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79n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14103 | |
005 | 20120803091900 | |
007 | ta | |
008 | 120802s2012 bnka 000c kor | |
020 | ▼a 9788993731163 ▼g 96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951.902074 ▼2 22 |
085 | ▼a 953.0553074 ▼2 DDCK | |
090 | ▼a 953.0553074 ▼b 2012 | |
245 | 0 0 | ▼a 임진왜란 : ▼b 임진왜란 7주갑 특별기획전 = ▼x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 2012 special exhibition / ▼d [부산박물관 편] |
246 | 3 1 | ▼a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
246 | 3 | ▼a 임진왜란 칠주갑 특별기획전 |
260 | ▼a 부산 : ▼b 부산박물관, ▼c 2012 | |
300 | ▼a 233 p. : ▼b 천연색삽화 ; ▼c 29 cm | |
500 | ▼a 부록수록 | |
585 | ▼a 전시: "임진왜란", 부산박물관, 2012. 6. 5 - 7. 29 | |
710 | ▼a 부산박물관, ▼e 편 | |
910 | 0 | ▼a Busan Museum,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953.0553074 2012 | Accession No. 1116720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useum/ | Call Number 953.0553074 2012 | Accession No. 912024802 | Availability Un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목차 인사말 / 양맹준 6 part 01. 임진왜란과 부산 10 1-1. 죽을지언정 길을 내줄 수는 없다 12 1) 부산진성전투 14 2) 동래읍성전투 14 3) 다대진성전투 15 1-2. 칼에 베인 영혼들 40 1-3. 충성스런 정신과 의로운 기운으로 싸우다 72 1) 동래부민의 의병운동 74 2) 좌수영성전투 74 1-4. 수군의 승리와 부산포해전 94 1) 조선 수군의 승리 96 2) 이순신 96 3) 부산포해전 97 1-5. 왜성의 축조와 삶의 포획 112 1) 정유재란 114 2) 왜성의 축조 114 3) 7년 전쟁의 폐해 114 남해안지역의 왜성(倭城) / 나동욱 119 1. 왜성의 개요 119 2. 왜성의 축조상황 119 1) 임진왜란기(1592~1596)의 축성 119 2) 정유재란기(1597~1598)의 축성 120 3. 왜성의 구조와 특징 121 part 02. 전쟁이 남기다 124 2-1. 조선인 포로 126 임진왜란과 조선인 포로 -귀환한 자와 남은 자- / 민덕기 128 1. 머리말 128 2. 귀환한 사람들 128 3. 잔류한 사람들 129 3. 맺음말 131 참고문헌 131 2-2. 귀화인 140 임진왜란과 귀화인 / 백선영 142 1. 머리말 142 2. 우리 역사 속의 ''귀화(歸化)'' 142 3. 임진왜란과 귀화인 142 4. 맺음말 145 참고문헌 145 2-3. 전쟁이 문화를 남기다 152 임진왜란 시기 명 문물의 조선 유입 / 한명기 154 1. 임진왜란 시기 명 문물의 유입 배경 154 2. 임진왜란 시기 조선으로 들어온 명 문물 155 주와 참고문헌 159 part 03. 전쟁을 기억하다 170 부산의 임진왜란 기억과 추모 기념화 사업 / 변광석 172 머리말 172 1. 전쟁 직후 지역사회의 형상 172 2. 순절자 추모와 ''충렬''의 기념화 사업 174 맺음말 176 참고문헌 177 부록 198 논고 199 임진왜란 기록화, 순절도 연구 / 이현주 200 동래읍성 해자출토유물을 통해 본 무기와 무구연구 / 안성현 212 동래읍성해자 출토 인골 / 김재현 224 출품목록 228 정오표 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