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Unit 1. 간호의 기본개념
1. 보건의료 전달체계와 간호실무 = 3
보건의료 산업과 간호전문직 = 4
건강, 안녕, 건강증진 = 5
건강관리 전달체계의 영향 = 5
간호사의 역할 = 8
간호관리 전달의 모델 = 9
지역사회기반ㆍ지역사회중심ㆍ공중보건 간호 = 9
간호사의 역할 확대 = 10
2. 지역사회중심의 간호실무 = 13
지역사회중심의 치료 = 14
가정간호제도 = 14
기타 지역사회중심의 건강관리 환경들 = 18
3. 비판적 사고, 윤리적 의사결정 및 간호과정 = 21
비판적 사고 = 22
윤리적 간호 = 23
간호과정 = 28
4. 건강교육과 건강증진 = 37
오늘날의 건강교육 = 38
교육과 학습의 특성 = 39
환자교육에서의 간호과정 = 43
건강증진 = 45
일생을 통한 건강증진 = 47
간호수행 = 49
5. 건강사정과 영양사정 = 51
건강력 및 신체사정 시의 고려사항 = 52
건강력 = 53
신체사정 = 60
영양사정 = 63
가정과 지역사회에서의 사정 = 68
Unit 2. 간호실무에서 생물물리학적ㆍ심리사회적 개념
6. 항상성, 스트레스, 적응 = 73
핵심적인 개념 = 74
스트레스의 개요 = 75
세포 수준의 스트레스 = 80
스트레스 관리 : 간호중재 = 86
7. 질병과 관련된 개인과 가족에 대한 고려사항 = 91
건강과 건강관리의 충체적 접근 = 92
뇌와 육체 및 정서적 건강 = 92
정신건강 및 정서적 고통 = 93
가족 건강과 고통 = 97
상실과 애도 = 99
죽음과 임종과정 = 99
영성과 영적 고통 = 99
8. 횡문화적 간호 관점 = 103
문화의 개념 = 104
횡문화적 간호 = 105
문화적으로 중재된 특질들 = 107
질병의 원인들 = 109
민간요법사 = 110
문화적 사정 = 111
문화에 대한 추가적 고려 :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 111
건강 분균형 = 111
횡문화적 간호의 미래 = 111
9. 간호학의 유전학 및 유전체학 조망 = 113
간호실무와 유전체학 = 114
유전학 및 유전체학 지식의 통합 = 115
유전 및 유전체공학의 실무 적용 = 122
맞춤형 유전체 치료 = 126
간호실무에서 유전학 및 유전체학의 적용 = 127
윤리적 이슈 = 134
10. 만성질병과 장애 = 137
만성에 대한 개요 = 138
만성상태 환자의 간호 = 142
장애에 대한 고찰 = 144
건강관리를 이용할 권리 = 149
장애가 있는 환자의 간호 = 152
11. 재활의 원리와 실제 = 157
장애를 가진 미국인들을 위한 법령 = 158
장애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 = 159
재활팀 = 160
재활의 전문적 영역들 = 160
기능력의 사정 = 161
장애와 성문제들 = 183
피로 = 184
보완과 대체 치료법들 = 184
가정과 지역사회 간호의 증진 = 184
12. 노인의 건강간호 = 189
노화의 개요 = 190
노화와 관련된 변화 = 191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 = 202
노인증후군 = 208
노인의 건강간호의 다른 측면 = 211
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윤리적이고 법적인 문제 = 213
Unit 3. 환자관리의 개념과 도전
13. 통증관리 = 220
통증의 사정 및 관리의 중요성 = 220
통증의 종류 = 221
통증의 해로운 영향 = 221
통증의 병태생리 = 224
통증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 226
통증환자의 사정 및 관리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 231
통증관리 전략 = 231
통증관리 전략 평가 = 244
14. 수분 및 전해질: 균형과 장애 = 248
기본 개념 = 251
체액량 장애 = 252
과혈량증 = 258
전해질 분균형 = 261
나트륨 불균형 = 263
칼륨 불균형 = 268
칼슘 불균형 = 272
마그네슘 불균형 = 276
인 불균형 = 278
염소 불균형 = 280
산염기 장애 = 281
15. 쇼크와 다발성 장기부전 증후군 = 299
