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자유로부터의 도피 (18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Fromm, Erich, 1900-1980 김석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자유로부터의 도피 / 에리히 프롬 ; 김석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Humanist,   2012   (2013)  
형태사항
330 p. ; 23 cm
원표제
Escape from freedom
ISBN
9788958625162
일반주기
부록: 성격과 사회 과정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iberty Democracy Totalitarianism Social psychology
000 00929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714818
005 20140306183903
007 ta
008 120716s2012 ulk 001c kor
020 ▼a 9788958625162 ▼g 03180
035 ▼a (KERIS)BIB000012846541
040 ▼a 211042 ▼c 211042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23.44 ▼2 23
085 ▼a 323.44 ▼2 DDCK
090 ▼a 323.44 ▼b 2012z3
100 1 ▼a Fromm, Erich, ▼d 1900-1980 ▼0 AUTH(211009)113330
245 1 0 ▼a 자유로부터의 도피 / ▼d 에리히 프롬 ; ▼e 김석희 옮김
246 1 9 ▼a Escape from freedom
260 ▼a 서울 : ▼b Humanist, ▼c 2012 ▼g (2013)
300 ▼a 330 p. ; ▼c 23 cm
500 ▼a 부록: 성격과 사회 과정
500 ▼a 색인수록
650 0 ▼a Liberty
650 0 ▼a Democracy
650 0 ▼a Totalitarianism
650 0 ▼a Social psychology
700 1 ▼a 김석희, ▼e▼0 AUTH(211009)94027
900 1 0 ▼a 프롬, 에리히,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1170688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1-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117135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4 예약 서비스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5130981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4 예약 서비스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513415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1170688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1-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117135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4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5130981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23.44 2012z3 등록번호 1513415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소유냐, 존재냐>, <사랑의 기술> 등을 통해, 수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의 주저가 번역가 김석희의 정확하고 유려한 번역으로 새로 태어났다. 그동안 몇몇 번역서가 나왔지만, 에리히 프롬의 육성과 숨결을 가장 잘 살려낸 번역본이라 부를 만하다. 또한 이 책은 한국어판 정식 계약본이기도 하다. 이 책은 28개국에서 출간되었고, 전 세계에 500만부 이상이 팔렸다.

중세 사회의 붕괴로 생겨난 인간의 불안이라는 현상을 분석한 책이다. 중세 사회에는 많은 위험이 존재했지만, 인간은 그 안에서 보호를 받으며 안전하다고 느꼈다. 수백 년 동안 열심히 노력한 끝에 인간은 꿈도 꾸어보지 못했던 물질적 부를 쌓아올리는 데 성공했다. 인간은 세계 곳곳에 민주주의 사회를 건설했고, 최근에는 전체주의의 새로운 책동에 맞서 자신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저자 에리히 프롬이 분석하여 보여주려는 것은 근대인이 아직도 불안하다는 것이다.

한 시대의 명저에서 현대 고전의 반열에 오른 책!

번역가 김석희, 에리히 프롬의 대표작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새롭게 번역하다

《소유냐, 존재냐》, 《사랑의 기술》 등을 통해, 수많은 독자를 확보하고 있는 철학자이자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의 주저 《자유로부터의 도피》가 번역가 김석희의 정확하고 유려한 번역으로 새로 태어났다. 그동안 몇몇 번역서가 나왔지만, 에리히 프롬의 육성과 숨결을 가장 잘 살려낸 번역본이라 부를 만하다. 또한 이 책은 한국어판 정식 계약본이기도 하다. 이 책은 28개국에서 출간되었고, 전 세계에 500만부 이상이 팔렸다.

