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제4판 (10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준일
서명 / 저자사항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 이준일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서울 :   弘文社,   2012  
형태사항
xxvi, 715 p. ; 26 cm
ISBN
9788977703032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747namcc2200265 c 4500
001 000045714292
005 20130916132246
007 ta
008 120803s2012 ulk b 001c kor
020 ▼a 9788977703032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2.519085 ▼2 23
085 ▼a 342.53085 ▼2 DDCK
090 ▼a 342.53085 ▼b 2012z1
100 1 ▼a 이준일 ▼0 AUTH(211009)95000
245 1 0 ▼a 인권법 : ▼b 사회적 이슈와 인권 / ▼d 이준일
246 1 1 ▼a Human rights law : ▼b social issues and human right
246 3 1 ▼a Social issues & human right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弘文社, ▼c 2012
300 ▼a xxvi, 715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00 1 0 ▼a Yi, Zoonil,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6721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672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702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513113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6721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67211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117023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2.53085 2012z1 등록번호 1513113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사회의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인권적 대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이슈들을 인권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기존의 이슈들에 대한 논문과 판례, 법령을 보완해 소개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준일(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동대학교와 광운대학교를 거쳐 2003년 부터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 면서 헌법과 인권법을 연구하고 있다. 학교 밖에서는 헌법 재판소 헌법연구위원, 국회 입법지원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겸 조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13가지 죽음』, 『감시와 법』, 『헌법학강의』, 『인권법』, 『차별금지법』,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섹슈얼리티와 법』, 『가족의 탄생』 등이 있고, 역서로 『법의 개념과 효력』, 『기본권이론』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 :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과 해결을 위한 하나의 모델
 Ⅰ. 합리적 논증이 가능한 권리로서 인권 = 1
 Ⅱ. 인권의 본질로서 인간존엄 및 자유와 평등 = 2
  1. 자유 = 3
  2. 평등 = 4
 Ⅲ. 인권의 특성 = 6
  1. 보편성 = 6
  2. 도덕성 = 7
  3. 근본성 = 7
  4. 추상성 = 7
  5. 우월성 = 8
 Ⅳ. 인권과 기본권 = 8
  1. 인권의 헌법화 = 8
  2. 기본권을 통한 인권의 논의 = 8
 Ⅴ.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의 의미와 방법 = 9
  1. 국가공동체의 헌법화와 헌법국가 = 9
  2. 논증과 토론을 통한 기본적 인권의 균형과 조화 = 9
