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12036 | |
005 | 20180131112442 | |
007 | ta | |
008 | 120314s201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6243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731916 | |
040 | ▼a 241044 ▼c 24104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656 ▼2 22 |
085 | ▼a 616.891656 ▼2 DDCK | |
090 | ▼a 616.891656 ▼b 2012z1 | |
100 | 1 | ▼a Wadeson, Harriet, ▼d 1931- ▼0 AUTH(211009)57619 |
245 | 1 0 | ▼a 임상미술치료학 / ▼d Harriet Wadeson 지음 ; ▼e 장연집 [외] 옮김 |
246 | 1 9 | ▼a Art psychotherapy ▼g (2nd ed.)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2 | |
300 | ▼a xxv, 562 p. : ▼b 삽화 ; ▼c 24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 |
500 | ▼a 공역자: 최호정, 김태은, 김안젤라, 오선미, 윤혜원, 문리학 |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p. [545]-552)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rt therapy |
700 | 1 | ▼a 장연집, ▼e 역 |
700 | 1 | ▼a 최호, ▼e 역 |
700 | 1 | ▼a 김태은, ▼e 역 |
700 | 1 | ▼a 김안젤라, ▼e 역 |
700 | 1 | ▼a 오선미, ▼e 역 |
700 | 1 | ▼a 윤혜원, ▼e 역 |
700 | 1 | ▼a 문리학,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2z1 | 등록번호 1117854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91656 2012z1 | 등록번호 131044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656 2012z1 | 등록번호 1117854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91656 2012z1 | 등록번호 131044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술심리치료의 이론과 훈련에 대한 종합적인 안내를 다룬 책. 이 책의 저자이자 미술심리치료의 선구자인 Harriet Wadeson 박사는 임상적 고려사항, 교육, 역사 그리고 최근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을 검토하여 전반적인 미술심리치료에 대한 최종적인 문서를 수정하였고, 이는 사람들의 높은 기대를 받고 있다.
초판이 발행된 이후 최근에 개편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을 반영하여 심리적 외상, 위기, 다문화 주제,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등에 대한 9개의 새로운 장이 제2판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150점이 넘는 저자 소유의 개인 작품 및 내담자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첨부된 CD-ROM에는 100점 이상의 삽화들이 모두 컬러로 포함되어 있다.
미술심리치료사들은 창조적인 치료 과정 중에 드러난 문제들을 주제로 하여 내담자들의 통찰과 판단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심리적, 외상적 경험을 통해 작업을 하며, 인지적 능력 향상과 더불어 가족 및 교우 관계를 개선시켜 결국 단순하게 창조적 경험의 기쁨을 삶에서 당당하게 즐기게끔 돕는다.
이 책의 저자이자 미술심리치료의 선구자인 Harriet Wadeson 박사는 임상적 고려사항, 교육, 역사 그리고 최근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을 검토하여 전반적인 미술심리치료에 대한 최종적인 문서를 수정하였고, 이는 사람들의 높은 기대를 받고 있다. 초판이 발행된 이후 최근에 개편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을 반영하여 심리적 외상, 위기, 다문화 주제,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등에 대한 9개의 새로운 장이 제2판에 새롭게 추가되었다.
미술심리치료의 이론과 훈련에 대한 종합적인 안내를 다룬 『임상미술치료학, 제2판』에서는 150점이 넘는 저자 소유의 개인 작품 및 내담자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첨부된 CD-ROM에는 100점 이상의 삽화들이 모두 컬러로 포함되어있다. 저자는 미술심리치료 분야에서 인정받는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이 책은 현재 활동 중인 미술심리치료사와 정신건강업무에 미술심리치료를 일부 활용하기를 원하는 다른 정신건강 종사자들, 미술심리치료를 공부하는 학생들과 미술 심리 치료적 입문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익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해리엇 외드슨(지은이)
철학박사이자 LCSW, ATR-BC, HLM으로 23년 동안 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에서 미술심리치료 과정을 설립하고 감독했다. 미술심리치료에 대한 책 6권을 집필했으며, 70개가 넘는 논문을 전문적인 저널에 게재하기도 했다. 그녀는 미국 미술치료학회(AATA)에서 전문직 종사자에게 주는 최고의 명예인 평생 명예회원을 수여받았고, 일리노이 주 의회에서 주는 훈장을 수상했을 뿐 아니라 미술, 연구, 과학적인 증거들로 많은 상을 받았다. 더불어 미국 미술치료학회의 이사회에서 많은 직책을 맡고 있는 그녀는 과거 미국 미술치료학회에서 발간하는 좧미술치료(ART THERAPY)」의 편집장이기도 했다. 2012년 그녀는 여전히 국제적인 강연에서 초대 강연자로 활동 중이며,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미술심리치료 과정을 이끌고 있다.