쇼크의 개요 = 300
쇼크의 단계 = 302
쇼크의 일반적 관리 전략 = 307
저혈량성 쇼크 = 310
심인성 쇼크 = 312
순환성 쇼크 = 315
다발성 장기부전 증후군 = 320
가정과 지역사회 간호의 증진 = 321
16. 종양학: 암 환자 간호관리 = 323
종양의 역학 = 324
발암과정의 병태생리 = 324
암 검출과 예방 = 329
암 진단 = 330
암 병기와 등급 = 331
암 치료 = 332
암 환자 간호 = 351
암의 생존 = 371
17. 임종간호 = 375
간호와 임종간호 = 376
임종간호의 현장들 = 379
말기환자들의 간호 = 382
죽음이 가까운 환자의 간호 = 394
죽음과 임종에 대처하기 : 전문적인 간호제공자 문제들 = 398
Unit 4. 수술주기 개념과 간호
18. 수술 전 간호 = 403
수술주기 간호 = 404
기술 및 마취의 발달 = 404
외과적 분류 = 404
입원 전 검사 = 404
수술주기 동안의 특별한 고려사항 = 404
사전동의 = 407
수술 전 사정 = 408
일반적인 수술 전 간호중재 = 413
수술 직전 간호중재 = 417
기대되는 환자결과 = 419
19. 수술 중 간호관리 = 421
수술팀 = 422
수술실 환경 = 425
수술 과정 = 427
수술 중에 발생 가능한 합병증 = 433
20. 수술 후 간호 = 441
마취회복실에서의 환자 간호 = 442
수술 후 입원 환자의 간호 = 448
Unit 5. 가스교환과 흐흡기능
21. 호흡기능 사정 = 465
구조와 기능 = 466
사정 = 473
진단적 검사 = 485
22. 상기도장애 환자의 간호 = 495
상기도감염 = 496
비염 = 496
바이러스성 비염(감기) = 498
비부비동염 = 499
인두염 = 504
만성 인두염 = 506
편도염과 아데노이드염 = 506
편도주위 농양 = 508
후두염 = 509
상기도의 폐색 및 손상 = 512
배출혈 = 513
비폐색 = 514
비골절 = 515
후두폐색 = 515
후두암 = 517
23. 흉곽ㆍ하부호흡기계장애 환자의 간호 = 529
무기폐 = 530
호흡기계 감염 = 532
폐렴 = 532
흡인 = 542
중증 급성 호흡증후군 = 544
폐결핵 = 544
폐농양 = 549
흉막질환 = 550
흉막염 = 551
흉막삼출 = 551
농흉 = 552
폐부종 = 553
급성 호흡부전 = 554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 554
폐동맥고혈압 = 557
폐인성 심질환 = 558
폐색전증 = 559
유육종증 = 564
직업성폐질환 : 진폐증 = 565
흉부종양 = 566
폐암(기관지성 악성 종양) = 566
종격동 종양 = 569
흉부외상 = 570
무딘외상 = 570
천공성 외상 : 총상과 자상 = 573
기흉 = 573
심장압전 = 575
피하기종 = 575
24. 만성 폐질환 환자의 간호 = 579
만성 폐쇄성 폐질환 = 580
기관지확장증 = 591
천식 = 596
천식 발작 = 604
낭성 섬유증 = 606
25. 호흡기계 간호 = 609
비침습적 요법 = 610
보상성 폐활량계 = 615
미니 네뷸라이저 요법 = 615
간헐적양압호흡 = 615
흉부 물리요법 = 616
기도관리 = 620
상기도폐색의 응급과리 = 620
기관내삽관 = 620
기관절개 = 622
기계적 환기 = 625
흉부수술을 받는 환자 = 637
수술 전 관리 = 637
수술 후 관리 = 639
Unit 6. 심혈관, 순환 및 혈액학적 기능
26. 심혈관계기능 사정 = 655
심장의 구조와 기능 = 656
심혈관계 사정 = 661
진단적 검사 = 674
27. 부정맥과 전도장애 환자의 간호 = 689
부정맥 = 690
부속 장치와 관리 = 710
28.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간호 = 723
관상동맥질환 = 724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 724
협심증 = 730
급성 관상동맥증후군과 심근경색증 = 735
침습적 관상동맥 시술 = 742
수술 과정 : 관상동맥혈관재생 = 747
29. 구조성, 감염성, 염증성 심장질환 환자의 간호 = 763
판막질환 = 764
승모판 탈출증 = 764
승모판협착 = 765
대동맥판역류 = 766
대동맥판협착 = 767
판막성 심장질환의 간호관리 = 768
