 쏟아붓는다. 해마다 군사비로 소모하는 돈이 무려 1조 달러를 넘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2009년 여론조사에서 사회주의보다 자본주의가 나은 체제라고 답한 미국인이 절반을 겨우 넘었다. 30세 미만에서는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선호하는 비율이 각각 절반이었다. 이렇듯 1930년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오랫동안 확고했던 생각, 즉 자본주의가 아무리 결함이 많더라도 실행 가능한 유일한 체제라는 생각이 산산조각 나면서 다른 대안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확산됐다. 세계 자본주의의 보루 미국에서 혁명적 사회주의자로 활동하고 있는 앨런 마스는 왜 자본주의 체제가 고장났고, 사회주의가 그 대안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회주의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쉽고 명쾌하게 설명한다.
후기 "유진 뎁스와 사회주의 사상"을 쓴 하워드 진은 소련이라는 가짜 사회주의가 제거된 덕분에 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진정한 사회주의를 다시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생겨났다고 강조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워드 진(지은이)
역사가, 희곡 작가 그리고 대학 교수로 활동한 세계적인 진보 지식인이다. 미국 뉴욕시 브룩클린에서 유대인 이주민의 아들로 태어나 빈민가에서 성장하였고, 청년 시절 해군기지 조선소에서 육체노동을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에 폭격수로 참전하였는데 이때, 전쟁에 환멸을 느끼고 반전주의자가 되었다. 27세에 뉴욕 대학교에 입학하였고,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6년 흑인들만 다니는 학교인 스펠만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가 되었고, 학생들과 함께 흑인차별에 항거하는 민권 운동을 벌였다. 1964년 보스턴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베트남 반전 운동의 선두에 섰으며, 1988년까지 보스턴 대학교 정치학 교수로 재직했다. 반전·평화·인권 운동에 평생을 바친 실천적·진보적 지식인이었던 그는 노암 촘스키(Avram Noam Chomsky)와 더불어 ‘미국 현대사의 양심’이라 일컬어졌다. 대표적 저서는 민중의 시각에서 미국의 역사를 관찰한 《미국 민중사(A People’s History of the United States)》로, 이 책은 1980년 출간 당시 4,000부가 발행되었으나 2009년 말까지 200만 부가 팔려나가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밖에 미국의 폭력과 법의 계급성을 폭로한 《오만한 제국(Declarations of Independence)》, 자전적 저서인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You Can’t Be Neutral on a Moving Train)》 등과 《마르크스 뉴욕에 가다(Marx in Soho)》, 《엠마(Emma)》 등의 희곡 3편을 남겼다. 그는 토머스 머튼 상, 유진 V. 데브스 상, 업턴 싱클레어 상, 래넌 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앨런 마스(지은이)
미국의 혁명적 사회주의 조직 국제사회주의자단체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의 지도적 활동가이고 이 단체가 발행하는 주간지 <소셜리스트 워커Socialist Worker>의 편집자다. 지은 책으로는 Independent Politics: The Green Party Strategy Debate(공저) 등이 있다.
유정(옮긴이)
노동자 연대 다함께 활동가이고, TOEIC/IELTS 강사다.
이원웅(옮긴이)
<노동자 연대> 기자로 국제 쟁점에 관해 기사를 쓰고 있다.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의 의미》, 《자본주의 위기의 시대 왜 사회주의인가?》(공역)의 옮긴이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 7 머리말 = 15 1장 자본주의는 왜 고장났는가? = 33 2장 그리 자유롭지 않은 땅 = 59 3장 전쟁의 참상 = 76 4장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 95 5장 체제 변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 113 6장 "투쟁 없이 진보 없다" = 140 7장 사회주의와 투쟁 그리고 여러분 = 169 하워드 진의 후기 _ 유진 뎁스와 사회주의 사상 = 190 감사의 말 = 198 더 읽을거리 = 201 찾아보기 =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