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51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714986 | |
005 | 20130204185135 | |
007 | ta | |
008 | 120808s2012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94747118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2849345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30.9051 ▼2 23 |
085 | ▼a 330.9051 ▼2 DDCK | |
090 | ▼a 330.9051 ▼b 2012 | |
245 | 0 0 | ▼a 경제민주화를 말하다 / ▼d 노암 촘스키, ▼e 조지프 스티글리츠 외 지음 ; ▼e [David Ransom, ▼e Vanessa Baird 편] ; ▼e 김시경 옮김 |
246 | 1 9 | ▼a People first economics |
260 | ▼a 서울 : ▼b 위너스북, ▼c 2012 | |
300 | ▼a 304 p. ; ▼c 23 cm | |
500 | ▼a 극단적 양극화와 반복되는 위기 사이에서 새로운 경제를 꿈꾸다 | |
504 | ▼a 참고문헌: p. 299-302 | |
650 | 0 | ▼a Economic policy |
650 | 0 | ▼a Economic forecasting |
700 | 1 | ▼a Chomsky, Noam, ▼e 저 ▼0 AUTH(211009)41272 |
700 | 1 | ▼a Stiglitz, Joseph E., ▼e 저 ▼0 AUTH(211009)20712 |
700 | 1 | ▼a Ransom, David, ▼d 1946-, ▼e 편 |
700 | 1 | ▼a Baird, Vanessa, ▼e 편 |
700 | 1 | ▼a 김시경, ▼e 역 ▼0 AUTH(211009)47710 |
900 | 1 0 | ▼a 촘스키, 노암, ▼e 저 |
900 | 1 0 | ▼a 스티글리츠, 조지프,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728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72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87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87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513096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728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72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874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116887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30.9051 2012 | 등록번호 1513096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선을 앞둔 대한민국에서 핫키워드로 떠오른 말이 있다. 바로 ‘경제민주화’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경제민주화와 관련한 여러 가지 제안과 논의, 그리고 의견의 차이는 다분히 정치적으로만 들릴 뿐,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 아울러 매우 협소한 부분에서 진행되는 논의가 마치 경제민주화의 전체인 것처럼 호도되고 있다.
예컨대 재벌의 규제 여부, 부의 공정한 분배 여부 등 한정적인 주제들에 경제민주화라는 이름을 붙인 탓에, 경제민주화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혼란스럽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경제민주화란 보다 넓은 시각에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인간다운 가치를 누리며 살 수 있도록, 경제의 여러 부분을 개혁하는 것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조지프 스티글리츠, 세계적인 석학 노암 촘스키는 이 책을 통해 경제민주화의 핵심 가치와 그 지향점을 제시한다. 이들의 날카로운 지적과 대안을 읽노라면, 협소하고 답답한 논쟁 중심의 경제민주화가 아닌, 거시적인 경제민주화의 흐름을 알 수 있다.
한국사회에 부는 경제민주화의 바람
요즘 한국 정치.경제계의 최대 이슈는 경제민주화이다. 새누리당 박근혜부터 민주당 문재인까지 여야를 막론한 대부분의 대선 주자들이 경제민주화의 실현을 최대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을 정도다. 이에 발맞춰 새누리당에서는 경제민주화실천모임을, 민주당에서는 경제민주화포럼을 출범시켜, 좀 더 국민들에게 다가서는 정책적 대안들을 이끌어내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정치계의 발 빠른 움직임과는 다르게, 다수의 국민들은 ‘경제민주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아직 갖고 있지 못하다. 여야 간 경제민주화를 바라보는 시각도 다른데다가, 재벌을 철폐해야 한다는 쪽과 재벌과 타협을 해야 한다는 쪽으로 나뉘는 그 진행 방향에 대한 의견도 가지각색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국민의 눈과 귀를 호도하기 위한 속 빈 강정’이라는 의견에서부터 ‘공정한 경제로 나아가기 위한 최선의 대안’이라는 의견까지,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되면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제민주화를 말하다》의 저자 조지프 스티글리츠와 노암 촘스키 등 세계의 석학들은, 이 책에서 경제민주화에 대한 수렴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경제민주화’는 사실 어려운 개념이다. 또한 아직 확실하게 정의할 만큼 진전이 되지도 못한 상태다. 하지만 수많은 국가와 사람들 사이에서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고, 저자들은 이런 움직임이 경제민주화를 향한 발걸음이라고 생각한다.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경제민주화의 진행 방향이 부자보다는 가난한 다수가, 무역보다는 생산이, 금융보다는 노동이 더 중요시되고 권리를 보장받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구축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사실이다.
