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3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713332 | |
005 | 20120828155002 | |
007 | ta | |
008 | 120726s201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9565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747573 | |
040 | ▼a 242002 ▼c 242002 ▼d 242002 ▼d 242002 ▼d 211009 | |
082 | 0 0 | ▼a 150 ▼2 22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12z4 | |
100 | 1 | ▼a Baird, Abigail A. ▼0 AUTH(211009)72625 |
245 | 2 0 | ▼a (재미있는) 심리학 이야기 / ▼d Abigail A. Baird 지음 ; ▼e 김은주 [외] 옮김 |
246 | 1 9 | ▼a Think psychology ▼g (2nd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 |
300 | ▼a xii, 346 p., 접지 [1]장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7 cm | |
500 | ▼a 공역자: 이태선, 이호선, 정명숙, 조규판, 천성문 | |
504 | ▼a 참고문헌(p. 319-337)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ogy ▼x Practice |
650 | 0 | ▼a Psychology ▼x Research ▼x Methodology |
700 | 1 | ▼a 김은주, ▼e 역 ▼0 AUTH(211009)29818 |
700 | 1 | ▼a 이태선, ▼e 역 ▼0 AUTH(211009)46328 |
700 | 1 | ▼a 이호선, ▼e 역 ▼0 AUTH(211009)109949 |
700 | 1 | ▼a 정명숙, ▼e 역 ▼0 AUTH(211009)87150 |
700 | 1 | ▼a 조규판, ▼e 역 ▼0 AUTH(211009)19793 |
700 | 1 | ▼a 천성문, ▼e 역 ▼0 AUTH(211009)7458 |
900 | 1 0 | ▼a 베어드, 애비게일,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2z4 | 등록번호 1116715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0 2012z4 | 등록번호 1212208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 2012z4 | 등록번호 1116715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0 2012z4 | 등록번호 1212208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애비게일 베어드(지은이)
배사대학 심리학 교수다. 그녀는 배사대학에서 학사학위를, 하버드대 학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에 이어서 다 트머스대학의 인지신경과학 센터에서 박사후 과정을 받았다. 그녀의 수많은 글과 발표들은 청소년 뇌 발달, 정서의 인지조절, 청소년 법규, 마음과 뇌와 행동에 있어서 인종적 편견에대한징후들과같은주제를다루고있다.그녀는자 신의 연구로 하버드대학교와 정신병리학 연구를 위한 사회 단체에서 상을 받았으며, 2008년 심리과학 연구단체(Asso- 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에서는 그녀를 심리과학 분 야의‘떠오르는 별’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한 그녀는 행동 신경과학 국제 연구단체와 법과 행동연구를 위한 그루터 협 회(Gruter Institute for Law and Behavioral Research)를 포함해 서 여러 과학단체에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며, 강의에 있어서 탁월하다고 꾸준히 인정받고 있다. 2000년에 하버 드대학교에서 조지 거설스 강의 상(George Goethals Teaching Prize)을 받았고, 2004년에 다트머스대학에서 실시한 티칭 펠로우십(Teaching Fellowship)에서 1962 우수반(Class of 1962 Excellence) 상을 받았다. 그녀의 전문적인 업적으로 심리과 학 연구단체의 총무뿐만 아니라, 오더 오브 오메가 내셔널 아너 소사이어티(Order of Omega National Honor Society)의 명예교수,뉴욕주사법연수원초대교수그리고청소년사 법제도 캠페인의 자문위원도 맡고 있다.