제1장 사형제도와 생명권
 Ⅰ. 사형제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12
  1. 찬성론(사형존치론) = 13
  2. 반대론(사형폐지론) = 14
 Ⅱ. 사형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6
  1.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 17
  2. 생명권의 제한가능성 = 18
 Ⅲ. 생명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9
  1. 비례성원칙 = 20
  2. 본질내용침해금지원칙 = 24
 Ⅳ. 대체형벌에 관한 논의 = 26
 참고문헌 = 27
제2장 안락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
 Ⅰ. 안락사의 개념과 유형 = 32
  1. 개념 = 32
  2. 유형 = 33
 Ⅱ. 안락사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36
  1. 생명권 = 36
  2. 존엄하게 죽을 권리 = 36
 Ⅲ. 안락사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37
  1. 찬성하는 논거 = 37
  2. 반대하는 논거 = 39
  3. 평가 = 42
 Ⅳ. 안락사와 자살의 문제 = 46
 참고문헌 = 48
제3장 장기이식과 건강하게 살 권리
 Ⅰ. 개관 = 52
  1. 개념 = 52
  2. 문제제기 = 2
 Ⅱ. 장기이식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54
  1.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와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 = 54
  2. 건강하게 살 권리 = 54
  3. 해결방안 = 55
 Ⅲ. 장기이식과 뇌사 = 59
  1. 뇌사의 개념과 판정절차 = 59
  2. 현행 장기이식법의 문제점 = 62
 참고문헌 = 66
제4장 간통죄와 성적 자기결정권
 Ⅰ.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70
  1. 간통죄의 개념과 입법례 = 70
  2.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 = 72
  3. 간통죄에 반대하는 논거 = 73
 Ⅱ. 간통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73
  1. 성적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 73
  2. 성적 자기결정권의 제한가능성 = 76
 Ⅲ.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76
  1. 논증부담의 문제 = 76
  2. 간통죄의 일반예방효과 = 77
  3. 다양한 제도적 문제점 = 77
  4. 헌법재판소의 입장변화 = 79
  5. 간통죄에 관한 논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 80
 참고문헌 = 81
제5장 로또와 도박할 권리
 Ⅰ. 개념 = 83
  1. 도박 = 83
  2. 복권 = 86
  3. 사행행위 = 88
 Ⅱ. 도박할 권리와 합법적 도박 = 91
  1. 합법적 도박으로서 복권 = 91
  2. 합법적 도박으로서 카지노 = 93
  3. 도박할 권리 = 95
 Ⅲ. 합법적 도박의 허용가능성 = 96
 참고문헌 = 98
제6장 대마흡연과 행복추구권
 Ⅰ. 대마흡연에 관한 찬반논거 = 99
  1. 대마흡연에 반대하는 논거 = 102
  2. 대마흡연에 찬성하는 논거 = 102
 Ⅱ. 대마흡연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102
  1. 대마흡연의 자유 = 102
  2. 평등권 = 103
 Ⅲ.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의 제한가능성 = 104
  1. 자유권의 경우 = 104
  2. 평등권의 경우 = 104
 Ⅳ.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한계 = 105
  1. 대마의 해악과 적합성원칙 = 105
  2. 대마의 효용과 필요성원칙 = 106
  3.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106
 Ⅴ. 금지된 행위의 정당성 = 107
 참고문헌 = 109
제7장 신상공개제도와 사생활의 비밀
 Ⅰ.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근거와 반대하는 근거 = 112
  1. 신상공개제도의 개념 = 112
  2.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논거 = 114
  3. 신상공개제도에 반대하는 논거 = 115
 Ⅱ. 신상공개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16