경제민주화는 어떻게,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경제민주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는 현재 한국사회의 경제적 현실을 되돌아보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세계적 경제위기로 촉발된 경제 불안정은 현재 한국사회의 근간을 뒤흔들고 있다.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하우스푸어의 증가와 기업 도산으로 인한 실업, 높아져만 가는 취업 장벽, 그리고 생활고로 인한 자살이 매주 신문지상을 장식할 정도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국가 경제의 허리를 책임지는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비율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상위 1%의 부유한 재벌과 권력층들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한쪽에서는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목숨을 끊는 반면, 최고 부유층을 위한 사치품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은, 우리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너무나 잘 보여준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들이 정치권으로부터 확산되기 시작했고, 그것이 경제민주화라는 움직임으로 표출되고 있는 것이다.
《경제민주화를 말하다》에서는 좀 더 크고 넓은 시각으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할 방법들을 제시한다. 현재 한국에서는 재벌의 철폐냐, 타협이냐가 경제민주화의 최고 이슈이지만, 사실은 그보다 더 크고 더 다양한 문제들에까지 경제민주화의 개념을 확산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기본적으로 ‘약자’인 사람들에게 좀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이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을 비롯한 가난한 국가들, 부자보다는 가난한 사람에게 그동안 누리지 못했던 경제적?환경적?사회적 혜택을 되돌려서, 소외되거나 고통받는 사람들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주장이다. 이를 위해 금융수익과 조세 회피, 정보의 독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부를 쌓아가는 부자들과 다국적기업, 금융회사들을 제재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를 위해 노암 촘스키와 조지프 스티글리츠 등은 정부의 역할 강화와 규제의 확대를 주장하고, 사실상 부유한 선진국들의 심부름꾼으로 전락한 IMF와 세계은행, 국제무역기구 등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아울러 자원의 독점과 고갈을 막아, 그동안 가난한 국가의 국민들이 누리지 못했던 환경적 이점을 되돌려줘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조세피난처의 폐쇄, 제3세계국가들과의 무역형평성, 정의로운 과세체계의 수립 등도 함께 다룸으로써, 경제민주화의 영역이 어디까지 확산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아울러 오픈 소스를 통한 공익의 확대, 그린 뉴딜, 생태적 케인스주의, 금융 개혁 등 구체적이고 폭넓은 대안을 통해, 소수의 부자가 아닌 다수를 위한 새로운 경제로 나아갈 올바른 길을 제시한다.
우리 모두의 참여만이 경제민주화를 앞당긴다!
당연하게도, 국가 간의 경제적 불균형은 각 개인 간의 경제적 불균형과 꼭 닮아 있다. 부유한 사람은 직접 노동을 하지 않으면서도 각종 금융수익과 조세 회피, 정보의 독점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부를 쌓아가고 있다.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부의 사다리를 올라갈 수가 없다. 금융의 가치는 증가했지만, 그보다 중요한 노동의 가치는 제자리를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신자유주의는 부유한 자들을 더 살찌게 해주었지만, 그들이 축적한 모든 부는 가난한 사람들의 피와 땀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런 말도 안 되는 경제적 불평등과 차별을 언제까지 두고 볼 수만은 없다. 이제 우리는 다수의 권리와 이익이 보장되는 경제민주화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역보다는 생산이, 금융보다는 노동이, 부자보다는 가난한 다수가 더 중요시되고 권리를 보장받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돈보다 인간이 중심이 되는,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담보하는 경제로 나아가자는 경제민주화의 주장은, 이제 단순한 하나의 의견이 아니라 세계가 직시해야 할 당면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이 책에 담긴 내용만으로 경제민주화를 앞당길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현재 경제민주화는 그저 걸음마를 뗀 상태에 불과하다. 