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부정경쟁방지법

부정경쟁방지법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윤선희 尹宣熙 김지영 金志榮, 저
서명 / 저자사항
부정경쟁방지법 / 윤선희, 김지영 공저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12  
형태사항
xvi, 397 p. ; 23 cm
ISBN
9788918086101
서지주기
참고문헌(p. 381-384)과 색인수록
000 00685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13772
005 20120730171817
007 ta
008 120730s2012 ggk b 001c kor
020 ▼a 9788918086101 ▼g 93360
035 ▼a (KERIS)BIB000012835943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43.519072 ▼2 22
085 ▼a 343.53072 ▼2 DDCK
090 ▼a 343.53072 ▼b 2012z8
100 1 ▼a 윤선희 ▼g 尹宣熙 ▼0 AUTH(211009)67511
245 1 0 ▼a 부정경쟁방지법 / ▼d 윤선희, ▼e 김지영 공저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12
300 ▼a xvi, 397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81-384)과 색인수록
700 1 ▼a 김지영 ▼g 金志榮, ▼e▼0 AUTH(211009)101743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3.53072 2012z8 등록번호 11167126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보다 큰 틀의 부정경쟁방지 법리의 전개를 위하여, 그간의 부정경쟁방지 법리를 현행법에 중심을 두면서 정리하고, 나아가 새로운 틀의 정립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표지 보호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틀을 넘어 부정경쟁방지법이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도록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지적재산권 분야는 산업재산권뿐만 아니라 저작권 분야에서 그 보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 가운데 영역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그 경계를 어떤 식으로 획정하는가에 대한 논의 역시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 속에서 새로운 지적재산권법 체계의 정립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부정경쟁방지 법리는 기존의 틀 속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본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일조하고자 한다.

외국에서의 오랜 유학 생활과 강의활동을 마치고 한국에 들어왔던 1990년대 초반, 한국의 지적재산권 분야는 말 그대로 걸음마 단계였다. 지적재산권법을 정규과목으로 개설한 대학도 많지 않은 상태였으며, 관련 서적 역시 변리사 시험을 위한 수험서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지적재산이 갖는 사회적·경제적 가치가 상승하면서, 많은 분야에서 지적재산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법률은 지적재산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끊임없이 개정되고 있으며, 이를 연구하는 학문 역시 독자적인 한 영역으로 확고히 자리잡게 되었다.

저자는 국내에 영업비밀 보호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에 『영업비밀개설』이란 책을 출간한 바 있으며, 부정경쟁방지법에 그 도입 여부를 검토하던 1990년대 초반부터 이미 부정경쟁방지법에 관한 원고를 준비하여 왔다.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시장 수요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에서 차일피일 출판을 미루다가 올해에 출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동안 다른 지적재산권 분야와 같이 부정경쟁행위를 규율하는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에 관한 법률 역시 발전을 거듭해 왔다. 상거래 질서의 유지를 목표로 하던 법률의 목적은 건전한 거래질서의 유지로 그 목적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영업비밀에 관한 규정이나 인터넷 도메인 이름과 같이 새로운 영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다만 부정경쟁방지법에 대한 현재의 논의는 제한적이며, 상표권 등록을 받지 않은 표지 등을 보호함으로써 상표법등을 보충하는 역할에 머물고 있다. 그간 부정경쟁행위에 대한 일반조항을 도입하자는 논의도 있었으나, 여전히 한정적으로 열거한 몇 개의 부정경쟁행위에 규율하고자 하는 행위를 부정경쟁행위라고 평가하고 추가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면에서 어떤 행위를 부정경쟁행위로 평가하고 이를 규율할 것인가 하는 논의는 선택적이며, 부정경쟁행위에 관한 법리의 발전은 제한되고 있다.

본서는 보다 큰 틀의 부정경쟁방지 법리의 전개를 위하여, 그간의 부정경쟁방지 법리를 현행법에 중심을 두면서 정리하고, 나아가 새로운 틀의 정립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표지 보호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틀을 넘어 부정경쟁방지법이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도록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현재 지적재산권 분야는 산업재산권뿐만 아니라 저작권 분야에서 그 보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 가운데 영역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그 경계를 어떤 식으로 획정하는가에 대한 논의 역시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 속에서 새로운 지적재산권법 체계의 정립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부정경쟁방지 법리는 기존의 틀 속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본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일조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윤선희(지은이)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일본 東京大學 大學院 法學政治學硏究科 客員敎授, 일본 大阪大學,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무대학원,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법과대학, 특허청 국제특허연수원 등 강사 및 상지대학교 법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역임 (사)한국중재학회 회장, (사)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회장, (사)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회장, (사)한국지식재산학회 회장, (사)지식재산포럼 회장, (사)문화콘텐츠와 법연구회 회장, 국회입법지원위원 역임 일본특허청 특허제도연구회 위원, 특허법․실용신안법․상표법․의장법 개정위원, 저작권법 개정위원, 대한상사중재원 국제중재인 및 중재인, 산업재산권 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인터넷분쟁조정위원회 조정위원, 사법시험․군법무관시험․행정고시․입법고시 위원, 변리사․변호사․5급 공무원 특채 시험위원,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보호위원회 전문분야위원장, 국무총리 산업기술보호위원회 민간위원 등 역임 [주요저서] ․대조식 공업소유권법령집(편저), 법경출판사(1986) ․무체재산권법 개설(역저), 법경출판사(1991) ․영업비밀개설(저), 법경출판사(1991) ․주해 특허법(공역), 한빛지적소유권센터(1994) ․지적소유권법(공저), 한빛지적소유권센터(1996) ․국제계약법 이론과 실무(저), 법률출판사(1997) ․특허법(공역), 법문사(2001) ․산업재산권법원론(저), 법문사(2002) ․신특허법론(공저), 법영사(2005) ․로스쿨 지적재산권법(공저), 법문사(2010) ․부정경쟁방지법(공저), 법문사(2012) ․기술이전계약론(공저), 법문사(2013) ․로스쿨 특허법 제2판(저), 세창출판사(2015) ․디자인보호법의 이해(저), 박영사(2018) ․영업비밀보호법(제3판)(공저), 법문사(2019) ․특허법 제7판(저), 법문사(2023) ․지적재산권법의 이해(저), 세창출판사(2020) ․상표법 제6판(저), 법문사(2021) ․특허의 이해 제5판(저), 법문사(2022) ․상표법의 이해(공저), 도서출판 자운(2023) ․디자인법의 이해(공저), 도서출판 자운(2023)