판막 복구와 대치술 = 768
판막대치술 = 770
간호관리 : 판막성형술과 대치술 = 771
중격결손 = 772
심근증 = 773
염증성 심장질환 = 779
염증성 심내막염 = 779
심근염 = 782
심낭염 = 783
30. 심장질환 합병증 환자의 간호 = 787
심장 혈류역학 = 788
심부전 = 789
만성 심부전 = 789
폐부종 = 802
기타 합병증 = 803
혈전색전증 = 804
심낭삼출과 심장압전 = 804
심정지 = 805
[volume. vol.2]----------
목차
Unit 8. 대사 및 내분비기능 = 1
39. 간질환환자의 사정과 간호 = 3
간의 사정 = 4
사정 = 6
진단 방법 = 7
간기능이상의 증상 = 7
황달 = 7
문맥고혈압 = 10
복수 = 10
식도정맥류 = 12
간성뇌병증과 혼수 = 18
간기능이상의 기타 증상 = 22
바이러스간염 = 23
A형간염 바이러스 = 23
B형간염 바이러스 = 26
C형간염 바이러스 = 28
D형간염 바이러스 = 29
E형간염 바이러스 = 29
G형간염 바이러스와 GB형간염 바이러스-C = 29
비바이러스간염 = 29
독성간염 = 30
약물관련간염 = 30
전격성 간부전 = 30
간경화 = 31
간암 = 34
원발성간암 = 34
전이성 간암 = 40
간이식 = 43
간농양 = 47
40. 담즙장애가 있는 환자의 사정과 치료 = 51
구조와 기능 = 52
담낭의 질환 = 53
담낭염 = 53
담석증 = 54
NURSING PROCESS : 담낭질환으로 수술을 받는 환자 = 60
췌장의 질환 = 63
급성췌장염 = 63
만성췌장염 = 67
췌장낭종 = 70
췌장암 = 71
췌장 두부의 종양 = 72
췌장 랑게르한스섬 종양 = 73
41. 당뇨환자의 사정과 간호 = 77
당뇨 = 78
당뇨의 급성합병증 = 102
저혈당 =102
당뇨병케톤산증 = 105
고혈당고삼투압성비케톤증후군 = 107
NURSING PROCESS : 당뇨병케톤산증 또는 고혈당고삼투압성비케톤증후군환자 = 108
당뇨의 장기합병증 = 110
대혈관합병증 = 110
미세혈관합병증 = 111
신장병 = 113
당뇨병신경병증 = 114
발 및 다리의 합병증 = 116
당뇨 관리의 특정 문제들 = 118
입원한 당뇨환자의 관리 = 118
42. 내분비장애 환자의 사정과 간호 = 125
내분비계의 사정 = 126
사정 = 128
진단검사 = 128
뇌하수체 = 129
병태생리 = 129
뇌하수체의 질환 = 131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 = 132
갑상샘 = 133
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 133
병태생리 = 134
사정과 진단소견 = 134
갑상샘질환 = 136
NURSING PROCESS : 갑상샘기능항진증환자 = 145
부갑상샘 = 151
부갑상샘질환 = 151
부신 = 155
부신질환 = 156
쿠싱증후군 = 160
NURSING PROCESS : 쿠싱증후군을 가진 환자 = 162
부신피질스테로이드 치료 = 165
Unit 9. 요로기능 = 169
43. 신장 및 요로기능의 사정 = 171
구조와 기능 = 172
신장과 요로계의 사정 = 177
진단 평가 = 181
44. 신장질환환자의 간호 = 189
신장장애에서의 수분 및 전해질불균형 = 190
신장질환 = 191
신경화증 = 192
원발성사구체질환 = 192
신장암 = 196
신부전 = 198
급성신부전 = 198
만성신부전(말기 신장질환) = 203
신장대치요법 = 209
투석 = 209
신장수술 = 222
신장수술을 받는 환자의 간호관리 = 222
신장이식 = 226
신장외상 = 220
45.배뇨장애환자의 간호 = 233
요로감염 = 234
하부요로감염 = 234
NURSING PROCESS : 하부요로감염 환자 = 238
성인 배뇨장애 = 240
요실금 = 240
요정체 = 244
신경인성방광 = 245
카테터삽입 = 246
요로결석과 신장결석증 = 249
NURSING PROCESS : 신장결석환자 = 251
비뇨생식기손상 = 254
요로종양 = 254
방광암 = 254
요로전환술 = 255
피부요로전환술 = 256
기타 요로전환술 = 260
NURSING PROCESS : 요로전환술 환자 = 260
Unit 10. 생식기계기능 = 265
46. 여성의 생리적과정의 사정과 간호 = 267