현대인의 정신적 상황에 대한 강력한 통찰
≪자유로부터의 도피≫는 중세 사회의 붕괴로 생겨난 인간의 불안이라는 현상을 분석한 책이다. 중세 사회에는 많은 위험이 존재했지만, 인간은 그 안에서 보호를 받으며 안전하다고 느꼈다. 수백 년 동안 열심히 노력한 끝에 인간은 꿈도 꾸어보지 못했던 물질적 부를 쌓아올리는 데 성공했다. 인간은 세계 곳곳에 민주주의 사회를 건설했고, 최근에는 전체주의의 새로운 책동에 맞서 자신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저자 에리히 프롬이 분석하여 보여주려는 것은 근대인이 아직도 불안하다는 것이다. 불안한 인간은 온갖 부류의 독재자들에게 자신의 자유를 넘겨주거나, 스스로 기계의 작은 톱니가 되어 호의호식하지만, 자유로운 인간이 아니라 자동인형 같은 인간이 되고 싶은 유혹에 사로잡힌다.

두 개의 길
자유는 근대인에게 독립성과 합리성을 가져다주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개인을 고립시키고 그로 말미암아 개인을 불안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만들었다. 그 세계에서의 모든 사람과 모든 사물이 도구화되었고, 그는 자기 손으로 만든 기계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그는 자기가 생각하고 느끼고 원해야 한다고 믿는 것을 생각하고 느끼고 원한다. 바로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자아를 상실하지만 자유로운 개인의 진정한 안전은 모두 그 자아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개인이 고립에서 벗어나려면, 자유라는 무거운 부담을 피해 다시 의존과 복종으로 돌아가거나 아니면 인간의 독자성과 개인성에 바탕을 둔 적극적인 자유를 실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거나, 둘 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 그중 하나의 길을 통해서 그는 ??적극적인 자유??로 나아갈 수 있고, 사랑과 일 속에서 자신의 감정적·감각적·지적 능력을 진정으로 표현하면서 바깥 세계와 자연스럽게 관계를 맺을 수 있으며, 그리하여 자신의 개체적 자아의 독립성과 본래의 모습을 포기하지 않고도 인간과 자연 및 그 자신과 다시 일체가 될 수 있다.
그에게 열려 있는 또 하나의 길은 뒤로 물러나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고, 그의 개체적 자아와 세계 사이에 생겨난 간격을 제거함으로써 자신의 외로움을 극복하려고 애쓰는 것이다. 이 두 번째 길은 그가 ??개인??으로 결합되기 전과 같은 방식으로 세계와 그를 다시 통합시키지 못한다. 그와 세계의 분리는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 두 번째 길은 참을 수 없는 상황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그 상황이 오래 계속되면 도저히 살 수가 없기 때문에 거기에서 도피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두 번째 길을 특징짓는 것은 그 강박적인 성격이다. 또 다른 특징은 개성과 자아의 본모습을 완전히 포기하는 것이다. 인간은 이제 더 이상, 자기가 만든 세계의 주인이 아니다. 반대로 인간이 만든 세계가 그의 주인이 되었다.

심리학적인 각도에서 자유의 문제에 접근하다
프롬이 서 있는 심리학적 입장은 이른바 신프로이트학파 또는 프로이트 좌파라고도 불리는 입장이다. 간단히 말하면 신프로이트학파는 사회학화된 프로이트주의다. 프로이트는 리비도를 생물학적이고 성욕에 뿌리를 둔 근본 충동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신프로이트학파에서는 사회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충동이나 욕구를 상정함으로써, 프로이트의 모든 것을 성으로 뒤덮어버리는 범성주의(汎性主義)를 극복하고 있다. 이런 극복을 통해 프로이트의 천재적 통찰을 충분히 살리는 동시에 프로이트의 사회적 반동성을 극복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역사를 움직이는 힘은 과연 무엇인가?
프롬에 따르면 그것은 사회경제적 조건, 이데올로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적 성격??이다. 이 사회적 성격이라는 개념을 새로 제시한 데 이 책의 큰 매력이 있다. 이것은 ‘부록’으로 딸린 ‘성격과 사회 과정’에 자세히 나오지만, 여기에서 세 명의 거인 사상가인 마르크스, 막스 베버, 프로이트를 인용하고 있는 점에 유념해주기 바란다. 말할 것도 없이, 역사를 움직이는 최종적인, 또는 특히 유력한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인 것을 생각한 사람은 마르크스이고, 이데올로기적인 것을 생각한 사람은 베버이고, 인간의 심층 깊숙한 곳에 있는 근원적 충동(여기에서 개성이라는 개념과 사회적 성격이라는 개념이 생겨난다)을 생각한 사람은 프로이트이다. 프롬은 그중 어느 것이 결정적인 최종적 요인이라고 단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프롬이 특히 주의를 환기시키려 한 것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와 함께 역사에서 맡고 있는 사회적 성격의 역할이었다.