한국에서 정치적 민주화를 세우는 데 숱한 인고의 세월이 필요했듯, 경제민주화를 제대로 이루기 위해서는 국민 전체의 합의와 지지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의 핵심 가치는 아직 완성되지 않는 경제민주화의 개념을 독자들에게 알리고, 독자 스스로 주권을 가진 한 사람의 국민으로서 경제민주화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 이 책의 제안들은 최소한 우리가 왜 현재까지의 경제시스템에 이의를 제기해야 하고, 변화를 위한 움직임에 동참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풀어줄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놈 촘스키(지은이)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한 뒤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를 만나면서 언어학의 세계에 발을 디뎠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펜 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1958년(30세) 부교수, 1961년(33세) 종신교수, 1966년(38세) 석좌교수, 1976년(48세) ‘인스티튜트 프로페서Institute Professor(독립적인 학문기관으로 대우하는 교수)’가 된 그는 지금까지 논문 1,000여 편과 저서 100여 권을 발표했다. 노엄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자 인지과학 혁명의 주역으로서 명성을 누리는 데 머물지 않았다. 젊은 시절부터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1967년 〈지식인의 책무〉를 발표하면서 세계 지식인들의 양심에 경종을 울린 그는, 여든 살을 넘긴 오늘날까지도 시대의 양심이자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 또한 세계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거대 다국적기업들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미국의 제국주의, 자본의 언론 장악과 프로파간다를 신랄하게 파헤친다. 주요 저서로는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외에도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비밀, 거짓말 그리고 민주주의》, 《공공선을 위하여》, 《촘스키, 知의 향연》, 《촘스키, 사상의 향연》, 《촘스키, 고뇌의 땅 레바논에 서다》,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숙명의 트라이앵글》, 《지식인의 책무》, 《여론조작》, 《통사 구조》,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 등이 있다.
조지프 스티글리츠(지은이)
1943년 미국 인디애나주 출생. 2001년 정보 비대칭성의 결과에 대한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석학. MIT에서 폴 새뮤얼슨의 지도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불과 27세에 예일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고, 36세에 뛰어난 연구 업적을 쌓은 젊은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예비 노벨상,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상했다. 듀크, 스탠퍼드, 옥스퍼드, 프린스턴 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경제자문회의 의장과 세계은행의 수석 부총재 겸 수석 경제학자를 역임했다. 그러나 이때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응하는 국제 통화 기금의 재정 긴축과 고금리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자신이 속한 세계은행의 정책이 후진국의 빈곤과 빈부 격차를 심화시킨다고 지적하다가 미국 정부와의 갈등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세계에서 가장 빈번히 인용되는 경제학자 가운데 한 명으로, 2011년에는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 거시 경제학, 공공 경제학, 정보 경제학의 대가이며 소득 재분배, 기업 지배 구조, 국제 교역 조건 등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 『불평등의 대가』를 비롯하여 『거대한 불평등』, 『유로』, 『경제 규칙 다시 쓰기』, 『세계화와 그 불만』, 『끝나지 않은 추락』, 『인간의 얼굴을 한 세계화』, 『1990년대의 경제 호황』 등이 있다.
데이비드 랜섬(엮은이)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한 뒤 런던 정치경제 대학London School of Economics의 교수로 지냈다. '뉴 인터내셔널리스트'에 참여하기 전까지는 런던의 이스트 엔드에서 교사와 지역 활동가로 활동했다. 1989년부터 지금까지 '뉴 인터내셔널리스트'의 공동 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바네사 베어드(엮은이)
1986년부터 잡지 <뉴 인터내셔널리스트>의 공동 편집자를 맡고 있다. <동의―여성, 큰 생각에 관한 작은 책>과 <반란에 관한 작은 책>의 저자이자 편집자다.