천성문(옮긴이)
영남대학교 교육학박사(상담심리 전공) Stanford University 연구 및 방문교수 현재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김은주(옮긴이)
부산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경성대학교 교육학 석·박사 2012년 현재 부흥고등학교 교사 경성대학교 외래교수
이태선(옮긴이)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졸업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 석사 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분자신경뇌영상연구소 연구원, 장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외래교수 2012년 현재 ㈜대한항공 전임강사
이호선(옮긴이)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신학 석사 연세대학교 상담학 박사 2012년 현재 한국에듀원격평생교육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정명숙(옮긴이)
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심리학부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석사 호주 모나쉬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
조규판(옮긴이)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교육심리 전공) 미국 앨라배마대학교 박사(교육심리측정 전공) 현재 동아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목차
목차 01 개관 = 2 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 4 왜 심리학을 공부하는가? = 4 심리학과 과학적 연구방법 = 4 대중심리학 = 4 경험주의의 중요성 = 4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 6 심리학의 역사 = 6 과학 이전의 심리학 = 6 과학적 심리학의 토대 = 7 분석수준 = 9 천성 대 육성 = 10 천성-육성 논쟁의 역사 = 10 심리학의 유형 = 11 심리학 기관 = 11 심리학 분야의 직업 = 12 02 연구방법 = 16 심리 연구방법 = 18 과학적 방법은 왜 필요할까? = 18 경험주의 = 18 영리한 한스 이야기 = 19 연구전략의 유형 = 20 연구설계 : 실험법 = 20 연구설계 : 상관연구 = 21 연구설계 : 기술연구 = 21 연구장소 = 23 자료수집방법 = 23 심리학에서의 통계방법 = 24 기술통계 = 24 추리통계 = 25 심리학 연구에서 편향의 최소화 = 26 오류 = 26 편향 = 26 심리학 연구에서 윤리적 문제 = 29 인간대상의 연구 = 29 동물대상의 연구 = 29 윤리적인 연구인지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 29 읽을거리 : 사진 한 장의 가치 = 32 사진으로 고통 완화 = 35 03 인간의 뇌 = 36 맥락에서의 뇌 = 38 왜 뇌를 공부하는가? = 38 뇌와 신경계 = 38 뉴런 :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 38 뉴런의 구조 = 38 뉴런 사이의 소통 = 39 중추신경계 : 척수 = 42 척수가 하는 일 = 42 척수의 손상 = 42 중추 신경계 : 인간의 뇌 = 43 뇌간과 피질하 구조물 = 43 변연계 = 44 대뇌 피질 = 46 분리뇌 = 47 읽을거리 : 뇌에 대한 잘못된 상식 = 52 04 유전과 진화 = 54 자연선택 = 56 유전 기제 = 56 염색체, 유전자, DNA = 56 유성생식 = 58 유전형질 : 선천성 VS, 후천성 논란 = 59 단일유전 특질 = 59 다원유전 특질 = 59 자웅선택 = 59 선별사육 = 60 행동유전학 = 60 분자유전학 = 61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 = 61 진화심리학 = 61 획득형질 : 진화 초기 이론 = 62 다윈과 선별사육 = 62 환경변화 = 62 인간 진화 : 두발보행, 대뇌화, 언어 = 63 종 특유 행동 = 63 인간 행동 = 63 짝짓기 패턴 = 64 차별적 부모투자이론 = 64 일부다처제 : 한 남자와 다수의 여자 = 64 일처다부제 : 한 여자와 다수의 남자 = 64 일부일처제 : 한 남자와 한 여자 = 65 다처다부제 : 다수의 남성과 다수의 여성 = 65 인간 짝짓기 패턴 = 65 이론상의 오류 = 65 05 감각과 지각 = 68 감각 = 70 감각 역치 = 70 심리물리학 = 70 감각 처리 과정 = 71 시각 = 71 시각 정보 처리 = 72 색 = 73 듣기(청각) = 74 냄새(후각) = 75 맛(미각) = 76 몸(체성)과 