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학의 정의와 범주
1. 문학 그 자체 = 11
1) 文ㆍ文學과『詩經』 = 11
2) Literature와 Poetica = 14
2. 예술로서의 문학 = 21
1) 미학과 예술학의 체계화 = 21
2) 예술의 하위갈래로서의 문학 = 22
3. 문화로서의 문학 = 26
1) 문학 자율성의 위기 = 26
2) 문학의 새로운 정의 = 27
3) 문화로서의 문학의 성립 = 29
[보론] 문학의 발생, 기능, 효과와 문학관 = 31
Ⅱ. 문학이론의 정의와 범주
1. 문학연구 = 45
1) 몇 가지 용어들 = 45
2) 문학연구 긍정론과 부정론 = 45
3) 문학연구의 유형들 = 49
2. 예술로서의 문학연구 = 53
1) 예술학 = 53
2) 문예학 = 54
3. 문화로서의 문학연구 = 57
1) 문화의 정의 = 57
2) 문화연구 = 58
3) 문화로서의 문학연구 = 59
Ⅲ. 문학테스트의 예비적 접근
1. 몇 가지 용어들 = 67
1) 작품과 텍스트 = 67
2) 텍스트와 판본 = 68
2. 원본비평 = 70
1) 정의 = 70
2) 원본 텍스트의 불확정성 = 70
3) 원본 텍스트의 확정 문제 = 75
3. 실증주의 = 79
1) 발생 및 전개 = 79
2) 방법론적 특성 = 81
Ⅳ. 문학텍스트의 내적 구조와 내재적 접근
1. 언어와 언어기호 = 87
1) 일상적/문학적 언어의 용법 = 87
2) 언어기호와 언어학적 의사소통 = 95
2. 의미와 의미의 해석 = 103
1) 언어의 의미와 의미론 = 103
2) 의미의 해석과 문학해석학 = 106
Ⅴ. 문학텍스트의 외적 구조와 외재적 접근
1. 전기와 전기비평 = 117
1) 전기와 문학 = 117
2) 문학 전기 = 120
3) 전기비평 = 122
2. 심리와 심리주의 비평 = 127
1) 인간 심리와 문학 = 127
2) 심리주의 비평 = 129
3. 상부구조와 문학정신사 = 140
1) 사회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문학 = 140
2) 문학과 관념 = 141
3) 문학정신사 비평 = 142
4. 하부구조와 문학사회학 = 143
1) 자발론과 결정론 = 143
2) 문학사회학 = 144
5. 상호비판 : 선전선동론과 미학적 신비화 = 146
Ⅵ. 문학텍스트의 중층구조와 그 분석 방법론
1. 중층분석 방법론의 구입 = 151
2. 상징적 중층구조로서의 문학텍스트 = 154
1) 문학유기체론 = 154
2) 문학의 상징적 중층체계론 = 157
3. 문학 중층구조의 분석 = 160
1) 상징적 예술로서의 중층체계 = 160
2) 존재양식으로서의 중층체계 = 163
3) 미적 대상으로서의 중층체계 = 164
4. 하나의 가설 : 문학텍스트의 중층체계 = 168
찾아보기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