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01. 뇌파 = 1
Chapter 01. 신경계의 해부생리 = 3
Ⅰ. 신경계의 기능 = 3
Ⅱ. 신경계의 구조적 분류 = 6
Ⅲ. 뇌의 해부생리 = 9
Ⅳ. 뇌의 구조와 기능 = 10
Ⅴ. 대뇌피질 = 19
Chapter 02. 뇌파 검사 = 25
Ⅰ. 뇌파검사 시 사용되는 비품 = 25
Ⅱ. 전극 배치법 = 31
Chapter 03. 뇌파의 기본 개념 = 45
Ⅰ. 뇌파의 정의 = 45
Ⅱ. 뇌파의 구성요소 = 46
Ⅲ. 뇌파의 원리 = 52
Ⅳ. 뇌파검사의 임상적 의의 = 67
Chapter 04. 뇌파검사의 실제 = 71
Ⅰ. 뇌파검사의 순서 = 71
Ⅱ. 뇌파검사하기 전에 처리할 사?ㅇ = 72
Ⅲ. 일반뇌파검사 시 표준측정 조건 = 72
Ⅳ. 필터와 시정수 정의 = 73
Ⅴ. 각성뇌파 및 수면뇌파 검사 = 74
Chapter 05. 연령에 따른 뇌파의 변화 = 91
Ⅰ. 신생아기(1달 미만) = 91
Ⅱ. 영아기(1달∼1세) = 92
Ⅲ. 유아기(1∼5세) = 93
Ⅳ. 학동전기(6∼9세) = 94
Ⅴ. 학동후기∼사춘기(10∼15세) = 95
Ⅵ. 성인 = 97
Ⅶ. 노년기 = 98
Chapter 06. 잡파 = 99
Ⅰ. 인체 내에서 유래되는 잡파 = 100
Ⅱ. 전극에서 유래한 잡파 = 105
Ⅲ. 뇌파계에서 유래한 잡파 = 108
Ⅳ. 외부요인에 의한 잡파 = 108
Chapter 07. 정상뇌파와 비정상뇌파 = 113
Ⅰ. 정상뇌파 = 113
Ⅱ. 비정상적인 놔파 파형 = 117
Ⅲ. 뇌파의 출현양식 = 120
Chapter 08. 간질 = 127
Ⅰ. 간질 발작의 분류 = 127
Ⅱ. 1981년에 제정된 '간질발작의 국제분류' = 129
Ⅲ. 부분발작과 전신발작의 분류 = 130
Ⅳ. 미분류 간질발작 발작분류가 어려운 경우 = 139
Ⅴ. 간질 증후군의 국제분류 = 141
Chapter 09. 뇌사 = 143
Ⅰ. 선행조건 = 143
Ⅱ. 뇌사의 3대 요소 = 144
Ⅲ. 심부건반사, 바빈스키징후, 척수반사 등은 뇌사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 144
Ⅳ. 뇌사는 임상소견으로 진단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6시간 후에 신경학적 검사를 반복하여 동일한 소견이 나타나면 뇌사로 확인된다 = 144
Ⅴ. 뇌사이 뇌파 기복술에 대한 지침 = 144
Ⅵ. 뇌사된 환자의 뇌파검사 시 몽타주 증례 = 145
Ⅶ. 뇌사환자의 뇌파 증례 =
Chapter 10. 24시간 비디오 뇌파검사 = 147
Ⅰ. 정의 = 147
Ⅱ. 임상적 의의 = 148
Ⅲ. 24시간 비디오 뇌파검사 시 주의사항 = 149
Chapter 11. 와다 검사 = 151
Ⅰ. 정의 = 151
Ⅱ. 임상적 의의 = 152
Part 02. 근전도 = 153
Chapter 01. 신경의 해부생리 = 155
Ⅰ. 신경세포의 해부생리 = 155
Ⅱ. 신경계의 작용 = 158
Ⅲ. 시냅스 = 161
Ⅳ. 척수 = 162
Chapter 02. 근전도검사의 기초지식 = 171
Ⅰ. 근전도와 신경전도검사의 개념 = 171
Ⅱ. 신경전도 검사의 종류 = 172
Ⅲ. 근전도검사의 임상적 의의 = 173
Ⅳ. 근전도 장비의 구성 = 174
Ⅴ. 전극의 종류 = 176
Ⅵ. 신경ㆍ근 단위=운동단위 = 179
Chapter 03. 정상근전도와 비정상근전도 = 181
Ⅰ. 정상 근전도의 특징소견 = 181
Ⅱ. 비정상 근전도의 특징소견 = 181
Chapter 04. 신경전도속도검사 = 185
Ⅰ. 신경전도검사 = 185
Ⅱ. 각 파의 특징소견 = 186
Ⅲ. 말초 운동신경 전도속도 검사법 = 188
Ⅳ. 말초 감각(지각)신경 전도속도 검사법 = 190
Ⅴ. 신경전도속도검사 시 주의사항 = 193
Ⅵ. 근전도검사 시 주의사항 = 193
Chapter 05. 신경전도검사(NCV, 유발근전도)의 실제 = 195
Ⅰ. 운동신경전도속도검사 방법의 종류 = 195
Ⅱ. 감각신경전도속도검사 방법의 종류 = 199
Chapter 06. 후기반응 검사 = 205
Ⅰ. 후기반응검사의 정의 = 205
Ⅱ. 후기반응검사의 종류 = 205
Chapter 07. 기타검사법 = 211
Ⅰ. 반복신경자극검사 = 211
Ⅱ. 순목반사(안윤근 반사) = 217
Part 03. 유발전위 = 223
Chapter 01. 유발전위의 기본 개념 = 225
Ⅰ. 유발전위의 원리 = 225
Ⅱ. 유발전위의 목적 = 225
Ⅲ. 유발전위의 임상적의의 = 226
Ⅳ. 유발전위검사 시 주의사항 = 226
Ⅴ. 유발전위검사의 종류 = 227
Chapter 02. 유발전위검사의 실제 = 229
Ⅰ. 청각유발전위 검사 = 229
Ⅱ. 시각유발전위 검사 = 233
Ⅲ.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 240
Ⅳ.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의 종류 = 243
Part 04. 수면다원검사 = 251
Chapter 01. 수면다원검사의 기본개념 = 253
Ⅰ. 수면다원검사의 정의 = 253
Ⅱ. 수면다원검사의 목적 = 254
Ⅲ. 수면다원검사의 임상적 의의 = 254
Chapter 02. 수면다원검사 방법의 실제 = 255
Ⅰ.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 사용되는 전극 및 센서(액세서리) = 255
Ⅱ. 다중수면잠복기검사 = 262
Ⅲ. 수면무호흡증 = 265
Ⅳ. 야간 발기기능 검사 = 268
색인 = 269
INDEX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