피부 감각 = 77 지각 = 78 주의와 지각 = 79 비주의적인 자극과 돌출 자극 = 79 전 주의 과정 = 79 멀티태스킹 = 79 지각 이론 = 80 하향처리 = 80 게슈탈트 원리 = 81 대상 인지 = 82 지각적 통합 = 82 지각적 순응 = 83 공감각 = 83 06 의식 = 86 의식과 정보과정 = 88 의식의 수준 = 88 비의식, 전의식 그리고 무의식 정보 = 89 의식의 생존 이점 = 89 수면 = 90 생체리듬 = 90 수면 단계 = 91 자극 각성과 학습 = 93 수면의 목적 = 93 잠의 필요량과 패턴 = 93 수면박탈 = 93 수면장애 = 94 꿈 = 95 꿈 내용 = 95 꿈의 목적 = 96 최면 = 97 감수성 = 97 회상 = 98 치료 = 98 통증완화 = 98 명상 = 99 07 학습 = 102 학습의 원리 = 104 행동주의 = 104 주요 용어들 = 104 학습의 생물학적 경향성 = 105 고전적 조건화 = 106 고전적 조건화 유형 = 106 고전적 조건화와 심리적 반응 = 108 조작적 조건화 = 108 조작적 행동 = 108 강화 원칙 = 108 처벌과 조형 = 110 조작적 조건화의 적용 = 111 관찰학습 = 111 관찰학습의 요소 = 111 반두라의 실험 = 112 관찰학습의 적용 = 112 학습에 기반한 행동 = 112 뇌 학습 = 113 조기교육 = 113 장기 증강(LTP) = 113 학습에서의 통합 = 114 인지도 = 114 기술 학습 및 기초 신경절 = 115 조건화 = 115 다른 신경 기제 = 115 08 기억 = 118 기억의 기능 = 120 어떻게 기억이 조직되는가? = 120 기억의 유형 = 120 정보 처리 : 인간 기억의 중추 = 120 감각 기억 = 121 감각 장치 = 121 감각 기억과 뇌 = 121 형상 기억과 음향 기억 = 121 작업 기억 = 122 작업 기억으로의 부호화 = 122 작업 기억의 저장고 = 123 작업 기억으로부터의 인출 = 123 망각 = 124 장기 기억 = 125 장기 기억의 조직화 = 125 장기 기억으로의 부호화 = 126 장기 기억에의 저장 = 127 장기 기억에서의 인출 = 128 인출 실패 : 망각 = 128 기억의 고장 = 129 정서, 스트레스, 기억 = 129 기억 상실 = 129 09 인지와 지능 = 134 인지심리학 = 136 정신과정 = 136 지능이론 = 136 지능의 측정 = 137 일반지능 = 137 천성인가 또는 육성인가? = 138 여러 유형의 지능 = 138 신경학적 지능 측정 = 139 문제해결과 추론 = 140 개념 = 140 문제해결 = 141 추론 = 142 추론의 오류 = 142 의사결정, 판단, 집행통제 = 144 의사결정 = 144 주의 = 145 주의의 초점 = 145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자극 = 146 특징통합 = 147 언어와 언어인지 = 147 다중언어 = 147 언어산출 = 147 언어이해 = 148 언어와 사고 = 148 시각인지 = 149 10 인간발달 Ⅰ : 신체, 인지 및 언어의 발달 = 152 발달심리학은 어떤 분야인가? = 154 연구방법 = 154 신체발달 = 154 태내발달 = 154 유아기와 아동기 = 155 청소년기 = 156 성인 초기 = 156 성인 중기 = 157 성인 후기 = 157 인지발달 = 158 유아기와 아동기 = 158 청소년기 = 161 성인기 = 161 언어발달 = 162 인간 언어의 보편적 요소 = 162 언어발달과정 = 162 언어습득 이론들 = 163 11 성과 성별 = 166 성과 성별 = 168 성별의 본질 = 168 일차성징 = 168 이차성징 = 168 호르몬 = 169 성별의 육성 = 170 성별 전형화 = 170 양성성 = 170 성별 인식 장애 = 170 유년기의 성별 = 171 성별 이론 = 171 사회에서의 성역할 = 172 고정관념과 성차별주의 = 172 성별 간 유사점과 차이점 = 173 육체적인 차이와 심리적인 취약성 = 173 공격성과 힘 = 174 사회적 유대감 = 174 성적 열망 = 174 성적 지향 = 175 유전학의 역할 = 175 뇌의 구조와 성적 지향 = 176 12 인간발달 Ⅱ : 사회적 발달 = 180 애착 = 182 애착의 기원 = 182 애착의 차이 = 183 전 생애에 걸친 관계 = 183 놀이의 역할 = 183 청소년기 = 185 성인출현기 = 187 성인기 = 188 노화 = 189 도덕성 발달 = 191 도덕적 행위 = 192 13 감정과 동기 = 196 감정에 대한 이론들 = 198 감정의 본질 = 198 보편적 가설 = 198 제임스-랑게 이론 = 198 캐논-바드 이론 = 198 샤흐터와 싱어의 2요인 이론 = 199 제이존크와 단순 노출효과 = 199 인지적인 평가이론 = 199 플루칙의 주요한 감정들 모형 = 199 감정과 신체 = 199 뇌구조 = 199 자율 신경계 = 200 특정한 감정을 비교하기 = 201 거짓말 탐지 = 201 비언어적 감정 표현 = 201 얼굴 표정과 눈 맞춤 = 201 성별의 차이 = 202 문화 = 202 안면피드백 가설과 얼굴 표정 = 202 