  1. 명예권과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의 헌법적 근거 = 116
  2. 명예권과 사생활에 관한 권리의 제한가능성 = 117
 Ⅲ. 명예권 및 사생활의 비밀의 권리에 대한 제한의 정당성 = 117
  1. 공익이 기본권보다 우월한 경우 = 117
  2. 찬반논거에 대한 검토 = 118
  3. 신상등록ㆍ열람제도 및 신상등록ㆍ공개ㆍ고지제도 = 122
  4. 전자발찌의 문제 = 127
 참고문헌 = 128
제8장 지문날인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Ⅰ. 문제제기 = 132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134
  1. 개인의 비밀영역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135
  2.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영역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135
 Ⅲ. 범죄수사의 목적을 위한 지문정보의 이용 = 136
  1. 근거법률의 존재 여부 = 136
  2. 범죄수사를 위한 지문날인강제의 정당성 = 138
  3. 소결 = 140
 Ⅳ.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제의 필요성 = 140
 참고문헌 = 142
제9장 민간인 사찰과 감시받지 않을 권리
 Ⅰ. 민간인 사찰의 역사와 이유 = 146
 Ⅱ. 민간인 사찰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46
  1. 감시받지 않을 권리 = 146
  2. 주거의 비밀에 관한 권리 = 147
  3. 통신의 비밀에 관한 권리 = 148
  4.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 = 150
 Ⅲ. 감시의 법적 문제들 = 152
  1. 사인간의 감시 = 152
  2. 합법적 국가활동에 의한 감시 = 153
  3. 감시의 책임 = 153
  4. 감시의 위축효과 = 154
 Ⅳ. 민간인 사찰과 권력의 남용 및 사유화 = 154
 참고문헌 = 156
제10장 양심적 병역거부와 양심의 자유
 Ⅰ. 양심적 병역거부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58
  1. 개관 = 158
  2. 양심의 자유의 헌법적 근거 = 160
 Ⅱ. 양심의 자유의 제한가능성 = 164
  1. 양심의 자유의 내용에 따른 구분 = 164
  2. 양심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실정헌법적 근거 = 164
 Ⅲ. 양심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65
  1. 병역거부의 금지 및 제재와 적합성원칙 = 165
  2. 병역거부자의 인권과 필요성원칙 = 166
  3. 병역거부에서 충돌하는 이익과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167
  4. 결론과 대안 = 170
 참고문헌 = 174
제11장 국가보안법과 사상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78
 Ⅱ. 문제조항 = 179
  1. 개정 전의 찬양ㆍ고무 = 179
  2. 개정 후의 찬양ㆍ고무 = 181
  3. 잠입ㆍ탈출 = 183
  4. 회합ㆍ통신 = 184
  5. 목적수행 = 185
  6. 불고지죄 = 186
  7. 최근판례 = 188
 Ⅲ. 국가보안법의 법적 문제 = 188
  1. 영토조항과 통일조항의 관계 = 188
  2. 국가보안법과 남북교류협력법의 관계 = 190
  3. 법률명확성의 문제 = 191
 Ⅳ. 합리적 대안 = 192
 참고문헌 = 193
제12장 채플과 종교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96
 Ⅱ. 종교교육과 관련된 인권 = 197
  1. 종교의 자유 = 197
  2.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가능성 = 199
  3.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200
  4. 사인간에서 종교의 자유의 효력 = 205
 참고문헌 = 207
제13장 생명복제와 학문의 자유
 Ⅰ. 생명복제와 관련된 인권 = 210
  1. 개념 = 210
  2. 관련된 인권 = 211
 Ⅱ. 논의의 전제조건 = 213
  1. 인권으로서 연구의 자유 = 213
  2. 생명에 관한 논의에서 형이상학의 배제 = 213
 Ⅲ. 합리적 대안 = 214
  1. 개체복제의 경우 = 214
  2. 배아복제의 경우 = 217
  3. 난자제공자의 인권에 대한 보호 = 220
  4. 현행법의 태도와 문제점 = 220
 참고문헌 = 224
제14장 포르노와 예술의 자유
 Ⅰ. 외설적 표현과 관련된 인권 = 228
  1.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 229
