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1 신체역학(Body mechanics)
체위변경의 기본 = 3
기능적 체위(Functional Position) = 15
체위변경의 목적 = 21
휠체어의 위치 = 27
2 배설 간호(Elimination)
관장의 종류 = 43
변비 = 51
유치 도뇨 = 58
3 채혈 기술과 순서(Blood sampling)
채혈 부위와 선택 = 81
혈관이 보이지 않을 때의 대처 = 85
채혈순서 = 89
통증을 적게 하는 방법 = 96
채혈하는 시간/주사바늘의 종류 = 99
4 주사법(Injection)
근육주사 = 109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 = 118
정맥주사(Intravenous Injection) = 124
5 수액요법(Fluid infusion)
수액이란? = 137
수액백의 위치/정맥주사중 의복교환 = 147
주입속도 계산법 = 151
헤파린락(Heparin Lock) = 155
경정맥영양법(IVH) = 159
6 신체사정(Physical assessment)
정보 수집의 방법 = 177
활력징후 측정의 순서 = 181
호흡(Respiration) = 184
체온(Body Temperature: BT) = 192
맥박(Pulse Rate: PR) = 197
혈압(Blood Pressure: BP) = 202
신체사정(Physical Assessment)이란? = 207
문진(History Taking) = 212
청진(Auscultation) = 216
촉진(Auscultation) = 234
Physical Assessment 시의 환경조정 = 238
7 간호진단과 간호기록
간호진단(Nursing Diagnosis) = 249
간호계획(Nursing Plan) = 264
SOAP과 POS = 270
INDEX = 293
[volume. vol.2]----------
목차
1 식도암(Esophageal Cancer)
식도암(Esophageal Cancer) = 3
식도암 수술 방법(Esophageal Cancer Operation) = 11
식도암 환자의 수술 후 간호 = 16
화학방사선요법(Chemoradiation Therapy) = 21
2 위암(Gastric Cancer)
위암의 위험인자 = 29
상부위장관조영술&내시경검사(UGI series&UGI endoscopy) = 37
위암의 전이(Metastasis of Gastric Cancer) = 47
위암의 분류(Classification of Gastric Cancer) = 52
위암 수술 방법(Gastric Cancer Operation) = 57
위전절제술의 수술법(Roux-en-Y Surgery) = 61
호흡훈련(Respiration Training) = 66
수술 직후의 관찰내용 = 70
위관 삽입 = 75
수술 후 배액 = 80
위암 수술 후 합병증 = 85
3 인공항문(Colostomy[Stoma])
인공항문이란? = 115
대장암의 다양한 수술법 = 118
인공항문 위치와 변의 상태 = 122
수술 전 준비(Pre Operative Preparation) = 126
수술 후의 주의점(Post Operative Care) = 135
합병증의 종류 = 141
일상생활에서 인공항문 관리(Management of Stoma in Daily Life) = 142
4 바이러스성 감염(Viral Hepatitis)
간 질환(Liver Disease) = 157
인터페론의 부작용(Interferon Therapy) = 174
식이요법과 운동(Dietetic Treatment and Exercise) = 177
5 간경변(Liver Cirrhosis)
간 기능 및 장애 증상 = 185
간기능 1: 담도계(Biliary tract) = 192
간기능 2: 문맥순환(Portal Circulation) = 203
간기능 3: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 = 209
간기능 4: 응고계(Coagulation System) = 215
간기능 5: 대사ㆍ생합성계(Metabolism and Biosynthesis System) = 219
간성뇌증(Hepatic Encephalopathy) = 222
경도관 동맥 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 229
INDEX = 249
[volume. vol.3]----------
목차
1 심전도(Electrocardiogram)
심전도란? = 3
12유도/사지유도 = 5
심전도 읽는 방법 = 14
2 부정맥(Arrhythmia)
자극생성게와 자극전도계 = 29
심박이상(Atrium)과 심실이상(Ventricle) = 40
부정맥의 치료와 간호 = 46
3 심부전(Heart failure)
기좌호흡(Orthopnea) = 59
좌심부전(Left-sided failure)과 우심부전(Right-sided failure) = 64
울혈성 심부전 증상 = 70
심부전의 치료 = 73
심부전 환자의 주의점 = 78
4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심장의 기능 = 91
협심증(Angina Pectoris)과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 96
협심증의 종류 = 100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 106