장연집(옮긴이)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루이파스퇴르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박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입학처장, 한국심리치료학회장 등 역임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교수
최호정(옮긴이)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예술치료학 박사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겸임교수,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강사 역임 2012년 현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열린사이버대학교 강사, 최호정 미술심리치료연구소 소장
김태은(옮긴이)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예술치료학 박사 전주대 대체의학대학원 외래교수 역임 2012년 현재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겸임교수
김안젤라(옮긴이)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예술치료학 박사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 성공회대, 경인교대, 원광대, 전주대 강사 역임 2012년 현재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겸임교수, 안젤라예술치료교육연구소 소장
오선미(옮긴이)
서울여대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아동심리학 박사과정 수료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초빙교수 역임 2012년 현재 한 예술치료교육연구소 소장, 국제가족발달연구소 대표
윤혜원(옮긴이)
서울여대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미술심리치료학 박사과정 수료 서울여대, 삼육대학교 강사 역임
문리학(옮긴이)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예술치료학 박사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문리학 미술심리치료 연구소 소장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ⅸ 머리말 = xiii 저자 서문 = xvii 초판의 서문(개정판) = xxi 감사의 말 = xxvi 초판에 대한 감사의 말 = xxvii 제1부 원리와 적용 01 창조적 과정 = 3 창조적인 경험의 본질 : 개인적인 설명 = 6 미술치료에서의 창조성 = 8 02 미술치료의 이점 = 11 이미지를 다룬다 = 12 방어를 감소시킨다 = 13 객관화한다 = 14 영속성을 갖는다 = 15 공간적 기반을 지니고 있다 = 16 창조적 에너지를 방출시킨다 = 16 자긍심을 고취시킨다 = 17 03 미술치료의 기원과 적용 = 19 미술치료의 적용 = 21 물리적 세팅 = 23 회기의 구조 = 24 미술 매체와 과정들 = 26 04 기관의 영향들 = 29 스태프와의 관계 = 31 대변자로서 미술치료사 = 32 미국 미술치료학회 = 33 미국의 미술치료 훈련 = 34 05 치료적 관계 = 37 일반적으로 고려할 점 = 37 미술치료에서 특별히 고려할 사항들 = 46 06 다문화의 주제들 = 55 아프리카계 미국인 = 59 이민자들 = 63 성적 기호 = 73 제2부 심리적 외상 0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87 심리적 외상의 유형 = 89 심리적 결과 = 89 회복 = 91 심리적 외상을 위한 미술치료 = 92 강간 피해자들을 위한 미술치료 = 94 참전 용사 = 102 08 아동 성폭력을 경험한 성인 생존자들 = 105 아동 성폭력 피해자인 남성의 사례 = 106 정신분열증과 아동 성폭력 = 110 경계성 인격장애 = 111 09 위기 = 117 개인을 위한 위기 평가 = 118 위기 개입 = 119 치료의 단계 = 121 개인 사례 = 123 사회적 위기 = 125 9ㆍ11 = 125 제3부 기분장애 10 우울증 = 137 치료적 관계 = 139 사례 연구 = 140 우울증의 미술 표현 특징 = 152 11 양극성 장애 = 161 사례 연구 = 162 추가 사례 = 169 치료적 동맹 = 172 양극성 장애의 미술 표현 특징 = 173 12 자살 = 175 치료적 관계 = 177 입원 환자들 = 178 자살 메시지 = 180 분노 = 182 다른 사람들을 유해하는 느낌들 = 184 자기혐오 = 186 절망감 = 189 의사소통 혹은 고립 = 191 나선형의 상징 = 194 미술치료의 중요성 = 197 사례 = 198 제4부 정신분열증 13 정신분열증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 고려사항 = 213 치료적 관계와 의미의 이해 = 215 14 미술에 표현된 정신분열증 현상 = 219 정신분열증에 대한 주관적 경험 = 220 환각과 망상 = 232 정신병적 망상의 반복적인 주제 = 242 사례 연구 = 250 15 기관에서 미치는 영향 = 261 격리실 경험이 미치는 영향 = 262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망상 = 269 16 급성 정신분열증의 미술 표현과 회복 유형 = 275 사례 = 278 논의 = 284 17 정신분열증, 우울증, 양극성 장애의 미술 표현 비교 = 288 단극성 우울증 환자들 = 290 양극성 환자들 = 290 정신분열증 환자들 = 290 조직화 = 291 연령이 비슷한 집단들 = 292 논의 = 292 제5부 물리적 상황들 18 의료적 상황들 = 295 유방 절제 그룹 = 295 신체적 질병에 걸린 아동들 = 303 파킨슨병을 위한 치료로서의 미술 = 309 죽음 및 임종 = 315 19 물질 남용 = 321 알코올중독자 가족 평가 = 326 제6부 구조적 미술심리치료 20 단기입원과 사후관리 = 339 사후관리 = 342 보호 시설 = 346 21 집단미술치료 = 353 구성 = 354 시간 = 356 이미지 공유 = 357 집단에서 미술치료사의 역할 = 358 집단 미술치료 사례 = 360 입원 청소년 집단 = 360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는 성인으로 구성된 사설 치료 집단 = 374 22 가족미술치료 = 399 치료적 관계 = 401 부부 미술치료 = 403 양극성 연구에서의 부부 미술치료 기법 = 419 다가구 미술치료 = 428 23 꿈 그리기 = 437 사례 = 439 24 표현치료와의 결합 = 449 구조 = 450 음악에 맞춰 움직이기 = 452 이완 = 453 벽화 작업 = 455 드라마 표현 = 456 환상 = 457 결과 = 457 25 지역사회를 위한 미술치료 = 461 여성 노숙자들의 사회적 행위를 통한 저항 = 462 아이스하키와 미술의 동맹 = 464 하나의 분수 세 개의 왕관 = 474 26 연구 = 481 연구 유형 개요 = 483 사례들 = 484 연구윤리 = 492 미술치료 연구의 본질적 문제들 = 493 방법론적 엄격성의 적용 = 494 논의 = 495 미래 연구 = 496 후기 27 전문가가 되기 위한 자기탐색과정의 미술 = 499 회기 후 반응그림 = 500 인종적 편견 = 505 성적 학대 = 507 심리적 소진 극복 = 509 경계를 넘어서기 = 512 병들고 죽어가는 아동들 = 520 도움 주는 이들의 집단 = 523 내 자신의 작품 = 525 죽음 = 525 어두운 이면 = 529 부록 = 537 CD-ROM에 관한 부록 = 541 참고문헌 = 545 찾아보기 =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