자유의 심리학적 측면을 분석하다
문제의 중점은 르네상스 및 종교개혁 이래 인간을 종래의 속박으로부터 해방해온 자유의 원리와 인간에게 고독감과 무력감을 주는 부정적 측면이 서로 얽혀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는 데 있다. 그 결과 인간은 자유의 부담을 견디다 못해 나치즘 같은 전체주의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희구하게 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자유가 무거운 부담이 되는 곳에서는,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나치즘이나 파시즘의 심리적 온상이 존재한다.
프롬이 현대인의 운명에 대해 논하고 있는 점은, 충분히 민주주의적이지도 않고 충분히 기계주의적이지도 않은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도 충분히 납득할 수 있을 것이다. 충분히 민주주의적이지 않은 사회에서는 위에서 강제된 ‘민주주의’는 더욱 획일적이 될 것이고, 충분히 기계주의적이지 않은 사회에서는 간신히 작동되는 기계는 더욱 불쾌한 독소를 내뿜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매스컴이 조장하고 있는 현대인의 최면 상태는 동서양을 불문하고 공통된 현상이다. 따라서 자유가 주어져 있느냐 하는 문제와 함께 자유를 보람 있게 쓸 수 있느냐가 당연히 큰 과제가 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에리히 프롬(지은이)

사회심리학자이자 정신분석학자. 마르크스와 프로이트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사회심리학이라는 새로운 장을 열었다. 자본주의사회에서 현대인이 소외당하는 이유를 파헤치고, 인간 내면의 진정한 해방과 사회 변혁을 동시에 추구하는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꿈꿨다. 자유 대신 복종을 선택하며 나치를 탄생시킨 독일인의 심리를 분석하고, 베트남전쟁과 핵무기 확산에 반대하는 평화운동에 앞장섰으며, 소비주의에 빠진 미국 사회를 비판하는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낸 실천적 학자다. 1900년 프랑크푸르트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해 철학 박 사학위를 받았고, 졸업 후에는 베를린 정신분석연구소 등을 거치며 정신분석학을 공부했다. 1930년대에는 호르크하이머가 소장으로 있는 프랑크푸르트 사회연구소에서 일하며 본격적으로 사회심리학을 연구했다. 나치가 집권하자 1934년 미국으로 망명해 컬럼비아대학교에 재직하다가 1946년부터 윌리엄 앨런슨 화이트 연구소에서 정신분석학자로 일했다. 이후 멕시코국립대학교, 미시간주립대학교, 뉴욕대학교 등에서 정신분석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74년에 스위스로 이주해 살다가 1980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소유냐 존재냐To Have or to Be?》 《자유로부터의 도피Escape from Freedom》 외에 수많은 저서를 남겼다.

김석희(옮긴이)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 국문학과를 중퇴했으며, 198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어 작가로 데뷔했다. 영어&#65381;프랑스어&#65381;일어를 넘나들면서 허먼 멜빌의 『모비 딕』, 헨리 소로의 『월든』,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쥘 베른 걸작 선집(20권),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등 많은 책을 번역했다. 제1회 한국번역대상을 받았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965년판 서문 = 9
초판 서문 = 15
제1장 자유-하나의 심리학적 문제인가? = 19
제2장 개인의 출현과 자유의 다의성 = 39
제3장 종교개혁 시대의 자유 = 55
 1 중세적 배경과 르네상스
 2 종교개혁 시대
제4장 근대인의 관점에서 본 자유의 두 측면 = 113
제5장 도피의 메커니즘 = 145
 1 권위주의
 2 파괴성
 3 자동인형적 순응
제6장 나치즘의 심리 = 215
제7장 자유와 민주주의 = 247
 1 개성의 환상
 2 자유와 자발성
부록 : 성격과 사회 과정 = 284
원주 = 305
옮긴이의 글 = 319
찾아보기 = 32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