5 심도자법(Cardiac Catherization and Coronary artery angiogram)
관상동맥 성형술 후의 간호(Post Care of Coronary artery angioplasty) = 137
재활요법(Cardiac Rehabilitation) = 144
6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
동맥의 구조 = 155
대동맥 박리의 증상과 검사 = 160
대동맥 박리의 치료 = 165
대동맥 박리의 분류(Stanford Classification) = 170
대동맥 박리의 간호 = 173
심낭천자(Puncture of Pericardium) = 177
심장압전(cardiac tamponade) = 182
심장압전의 치료 = 188
7 고혈압(Hypertension)
고혈압이란? = 202
고혈압의 합병증 = 206
수축기 혈압과 확장이 혈압 = 210
고혈압과 호르몬(Hypertension and Homone) = 219
고혈압의 식사지도 = 222
고혈압의 약물치료(Hypertension Medication) = 227
INDEX = 249
[volume. vol.5]----------
목차
신장
1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 진단기준 = 3
신기능검사(Kidney Function Test) = 6
고지질혈증(Hyperlipemia)과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 17
콜로이드 삼투압(Colloid Osmotic Pressure) = 20
소아 신증후군(Childhood Nephrotic Syndrome) = 23
신생검(Renal Biopsy) = 27
신생검 후의 간호 = 30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Failure) = 31
신질환 환자의 식사지도 = 34
신기능 분류 = 37
2 투석요법(Dialysis)
투석의 필요성 = 51
투석(Dialysis)의 종류 = 58
동정맥루(Arteriovenous Fistula, AVF) = 67
생활지도 - 식이요법(Renal Diet) = 76
생활지도 - 운동요법 = 83
3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의 원인 = 91
배뇨 조절 = 93
배뇨 장애(Urinary Difficulty) = 97
기질성 요실금과 기능성 요실금 = 100
요실금 환자의 간호 = 111
내분비
1 제1형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당뇨병이란? = 125
인슐린의 작용 = 127
인슐린주사 요법(Insulin Therapy) = 137
인슐린 자가주사법 = 143
혈당 측정(Blood Sugar Measure) = 146
저혈당성 혼수(Hypoglycemic Coma) = 148
소아당뇨병(Children Diabetes) = 153
당뇨병케톤산증(Diabetic Ketoacidosis) = 157
2 제2형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당뇨병 환자 비율 = 173
당뇨병 환자의 특징 = 175
당뇨병과 혈당(Diabetes and Blood Sugar) = 180
당뇨병 진단 기준 = 182
제2형 당뇨병의 특징 = 185
제2형 당뇨병의 원인 = 188
당뇨병 합병증(Complication Diabetes) = 192
당뇨병성 신경장애(Nerve Damage of Diabetes) = 201
3 당뇨병 합병증(Diabetic complication)
당뇨병성 망막증(Diabetic Retinopathy) = 219
HbA1c (hemoglobin A1c, 당화혈색소) = 226
만성질환의 자기간호 = 231
그룹활동과 개별지도(Education and Support Group) = 237
당뇨병성 신증(Diabetes Renal Disease) = 240
고삼투압성 비케톤성 흡수(Hyperglycemic Nonketotic Coma) = 242
4 식사요법 운동요법(Dietetic Therapy Kinesiatrics)
당질, 담백질, 지질 = 257
철분, 칼슘, 염분(Fe, Ca&NaCl) = 263
고지혈증(Hyperlipemia) = 267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 274
식사요법(Dietetic Therapy) = 282
운동요법(Kinesiatrics) = 289
5 통풍(Gout)
통풍발작(Gouty attack) = 301
고요산혈증(Hyperuricemia) = 304
고요산혈증(Hyperuricemia) 원인 = 306
고요산혈증(Hyperuricemia) 치료 = 312
약물요법(Pharmacotherapy) = 316
고요산혈증의 증상: 신기능(Renal Function) = 321
6 바세도우씨병(Basedow's goiter[Grave's disease])
바세도우씨병의 증상 = 329
갑상선호르몬 조절(Thyroid Hormones Controlled) = 337
혈액검사(Blood test) = 345
갑상선 신티그래피(Scintigraphy) = 347
항갑상선제(Antithyroid Drug) = 353
방사성 요오드요법(Redioactive Iodine)과 갑상선 부분절제술(Subtotal Thyroidectomy) = 358
INDEX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