여성건강에서 간호사의 역할 = 268
여성생식기계 사정 = 268
사정 = 270
진단평가 = 279
여성의 생리적과정의 간호 = 284
월경 = 284
폐경전후기 = 285
폐경 = 285
월경장애 = 288
성교통증 = 292
피임 = 292
유산 = 299
불임 = 300
임신전 건강관리 = 303
자궁외임신 = 303
NURSING PROCESS : 자궁외임신 환자 = 304
47. 여성생식기질환 환자의 간호 = 309
외음부질염 = 310
칸디다증 = 310
세균성 질증 = 310
트리코모나스증 = 311
노인간호시 고려할 사항 = 311
NURSING PROCESS : 외음질감염 환자 = 311
인유두종바이러스 = 314
제2형 헤르페스감염 = 315
NURSING PROCESS : 음부포진 감염 환자 = 315
자궁경관내막염과 자궁경부염 = 317
골반감염(골반염질환) = 318
HIV감염과 AIDS = 319
구조적 결함 = 321
골반내기관 탈출 : 방광 헤르니아, 직장 헤르니아, 장 헤르니아 = 321
자궁탈출 = 323
양성장애 = 325
외음낭종 = 325
외음위축증 = 325
난소 낭종 = 326
자궁의 양성종양 : 섬유종(평활근종, 근종) = 326
자궁내막증 = 327
만성골반통증 = 329
선근증 = 329
자궁내막증식증 = 329
악성종양 = 320
자궁경부암 = 330
자궁내막암 = 332
외음부암 = 333
질암 = 335
나팔관 암 = 335
난소암 = 336
자궁절제술 = 338
NURSING PROCESS : 자궁절제술환자 = 338
48. 유방장애환자의 사정과 간호 = 345
유방사정 = 346
사정 = 346
진단평가 = 348
유두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 = 354
균열 = 354
유방감염 = 354
수유기 농양 = 354
유방의 양성상태 = 354
낭종 = 354
섬유선종 = 354
양성증식성 유방질환 = 354
다른 양성상태 = 355
유방의 악성상태 = 355
NURSING PROCESS : 유방암수술을 받는 환자들 = 356
유방재건술 = 369
남성 유방의 질병 = 370
남성유방암 = 370
49. 남성생식과정의 사정과 간호 = 373
남성생식기계의 사정 = 374
사정 = 375
진단평가 = 376
남성성기능장애 = 377
사정장애 = 384
남성비뇨생식기계 감염 = 386
전립샘 = 386
양성전립샘비대 = 387
전립샘암 = 389
전립샘수술 환자 = 395
NURSING PROCESS : 전립샘절제술환자 = 398
고환과 인접 구조들 = 402
부고환염 = 403
고환염전 = 403
고환암 = 404
음낭수종 = 406
정계정맥류 = 406
정관절제술 = 407
음경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 = 407
음경암 = 408
지속발기증 = 413
페로니병 = 413
요도협착 = 413
포경수술 = 413
Unit 11. 면역기능 = 413
50. 면역기능의 사정 = 415
면역계의 구조와 기능 = 416
최신 면역학 = 423
면역체계의 사정 = 424
진단 평가 = 428
51. 면역결핍환자의 간호관리 = 431
일차성 면역결핍 = 432
포식세포 기능이상 = 432
B세포 결핍 = 434
T세포 결핍 = 435
B세포와 T세포 복합결핍 = 437
보체계 결핍 = 438
이차성 면역결핍 = 439
면역결핍환자를 위한 간호관리 = 439
52. HIV 감염과 AIDS 환자의 간호 = 443
HIV 감염과 AIDS = 440
NURSING PROCESS : HIV/ADIS 환자 = 457
정서적ㆍ윤리적 문제 = 466
53. 알레르기환자의 사정과 간호 = 473
알레르기 사정 : 생리적개요 = 474
사정 = 476
진단평가 = 477
알레르기장애 = 481
아나필락시스 = 481
알레르기비염 = 483
NURSING PROCESS : 알레르기비염환자 = 487
접촉피부염 = 490
아토피피부염 = 490
약물피부염(약물반응) = 491
두드러기 및 혈관신경부종 = 491
유전성혈관부종 = 492
음식알레르기 = 492
라텍스알레르기 = 493
54. 류마티스환자의 사정과 간호 = 499
류마티스병 = 500
범발성 결합조직질환 = 505
퇴행성 관절질환 = 517
척추관절병증 = 518
류마티스병과 연관된 대사질환 및 내분비질환 = 523