김시경(옮긴이)
중앙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사 편집자로 일했으며 현재 전문번역가 겸 편집자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오래된 그리스 신화》, 《나를 위한 행복한 구속: 다짐》이 있으며 《2006년 세계대전망》, 《미래생활사전》, 《맥킨지 금융보고서(공역)》 등이 있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 서문 : 왜 지금 새로운 경제로의 전환을 꿈꾸는가 = 5 서문 : 경제민주화를 향한 태동은 시작되었다 = 11 제1부 너무도 무능한 시장경제와의 결별 : 경제민주화, 위기의 경제를 넘어 완벽한 경제를 꿈꾸다 금융의 붕괴를 기회로 : 경제민주화라는 새로운 가능성의 도래 = 21 '이상한 나라'의 경제, 허점을 드러내다 G20 정상들의 무능함 우리의 미래를 위해 우리가 나서자 실패한 시장은 버려라 : 우리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경제 = 34 선진국의 버블과 후진국의 그늘 세계 경제는 재편의 수순을 밟고 있다 '보이지 않는 손'의 허상 : 경제적 다원주의에 대한 찬양 = 43 시장기능은 과연 작동하는가 정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자본을 제대로 배분하지 못한 결과 그래서 경제민주화가 필요하다 보이는 것과 다른 것들 : 국가자본주의의 이면에 숨은 진실 = 59 과거가 예견한 어두운 미래 금융과 권력의 야합을 깨라 가진 자들을 위해 일하는 IMF 국가 주도적 경제성장 정책의 필요성 중대하고 의미있는 움직임들 글로벌 위기 이후의 세계 : 그린 뉴딜의 필요성 = 76 누구를 위한 신용인가 금융위기가 가져올 더 큰 위기 그린 뉴딜을 제안한다 위기 탈출을 위한 그린 뉴딜의 제안 무한히 반복되는 문제들 : 정의로운 과세체계의 수립 = 92 세금을 회피하는 꼼수를 차단하라 생태적 케인스주의의 대두 신자유주의의 족쇄를 벗어라 : 탈세계화의 필요성 = 102 신자유주의의 만트라 위기를 극복할 11가지 대안 반복되는 위기가 가져온 근원적 물음들 : 경제부터 환경까지 = 111 은행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주택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일자리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시장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돈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신용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금융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경제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조세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환경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자에 관한 불편한 진실 : 금융의 기득권에 대항하라 = 138 독을 지닌 금융 부채의 증가를 막아라 우리 세대가 감당해야 할 중대한 투쟁 은행의 무능함 : 금융의 규제가 시급한 이유 = 156 돈을 찍어내는 권한을 폐지하라 실현 가능성 저축으로 돌아가라 규모가 문제다 낯선 상품들을 정리하라 금융상품 매매에 세금을 부과하라 리스크와 보상을 연계하라 조세피난처를 폐쇄하라 새로운 금융시스템의 시작 세금을 회피하는 부자 괴물들 : 조세피난처에 메스를 대라 = 174 세금 속에 숨은 오랜 유착의 악취 합법적인 세금 탈루, 그 아이러니 조세피난처를 없애라 일자리가 최우선이다 : 노동을 통한 발전의 재분배 = 191 노동자들을 위한 시스템의 확립 개발도상국의 적극적 참여 창구가 필요하다 금융보다 생산을 강화하라 제2부 시장경제가 외면한, 다수를 위한 새로운 경제 : 공정한 경쟁과 기회의 평등, 분배의 정의를 실현할 합리적 대안 모든 위기에서 세계를 구하는 방법 : 자본주의의 파괴적 습성을 버려라 = 209 오픈 소스, 공익 확대하기 지구의 온도 낮추기 부의 공정한 분배 서서히 속도를 높여 확대하기 토착민 대통령의 호소 : 다양성이 존재하는 통합을 위하여 = 226 강대국만의 자본주의에 대항하다 : 개방형 반자본주의를 통한 자원의 사회적 공유 = 232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결함 '사회적 공유'의 효과 10가지 정책 계획 환경보호를 가장한 꼼수 : 국제기후협상의 불합리함 = 248 같은 배를 탄 처지 공정한 지점 계속 이어나가기 협상 테이블에서 무엇이 논의되었나 향후 나아갈 길 탄소배출권 뒤에 숨은 강대국의 오만함 : 환경에 대한 시장적 접근을 경고함 = 273 탄소배출권거래제도의 은밀한 속임수 환경을 팔아먹는 거대 자본들 지금은 세계 빈곤과 맞서 싸울 최적기 : 경제성장 모델에 대한 도전 = 284 다수를 위한 새로운 모델 공공부문의 회복 정의와 재분배 인권, 환경의 지속가능성 민주적 통제력을 되찾아라 위기는 변화를 촉구하는 경제의 경고 참고한 문헌 및 웹사이트 = 299 이 책에 등장하거나 도움을 준 단체와 매체들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