기만적인 표현 = 202 경험된 감정 = 203 인지와 감정 = 203 유인가와 각성 = 203 두려움 = 203 분노 = 204 행복감 = 204 동기, 추동, 보상물에 대한 견해 = 204 동기 = 204 동기에 관한 이론 = 205 보상물 = 206 최적의 각성 = 206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설 = 207 배고픔 = 207 배고픔의 생리학 = 207 성적인 동기 = 207 일치성 = 207 거세 = 208 수면 동기 = 208 우리는 왜 잠을 자는가? = 208 개인별 다양성 = 208 소속감 = 208 직장에서의 동기 = 209 직업 만족 = 209 형평성 이론과 기대이론 = 209 14 사회심리학 = 212 사회심리학의 기초 = 214 귀인 이론 = 214 사회적 실제 구축하기 = 215 사회적 인지 = 215 사회적 단서 인식 : 얼굴 인식 = 215 사회적 범주화 = 216 정신화 = 216 사회적 영향력 = 216 쾌락 동기, 승인 동기, 정확성 동기 = 217 전파 행동 = 217 동조 = 218 복종 = 219 순응 = 220 태도와 행동 = 221 설득 = 222 집단 영향력 = 222 사회관계 = 223 사회성의 정서적 기초 = 223 편견 = 223 공격성 = 225 갈등 = 226 이타주의와 친사회적 행동 = 227 읽을거리 : 왜 평범한 사람들이 포로들을 고문하는가 = 230 15 건강과 스트레스 = 232 정신과 신체의 연결 = 234 스테레스와 이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234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요인 = 234 스트레스 반응 체계 = 235 스트레스가 쌓이는 일상 = 236 스트레스와 심장 = 237 스트레스와 면역체계 = 238 스트레스와 신체형 장애 = 239 치료법 찾기 = 240 건강을 향상시키기 = 240 스트레스 다루기 = 240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 = 242 스트레스 관리 = 244 16 성격과 개인차 = 250 성격의 개요 = 252 성격연구의 전략 = 252 성격특성 = 252 특성이론 = 253 특성의 측정 = 254 성격의 유전적 영향 = 255 특성관점의 평가 = 255 정신역학적 관점 = 255 프로이트 = 255 후기 프로이트 정신역학 이론가들 = 257 무의식의 측정 = 258 정신역동 이론의 평가 = 258 인본주의적 접근 = 259 로저스와 자아개념 = 259 매슬로우와 자아실현 = 259 맥아담스와 성격분석적 전기 = 260 인본주의 접근의 평가 = 260 사회인지적 관점 = 261 로터와 개인적 통제 = 261 반두라, 상호결정론, 자기효능감 = 262 긍정적 생각의 힘 = 263 성격의 비교문화 간 차이 = 263 사회인지적 관점의 평가 = 264 읽을거리 : 페이스북 프로필, 자아이상 아닌 실제 성격 반영 = 268 17 심리 장애 = 272 심리 장애 = 274 심리 장애의 진단 = 274 심리 장애 분류 = 275 문화적 차이 = 276 심리학적인 장애의 역사적 관점 = 277 심리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 = 277 뇌손상 = 277 원인의 복합성 = 277 성별 차이 = 278 불안 장애 = 278 범불안 장애(GAD) = 278 공포증 = 279 공황 장애 = 279 강박 장애(OCD) = 27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280 불안 장애 설명하기 = 280 기분 장애 = 280 우울 장애 = 280 양극성 장애 = 281 기분 장애를 설명하고 이해하기 = 281 정신분열증 = 283 정신분열증 설명하기 = 283 성격장애들 = 285 기이한/괴상한 성격장애 = 285 극적인/변덕스러운 성격장애 = 285 불안한/두려움을 느끼는 성격장애 = 286 해리장애 = 286 신체형 장애 = 287 아동기 장애물 = 28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287 자폐증 = 287 아스퍼거 장애 = 287 18 심리 치료 = 290 임상심리학과 정신건강 시스템 = 292 정신 건강 제도의 역사 = 292 정신건강제도의 구조 = 292 예방의학과 정신건강 = 293 생물학적 치료 : 생물의학적 치료 = 293 항정신성 약물 = 294 항우울제 = 294 항불안제 = 295 기분안정제 = 295 전기충격요법 = 295 외과수술 = 296 정신역동과 인간성 심리치료 = 296 정신역동적 심리치료 = 296 인본주의 치료법 = 297 인지 및 행동적 심리치료 = 299 인지 치료 = 299 행동요법 = 301 정신치료 평가하기 = 302 정신치료의 효험 = 303 효과적인 정신치료의 요소들 = 304 정신치료 대 약물치료 = 304 용어해설 = 307 참고문헌 = 319 찾아보기 =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