  2. 표현의 자유의 의의 = 230
 Ⅱ.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 = 230
  1. 원칙 = 230
  2. 전제조건 = 234
 Ⅲ.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일반적 위험성 = 243
  1. 후견주의 = 243
  2. 상업주의를 빙자한 통제 = 244
  3. 성적 욕망의 억압 = 245
  4. 성적 담론의 위축 = 246
  5. 여성의 대상화에 대한 고려 = 247
 참고문헌 = 250
제15장 사전검열과 표현의 자유
 Ⅰ. 문제제기 = 253
 Ⅱ. 문제가 되는 기본권 = 255
  1. 표현의 자유 = 255
  2. 사전검열 = 257
 Ⅲ. 사전검열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와 심의제도에 관한 입법 = 258
  1. 영화에 대한 사전심의 = 258
  2. 음반에 대한 사전심의 = 261
  3. 비디오에 대한 사전심의 = 262
  4. 게임물에 대한 사전심의 = 264
  5. 정기간행물에 대한 심의 = 266
  6. 방송에 대한 심의 = 268
  7. 공연에 대한 심의 = 269
  8. 청소년유해매체물에 대한 심의 = 271
 Ⅳ. 사이버시대와 표현의 자유 = 273
  1. 악성 리플(악플)과 인터넷실명제 = 273
  2. 공인의 정보와 사생활 = 273
 Ⅴ. 검열없는 사회를 위하여 = 274
  1. 검열하지 않는 문화의 형성 = 274
  2. 자유로운 소통을 통한 해악성 있는 표현의 제거 = 275
  3. 생각의 다양성과 자유시장의 보장 = 275
  4. 보이지 않는 검열에 대한 인식과 극복 = 276
  5. 감시로서 검열과 신뢰의 회복 = 277
 참고문헌 = 278
제16장 촛불시위와 집회의 자유
 Ⅰ. 무엇이 문제인가? = 280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281
  1. 집회의 자유 = 281
  2. 시위의 자유 = 285
 Ⅲ. 집회의 자유와 관련된 현안 = 286
  1. 중요시설근처집회의 금지 = 286
  2. 복면착용집회의 금지 = 289
  3. 우발적 집회와 긴급집회 = 290
  4. 1인 시위 = 291
  5. 불법시위에 대한 집단소송제 = 292
 Ⅳ. 평화로운 집회문화의 정착을 바라며 = 292
 참고문헌 = 294
제17장 스크린쿼터와 직업의 자유
 Ⅰ. 서론 = 296
  1. 개념 = 296
  2. 문제제기 = 296
 Ⅱ. 문제가 되는 인권과 그에 대한 제한 = 297
  1. 직업의 자유 = 298
  2. 평등권 = 303
 Ⅲ. 스크린쿼터제의 전망과 과제 = 303
 참고문헌 = 306
제18장 선거권연령과 정치적 자유
 Ⅰ. 문제제기 = 307
 Ⅱ. 정치적 기본권 = 311
  1. 개념 = 311
  2. 공적 자율성의 보장수단으로서 정치적 자유 = 312
 Ⅲ. 정치적 기본권과 관련된 문제들 = 313
  1. 연령에 따른 선거권 및 피선거권의 제한 = 313
  2. 기탁금제도에 의한 피선거권 제한 = 314
  3. 수형자의 선거권 제한 = 315
  4. 해외거주자에 대한 부재자투표 = 316
  5. 초ㆍ중등교원의 정치활동 금지 = 318
  6.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전 사퇴강제 = 320
 Ⅳ. 정치적 기본권에 대한 관점의 전환 = 320
 참고문헌 = 321
제19장 재개발과 철거민의 인권
 Ⅰ. 개념 및 문제제기 = 323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326
  1. 재산권 = 326
  2. 주거권 = 330
 Ⅲ.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지를 성찰하는 재개발을 바라며 = 333
 참고문헌 = 334
제20장 전세대란의 시대에 세입자의 인권
 Ⅰ. 문제제기 = 335
 Ⅱ. 세입자의 인권으로서 주거권 = 338
  1. 법적 근거 = 338
  2. 내용 = 339
 Ⅲ. 주택소유자의 권리에 대한 침해 = 342
  1. 재산권에 대한 침해 = 342
  2. 직업의 자유에 대한 침해 = 342
  3. 계약의 자유에 대한 침해 = 343
 Ⅳ. 충돌하는 권리의 조화를 위한 대안 = 344
  1. 계약갱신청구권과 최소임대기간의 보장 = 344
  2. 임대료 최대인상률의 제한 = 345
  3. 장기임대주택의 충분한 공급과 임차료보조제도 = 345
 참고문헌 = 346
제21장 4대강 사업과 환경권
 Ⅰ. 문제제기 = 350
  1. 대형 국토개발사업과 환경권 = 350
  2. 글로벌 환경위기와 환경권 = 350
  3. 개념 = 351
 Ⅱ. 환경권의 내용 = 351
  1. 국가의 환경파괴와 방어권 = 352
  2. 국민의 환경파괴와 보호권 = 355
  3.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받을 사회권 = 357
  4. 환경에 관한 절차권 = 358