김지영(지은이)

서울대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게이오대학교(慶應義塾) 법학부 방문연구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선임연구원, 광운대학교 법과대학 출강 현, 한국상표디자인협회 사무국장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부정경쟁방지법 총론 = 1
 제1절 서설 = 1
 제2절 부정경쟁행위의 의의 3
  Ⅰ. 부정경쟁행위의 개념 = 3
  Ⅱ. 부정경쟁 개념의 형성 = 8
  Ⅲ. 부정경쟁의 유형 = 27
 제3절 부정경쟁방지법의 성립과 전개 = 32
  Ⅰ. 부정경쟁방지 관련 법률의 성립과 전개 = 32
  Ⅱ.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의 성립과 전개 = 38
 제4절 부정경쟁방지법의 목적과 보호법익론 = 49
  Ⅰ. 보호법익론 = 49
  Ⅱ. 우리 부정경쟁방지법의 목적 = 55
 제5절 타법과의 관계 = 56
  Ⅰ. 불법행위법과의 관계 = 57
  Ⅱ. 상법과의 관계 = 59
  Ⅲ. 산업재산권법과의 관계 = 61
  Ⅳ.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 = 64
  Ⅴ. 표시ㆍ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 = 65
  Ⅵ. 형법과의 관계 = 66
  Ⅶ. 저작권법과의 관계 = 67
제2장 제2조 제1호 소정의 부정경쟁행위 = 68
 제1절 상품주체혼동야기행위 = 69
  Ⅰ. 의의 = 69
  Ⅱ. 요건 = 70
 제2절 영업주체혼돈행위 = 120
  Ⅰ. 의의 = 120
  Ⅱ. 요건 = 121
 제3절 저명표시의 부정사용행위 = 133
  Ⅰ. 의의 = 133
  Ⅱ. 요건 = 134
 제4절 원산지오인유발행위 = 144
  Ⅰ. 의의 = 144
  Ⅱ. 요건 = 145
 제5절 생산지등 오인유발행위 = 152
  Ⅰ. 의의 = 152
  Ⅱ. 요건 = 153
 제6절 상품의 품질ㆍ내용ㆍ수량의 오인유발행위 = 157
  Ⅰ. 의의 = 157
  Ⅱ. 요건 = 157
 제7절 상표권자의 동의 없는 대리인의 상표사용행위 = 165
  Ⅰ. 의의 = 165
  Ⅱ. 요건 = 167
 제8절 정당한 권한 없는 자의 도메인 이름 선점행위 = 173
  Ⅰ. 의의 = 173
  Ⅱ. 요건 = 176
 제9절 타인이 제작한 상품의 형태를 모방한 상품의 사용행위 = 182
  Ⅰ. 의의 = 182
  Ⅱ. 요건 = 185
제3장 제2조 제2호ㆍ제3호 소정의 영업비밀 = 194
 제1절 영업비밀 보호제도 일반 = 194
  Ⅰ. 영업비밀의 보호와 입법 배경 = 194
  Ⅱ.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외국의 입법례 = 197
  Ⅲ. 영업비밀 보호제도의 특성(측허제도와의 비교) = 224
 제2절 영업비밀의 개념 = 229
  Ⅰ. 영업비밀 개념의 의의 = 229
  Ⅱ. 영업비밀의 요건 = 236
 제3절 영업비밀 침해행위 = 257
  Ⅰ. 영업비밀의 침해 = 257
  Ⅱ. 부정경쟁방지법상의 침해 = 264
제4장 부정경쟁행위의 금지 = 287
 제1절 국기ㆍ국장 등의 사용 금지 = 288
  Ⅰ. 의의 = 288
  Ⅱ. 요건 = 289
  Ⅲ. 금지위반의 효과 = 293
 제2절 지리적 표시의 사용금지 = 294
  Ⅰ. 의의 = 294
  Ⅱ. 지리적 표시 보호규정 = 299
 제3절 민사적 구제방법 = 303
  Ⅰ. 금지청구권 = 304
  Ⅱ. 손해배상청구권 = 313
  Ⅲ. 신용회복조치청구권 = 321
 제4절 형사적 구제방법 = 325
 제5절 행정적 구제 방법 = 326
  Ⅰ. 부정경쟁행위의 조사 = 326
  Ⅱ. 위반행위의 시정권고 = 329
제5장 영업비밀의 보호 = 332
 제1절 민사적 구제방법 = 332
  Ⅰ. 의의 = 332
  Ⅱ. 손해배상 청구 = 345
  Ⅲ.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신용회복 청구 = 360
  Ⅳ. 비밀유지명령 = 362
  Ⅴ. 기타 = 368
 제2절 형사적 구제방법 = 369
  Ⅰ.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형사벌의 의의 = 369
  Ⅱ. 영업비및보호법 위반죄 = 371
참고문헌 = 381
판례색인 = 385
사항색인 = 389

관련분야 신착자료

지평. 기업·금융소송그룹/금융규제팀 (2023)
이준봉 (2022)
송상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