섬유성 근통 = 521
감염성미생물과 관련되는 관절염 = 521
신생물, 신경혈관, 골, 관절외 질환 = 521
다양한 질환 = 522
Unit 12.통합기능 = 525
55. 통합기능 사정 = 527
해부학과 생리학 = 528
사정 = 531
진단 평가 = 540
56. 피부문제를 가진 환자의 간호 = 541
피부상태에 따른 피부간호 = 542
피부상태에 따른 상처간호 = 542
소양증 = 547
회음부 및 항문 주변의 소양증 = 548
분비성질환 = 549
화농성 한선염 = 549
지루피부염 = 549
여드름 = 550
감염성피부병 = 552
바이러스성 피부감염 = 554
곰방이(진균) 피부감염 = 556
기생충에 의한 피부감염증 = 557
접촉피부염 = 559
비감염성염증질환 = 560
박탈피부염 = 564
수포성질환 = 565
천포창 = 565
수포성 유사천포창 = 566
포진피부염 = 566
NURSING PROCESS : 수포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간호 = 566
독성표피괴사용해와 스티븐스-존슨증후군 = 568
NURSING PROCESS : 독성표피괴사용해나 스티븐스-존슨증후군 환자의 간호 = 570
궤양 = 571
피부종양 = 571
악성피부종양 = 572
기저세포암종 및 편평세포암종 = 572
NURSING PROCESS : 악성흑생종환자의 간호 = 576
전이성 피부종양 = 578
카포시육종 = 578
피부과 및 성형외과적 재건수술 = 578
상처 덮기 : 피부이식과 피판술 = 579
미용수술 = 580
피부병변에 대한 레이저치료 = 580
57. 화상환자의 간호 = 583
화상의 개관 = 584
NURSING PROCESS : 재활단계 동안의 환자 간호 = 610
외래 화상간호 = 614
Unit 13. 감각신경기능 = 617
58. 눈과 시각장애환자의 사정과 간호 = 619
눈의 사정 = 620
사정 = 623
진단적 평가 = 624
시력손상 = 626
저시력과 실명 = 626
녹내장 = 629
각막 문제들 = 637
원추각막 = 637
각막수술 = 637
굴절수술 = 638
망막장애 = 639
망막박리 = 639
망막혈관장애 = 641
노인황반변성 = 641
안와와 안구 = 643
안와외상 = 643
감염과 염증 상태 = 646
건안증후군 = 646
결막염 = 647
포도막염 = 649
안와연조직염 = 650
안와 및 안종양 = 650
눈꺼풀의 양성종양 = 650
결막의 양성종양 = 650
눈의 악성종양 = 650
눈거풀의 악성종양 = 651
결막의 악성종양 = 651
안구의 악성종양 = 651
외과적시술과 안구적출 = 651
안구적출 = 652
전신질병의 안구 예후 = 653
거대세포바이러스망막염 = 653
고혈압과 관련된 눈의 변화 = 654
약물 주입 = 654
안과학의 쟁점 = 656
59. 청각과 평형장애환자의 사정과 간호 = 661
귀의 사정 = 662
사정 = 664
진단적 평가 = 667
청력상실 = 668
외이질환 = 671
악성외이도염 = 672
외이의 종괴 = 672
귀고리 구멍의 틈 = 672
중이질환 = 672
급성중이염 = 673
장액성 중이염 = 673
만성 중이염 = 674
NURSING PROCESS : 유양돌기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 = 675
귀경화증 = 677
중이의 종괴 = 678
내이질환 = 678
멀미 = 678
메니에르병 = 678
양성발작성 두위 현훈 = 679
이명 = 682
미로염(내이염) = 682
내이독성(귀독성) = 682
청신경초종 = 682
청각재활 = 683
Unit 14. 신경계기능 = 687
60. 신경게기능의 사정 = 690
구조와 기능 = 690
신경계 사정 = 699
진단검사 = 708
61. 신경게기능장애 환자의 간호 = 715
의식수준의 변화 = 716
NURSING PROCESS : 의식수준의 변화가 있는 환자 = 717
두개내압상승 = 718
NURSING PROCESS : 두개내압상승이 있는 환자 = 726
두개내 수술 = 731
경접형동과 천막하부 접근법 = 731
NURSING PROCESS : 두개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 = 732
경접형동을 통한 접근 = 736
경련성 장애 = 737
간질 = 738