  5. 사인간의 환경분쟁과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 = 360
 Ⅲ. 환경파괴에 대한 공익소송의 문제 = 361
 참고문헌 = 364
제22장 양극화와 가난한 자의 권리
 Ⅰ. 문제제기 = 367
  1. 돈이 필요한 자유 = 367
  2. 한국사회의 양극화 = 368
 Ⅱ. 사실적 자유와 사회보장(사회복지) = 374
  1. 사실적 자유로서 사회적 기본권 = 374
  2. 국가의 사회보장의무 = 375
 Ⅲ. 최소한의 사회권으로서 최저생계비 = 375
  1. 최저생계비의 의의 = 375
  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 377
  3. 급여의 유형 = 379
 Ⅳ.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근로의 권리 = 380
  1. 근로의 권리의 개념 = 380
  2. 최저임금법의 주요내용 = 380
 Ⅴ.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보험제도 = 382
  1. 국민연금 = 383
  2. 건강보험 = 385
  3. 고용보험 = 386
  4. 산재보험 = 389
 Ⅵ. 사회권과 사회보장을 통한 양극화해결의 한계와 대안 = 391
 참고문헌 = 392
제23장 체벌과 아동의 인권
 Ⅰ. 문제제기 = 396
 Ⅱ. 체벌에서 문제되는 인권 = 399
  1. 인권의 주체로서 아동 = 399
  2. 논증부담과 관련된 권리 = 399
  3. 가혹한 인권침해의 금지 = 400
 Ⅲ. 체벌에 대한 찬반논거 = 400
  1. 체벌에 찬성하는 논거 = 400
  2. 체벌에 반대하는 논거 = 401
  3. 체벌이 정당화되는 법적 근거 = 403
  4. 비판과 대안 = 40
 Ⅳ. 아동의 권리와 관련된 그 밖의 문제들 = 406
  1. 아동학대 = 406
  2. 청소년대상유해행위 = 409
  3. 학생의 권리 = 412
 참고문헌 = 413
제24장 낙태와 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16
 Ⅱ. 낙태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418
  1. 태아의 생명권 = 418
  2. 산모의 출산권 = 419
  3. 해결방안 = 420
 Ⅲ. 낙태의 정당화 = 421
  1. 기간규정방식과 정당화사유규정방식 = 421
  2. 모자보건법에서 낙태가 허용되는 경우 = 422
  3. 산모의 출산권을 고려한 대안 = 425
 보론: 폭력에 대한 여성의 권리 = 426
  1. 가정폭력과 아내의 권리 = 426
  2. 부부강간죄의 성립과 아내의 성적 자기결정권 = 430
 참고문헌 = 431
제25장 감옥과 재소자의 인권
 Ⅰ. 재소자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필요성과 한계 = 434
 Ⅱ. 미결수용자의 권리 = 438
  1. 수의착용금지 = 438
  2.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439
  3. 서신검열 = 440
  4. 수용자로서의 권리 = 442
 Ⅲ. 기결수용자(수형자)의 권리 = 442
  1.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442
  2. 보호장비사용의 제한 = 442
  3. 접견권 = 444
  4. 서신교환에 관한 권리 = 447
  5. 전화통화에 관한 권리 = 448
  6. 목욕ㆍ운동할 수 있는 권리 = 449
  7. 집필할 수 있는 권리 = 451
  8. 신문ㆍ도서를 구독할 수 있는 권리 = 452
  9. 건강보험 = 453
  10. 징벌 = 454
 Ⅳ. 행형과 형벌의 목적을 고려한 재소자의 대우 = 455
 참고문헌 = 459
제26장 성(性)의 상품화와 성매매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62
 Ⅱ. 강제적 성매매와 피해여성의 권리 = 464
  1. 강제적 성매매의 절대적 금지 = 464
  2. 성매매 피해여성의 권리 = 465
 Ⅲ. 자발적 성매매와 성매매여성의 권리 = 465
  1. 자발적 성매매의 허용가능성 = 465
  2. 자발적 성매매여성의 권리 = 469
 Ⅳ. 성매매에 관한 이성적 논의의 필요성 = 469
 참고문헌 = 471
제27장 성(性)의 개방화와 미혼모의 인권
 Ⅰ. 개관 = 476
  1. 개념 = 476
  2. 문제제기 = 478
 Ⅱ. 미혼모의 인권 = 480
  1. 혼전 성관계와 성적 자기결정권 = 480
  2. 혼전 임신과 임신ㆍ출산에 관한 자기결정권 = 481
  3. 배우자 없는 출산과 자녀양육권 = 482
  4. 청소년 미혼모의 특수성 = 484
 Ⅲ. 임신과 출산에 관한 새로운 평가와 미혼모 = 485
 참고문헌 = 487
제28장 광기의 시대에 정신장애인의 인권
 Ⅰ. 개념 = 490
 Ⅱ. 정신장애인의 인권 = 491
  1. 자유권 = 492
  2. 평등권 = 498
  3. 사회권 = 501
 Ⅲ.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대안 = 503