NURSING PROCESS : 간질환자 = 742
간질중첩증 = 744
두통 = 744
62. 뇌혈관장애 환자의 간호 = 751
허혈성 뇌졸중 = 752
NURSING PROCESS : 허혈성 뇌졸중으로부터 회복중인 환자 = 759
출혈성 뇌졸중 = 766
NURSING PROCESS : 출혈성 뇌졸중환자 = 769
63. 신경계 외상환자의 간호 = 775
두부손상 = 776
두부손상 = 778
NURSING PROCESS : 외상성 뇌손상환자 = 781
척수손상 = 789
NURSING PROCESS : 급성 척수손상환자 = 794
NURSING PROCESS : 사지마비와 하반신마비환자 = 799
64. 신경계감염, 자가면역장애, 신경병증환자의 간호 = 805
감염성 신경계장애 = 806
수막염 = 806
뇌농양 = 808
단순포진바이러스뇌염 = 809
절지동물매개바이러스뇌염 = 810
크로이츠펠트야콥병과 변형크로이츠펠트야콥병 = 811
자가면역과정 = 812
다발경화증 = 812
NURSING PROCESS : 다발경화증환자 = 815
중증근육무력증 = 817
길랭-비례증후군 = 822
NURSING PROCESS : 길랭-비례증후군 환자 = 823
뇌신경장애 = 825
삼차신경통 = 825
안면신경마비 = 827
말초신경계의 장애 = 828
단발신경병증 = 828
65. 신경계종양, 퇴행성 신경장애환자의 간호 = 831
뇌와 척수의 종양 = 832
일차뇌종양 = 832
뇌전이 = 830
NURSING PROCESS : 뇌전이 또는 불치성 뇌종양환자 = 831
척수종양 = 833
퇴행성질환 = 835
파킨슨병 = 835
NURSING PROCESS : 파킨슨병 환자 = 844
근위축측삭경화증 = 849
NURSING PROCESS : 경추추간판절제술 한 환자 = 853
요추간판탈출 = 855
소아마비증후군 = 856
Unit 15. 근골격계기능 = 859
66. 근골격계기능의 사정 = 861
구조와 기능 = 861
사정 = 867
진단평가 = 872
67. 근골격계 간호기법 = 875
석고붕대를 적용한 환자 = 876
외부 고정장치를 적용한 환자 = 882
견인 장치를 적용한 환자 = 883
견인의 종류 = 884
정형외과적 수술이 진행 중인 환자 = 888
NURSING PROCESS : 정형외과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 전 간호 = 896
NURSING PROCESS : 정형외과 수술 환자의 수술 후 간호 = 898
68. 근골격계장애 환자의 간호 = 903
급성요통 = 904
일반적인 상지 문제 = 907
일반적인 발 문제 = 910
대사성골질환 = 912
NURSING PROCESS : 골다공증과 관련된 자발성 척추골절 환자 = 917
NURSING PROCESS : 골수염 환자 = 921
골종양 = 924
69. 근골격계 외상환자의 간호 = 929
타박상(좌상), 긴장, 염좌 = 930
관절 탈구 = 930
특정한 근골격계 손상 = 931
골절 = 933
부위별 골절 = 941
스포츠관련 손상 = 955
직업관련 손상 = 957
절단 = 957
NURSING PROCESS : 절단환자 = 958
간호사의 손상 예방 = 963
Unit 16. 기타 급성 문제 = 965
70. 감염성 질화 환자의 간호 = 967
감염 과정 = 968
감염 조절과 예방 = 972
감염성 질환자의 가정간호 = 978
설사 = 980
NURSING PROCESS : 감염성 설사를 하는 환자 = 986
성병 = 987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 988
NURSING PROCESS : 성병 환자 = 990
71. 응급간호 = 997
응급간호의 범위 및 실무 = 998
응급간호원리 = 1001
기도폐색 = 1002
출혈 = 1004
저혈량성 쇼크 = 1006
상처 = 1006
외상 = 1007
환경 응급 = 1010
중독 = 1017
물질남용 = 1020
폭력, 학대 그리고 방치 = 1025
정신적 응급상황 = 1027
72. 테러리즘, 대량사상자, 재난간호 = 1031
응급상황에 대한 연방, 주, 지방 차원의 대응 = 1032
병원응급준비 계획 = 1033
대비와 대응 = 1037
자연재해 = 1038
테러 무기들 = 1038
찾아보기 = 1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