 참고문헌 = 505
제29장 한반도의 분단과 탈북자의 인권
 Ⅰ. 문제제기 = 507
 Ⅱ. 탈북자에 대한 법적 규율 = 509
 Ⅲ. 구체적 문제들 = 510
  1. 탈북자의 국적 = 511
  2. 탈북자의 난민으로서의 지위 = 514
  3. 탈북자의 이혼과 재혼 = 515
  4. 탈북아동의 문제 = 516
  5. 탈북여성의 문제 = 516
  6. 탈북자의 사회적응 = 517
 Ⅳ.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조화시키는 관점에서 탈북자 문제의 해결책 = 517
 참고문헌 = 519
제30장 세계화와 외국인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522
  1. 국민과 외국인 = 522
  2. 문제제기 = 523
 Ⅱ. 한국내 외국인노동자의 현실 = 533
  1. 전체숫자 = 533
  2. 출신국가 = 534
  3. 진출업종 = 534
  4. 임금수준 = 535
  5. 권리보장수준 = 535
 Ⅲ. 외국인노동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권리 = 536
  1. 임금 = 537
  2. 사회보장 = 538
  3. 폭행금지 = 539
  4. 노동3권 = 539
  5. 강제퇴거 = 541
 Ⅳ. 다문화사회를 위한 전제조건 = 541
 참고문헌 = 543
제31장 다문화시대와 혼혈인의 인권
 Ⅰ. 끝나지 않은 혼혈인의 문제 = 546
 Ⅱ. 혼혈인에 대한 인권침해의 현실 = 548
  1. 전생애적 인권침해 = 548
  2. 인종차별 = 550
  3. 병역면제의 차별적 성격 = 551
  4. 혼혈인의 어머니로서 결혼이주여성의 문제 = 553
 Ⅲ.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 554
 참고문헌 = 555
제32장 국경을 넘은 결혼의 증가와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Ⅰ. '국경 없는 결혼'의 증가 = 558
 Ⅱ. 결혼할 권리 = 559
  1. 내용 = 559
  2. 제한 = 560
  3. 결혼의 성매매적 성격 = 562
 Ⅲ. 결혼이주여성의 인권 = 563
  1. 결혼성사 단계에서 배우자선택권 = 563
  2. 결혼생활 단계에서 배우자로서 존중받을 권리 = 565
  3. 자녀양육 단계에서 사회적 기본권 = 565
  4.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취득에 관한 권리 = 566
  5. 결혼이주여성의 이혼과 귀화 = 567
 Ⅳ.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 = 568
 참고문헌 = 569
제33장 끝나지 않은 박해와 난민의 인권
 Ⅰ. 개관 = 572
  1. 현황과 문제제기 = 572
  2. 난민의 개념 = 575
  3. 난민인정의 절차 = 577
 Ⅱ. 난민의 인권 = 579
  1. 비호권 = 579
  2. 추방당하지 않을 권리 = 580
  3. 불법입국ㆍ체류에 대한 형벌을 면제받을 권리 = 580
  4. 자유권 = 581
  5. 사회권 = 582
  6. 평등권 = 582
  7. 한국에서 난민에 대한 처우 = 583
 Ⅲ. 돌아갈 조국이 없는 자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 = 584
 참고문헌 = 585
제34장 실업의 시대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유형 = 588
  1. 근로자 = 588
  2.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 588
  3. 비정규직 근로자의 유형 = 589
  4. 비정규직 근로자의 규모 = 590
 Ⅱ. 비정규직 근로자의 현실 = 591
  1. 임금 = 591
  2. 근로복지 = 592
  3. 사회보험 = 592
  4. 노동3권 = 594
 Ⅲ.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 = 594
  1. 기간제한과 정규직전환 = 594
  2. 초과근로제한 = 597
  3. 차별의 금지 = 598
  4. 근로조건명시의무 = 600
  5. 남은 권리들 = 601
 참고문헌 = 602
제35장 사이버세상에서 네티즌의 인권 - 인터넷실명제ㆍ허위사실유포죄ㆍ사이버모욕죄를 중심으로
 Ⅰ. 인터넷실명제 = 606
  1. 개념 = 606
  2. 문제가 되는 인권 = 608
  3. 비판과 대안 = 610
 Ⅱ. 허위사실유포죄 = 612
  1. 개념 = 612
  2. 문제가 되는 인권 = 615
  3. 비판과 대안 = 616
 Ⅲ. 사이버모욕죄 = 619
  1. 개념 = 619
  2. 문제가 되는 인권 = 621
  3. 비판과 대안 = 622
 참고문헌 = 623
제36장 섹슈얼리티와 성적 소수자의 인권
 Ⅰ. 성별과 결혼의 문제 = 626
 Ⅱ. 트랜스젠더의 인권 = 626
  1. 이름과 성별을 변경할 권리 = 627
  2. 혼인할 권리 = 629
  3. 차별받지 않을 권리 = 630
  4.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 = 630
  5. 성전환치료에 관한 권리 = 631
  6. 트랜스젠더에 대한 강간죄의 문제 = 632
 Ⅲ. 동성애자의 인권 = 633
  1. 혼인할 권리(right to marry) = 633
  2. 차별받지 않을 권리 = 634
  3. 동성애의 비범죄화 = 635
 Ⅳ.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정과 존중 = 636
 참고문헌 = 637
제37장 잔혹한 시대에 범죄피해자의 인권
 Ⅰ. 범죄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 = 640
 Ⅱ. 범죄피해자의 인권 = 640
  1. 범죄로부터 보호받을 권리 = 640
  2.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 641
 Ⅲ. 범죄피해자의 보호 및 구조에 관한 제도 = 642
  1. 범죄피해자보호제도 = 643
  2. 범죄피해자구조제도 = 643
  3. 범죄피해자보호기금 = 646
 Ⅳ. 범죄 없는 사회보다 범죄에 함께 책임지는 사회 = 646
 참고문헌 = 648
제38장 문민의 시대에 군인의 인권
 Ⅰ. 특별한 권력관계? No! 특수한 신분? Yes! = 652
 Ⅱ. 군인의 복무에 관한 포괄적 위임의 문제 = 653
 Ⅲ. 구타의 문제 = 654
  1. 원칙 = 654
  2. 얼차려의 경우 = 655
 Ⅳ. 종교행사 참여강요의 문제 = 656
 Ⅴ. 불온서적의 문제 = 657
  1. 불온서적금지 = 657
  2. 물품반입금지 = 658
 Ⅵ. 성폭력의 문제 = 659
  1. 성폭력 피해자의 성별 = 659
  2. 성폭력피해의 은폐와 반복 = 660
  3. 성폭력피해자의 치료 = 662
 Ⅶ. 동성애의 문제 = 662
  1. 군인의 동성애 = 663
  2. 군인간의 동성애 = 663
 Ⅷ. 병영생활의 문제 = 665
  1. 내무생활의 문제 = 665
  2. 영창의 문제 = 666
  3. 복지의 문제 = 667
 Ⅸ. 군대가 생산적인 곳이 되기 위하여 = 668
 참고문헌 = 669
제39장 대중문화 시대에 연예인과 운동선수의 인권
 Ⅰ. 문제제기 = 672
 Ⅱ. 노예계약과 계약의 자유 = 672
  1. 노예계약의 내용 = 672
  2. 계약의 자유 = 673
  3. 노예계약의 허용 여부 = 674
  4. 드래프트 제도에 의한 계약의 경우 = 676
 Ⅲ. 가혹행위와 신체불훼손권ㆍ학습권ㆍ성적 자기결정권 = 677
  1. 처벌되어야 하는 범죄로서 구타 = 677
  2. 학생 운동선수와 연습생의 학습권 = 677
  3. 여성 운동선수에 대한 성폭력의 경우 = 678
  4. 여성 연예인에게 요구되는 성상납의 경우 = 679
 Ⅳ. 사생활노출과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 = 679
  1. 스타의 사생활에 대한 대중의 알 권리 = 679
  2. 알 권리와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의 균형적 실현 = 680
  3. 사생활과 계약위반 = 680
  4. 사생활의 감시와 악용 = 681
 Ⅴ. 연예인과 운동선수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대안 = 682
  1. 연예인의 근로자성 인정 = 683
  2. 전속계약의 표준약관화 = 684
  3. 연예기획사의 설립에 대한 제한 = 685
  4. 스포츠인권법의 제정 = 685
 참고문헌 = 687
제40장 소수자의 차별과 평등권
 Ⅰ. 소수자의 개념 = 689
  1. 양적 소수자와 질적 소수자 = 690
  2. 상대적 소수자와 절대적 소수자 = 690
  3. 발굴된 소수자와 발굴되지 않은 소수자 = 691
 Ⅱ. 차별의 개념과 유형 = 691
  1. 차별의 개념 = 691
  2. 차별의 유형 = 692
 Ⅲ. 소수자의 평등권 = 695
  1. 차별의 이유를 제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695
  2. 차별의 합리적 근거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695
  3. 가혹한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 = 696
  4. 사실적 차별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696
 참고문헌 = 697
결론 : 인권의 조화롭고 균형있는 실현을 위하여
 Ⅰ. 생명에 대하여 = 699
 Ⅱ. 형벌에 대하여 = 700
 Ⅲ. 법제도의 악용에 대하여 = 701
 Ⅳ. 통계에 대하여 = 701
 Ⅴ. 성에 대하여 = 702
 Ⅵ. 도덕에 대하여 = 703
 Ⅶ. 매매에 대하여 = 703
 Ⅷ. 소수자(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 704
 Ⅸ. 권리나 이익의 조화와 균형에 대하여 = 705
사항색인 = 70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