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편 의료정보기술
제1장 컴퓨터 기초 / 이동희 = 3
1. 소프트웨어 = 3
2. 시스템 소프트웨어 = 6
3. 응용 소프트웨어 = 7
4. 운영체제 = 12
5. 기억장치관리 = 18
6. 프로세스 관리 = 23
7. 시스템 분석 및 설계 = 29
8. 프로그래밍 일반 = 33
9. 소프트웨어 공학 = 38
10. 구조적 분석과 설계 = 44
11.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 = 48
학습과제 = 59
제2장 의료정보화 인터넷 / 이동희 = 61
1. 정보통신 = 61
2. 네트워크 = 63
3. 통신프로토콜과 표준화 = 64
4. 인터넷(Internet) = 69
5. 인터넷서비스 = 76
6. 컴퓨터의 미래와 유비쿼터스 = 83
학습과제 = 90
제2편 보건의료정보
제1장 의료정보의 표준화 / 류시원 = 93
1. 의료정보 표준화의 필요성과 정의 = 93
2. 의료정보 표준화기구 = 95
3. 의료정보 표준 = 99
4. 의학용어 및 코드의 표준 = 107
5. 우리나라 의료정보 표준화 동향 = 111
학습과제 = 113
제2장 의료정보의 보안 / 류시원 = 115
1. 개요 = 115
2. 의료정보시스템의 취약성과 컴퓨터 범죄 = 116
3. 컴퓨터 바이러스 = 120
4. 의료정보시스템 안전관리 = 126
5. 보안과 통제를 위한 기술 및 도구 = 131
6. 정보사회의 사생활보호와 윤리 = 133
학습과제 = 137
제3장 데이터베이스(DB) / 박찬석 = 139
1.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 139
2.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 144
3.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구조 = 147
4. DBMS의 언어 = 151
6. 상용 DBMS = 156
6. 데이터베이스의 발전과 응용분야 = 157
학습과제 = 160
제4장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DW) / 박찬석 = 161
1. 서론 = 161
2.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이란? = 162
3.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구성 = 164
4.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효과 = 169
5.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의 활용 = 171
6.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시스템 구축 고려사항 = 172
7.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개발방법론 = 175
8. EDW와 CDW = 179
9. OLAP Tool = 182
학습과제 = 189
제5장 데이터 마트 / 박찬석 = 191
1. 서론 = 191
2. 병원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마트 = 192
학습과제 = 217
제6장 데이터마이닝 / 박길하 = 219
1. 데이터마이닝의 정의 = 219
2. 데이터마이닝의 특성 = 224
3. 데이터마이닝의 관련분야 = 225
4. 데이터마이닝의 기법 소개 = 227
5. 데이터마이닝의 과정 및 절차 = 233
6. 데이터마이닝의 활용분야 = 235
7. 데이터마이닝의 적용사례 = 236
8.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분석 사례 = 238
학습과제 = 247
제3편 병원정보시스템
제1장 병원정보시스템(HIS) / 박찬석 = 251
1. 서론 = 251
2. 의료산업의 특징 = 252
3. 병원조직의 특징 = 255
4.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 = 257
5. 병원정보시스템의 도입효과 = 269
6. 병원정보시스템의 발전 = 263
7. 미국의 병원정보시스템 = 264
8. 국내 병원정보시스템 발전 현황 = 266
9. 경영지원 중심의 병원정보시스템 = 273
학습과제 = 276
제2장 처방전달시스템(OCS) / 박길하 = 277
1. 처방전달시스템의 개념 = 277
2. 처방전달시스템의 필요성 = 278
3. 병원정보시스템과 처방정보시스템의 구조 = 279
4. 성공적인 처방전달시스템 구축 요소 = 280
5. 처방정보시스템 소개 = 281
학습과제 = 297
제3장 전자의무기록(EMR) / 김광환 = 299
1. EMR의 정의 = 299
2. EMR의 필요성 = 300
3. EMR의 발전 5단계 = 301
4. 전자의무기록의 기능 및 구성도 = 303
5. 의무기록지 관리의 전산화 = 304
6. 의무기록 전산화의 장애점 = 308
7. 의무기록 서식표준 문제점 = 309
8. EMR에 필요한 의무기록 서식 표준화 방안 = 310
9. 의무기록 전산화의 문제 해결 = 313
10. EMR의 기대효과 = 316
11. 국내환경에서의 EMR의 발전방안 = 318
학습과제 = 319
제4장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 김광환 = 321
1. PACS의 정의 = 321
2. PACS의 장점 = 322
3. 도입 요구 조건 및 전반적 운영 현황 = 322
4. 목적에 따른 분류 = 323
5. PACS의 구성요소 = 326
6. HIS와 PACS의 연계 = 331
7. PACS의 문제점 및 보완사항 = 334
8. PACS의 발전 방향 = 336
학습과제 = 337
제5장 임상병리정보시스템(LIS) / 박길하 = 339
1. 진단검사의학의 정의 = 339
2. 진단검사의학 검사의 목적 = 340
3. 임상병리정보시스템 = 341
4. LIS 검사장비 자동화 인터페이스 = 353
5. 검사종목별 임상적 의의 = 354
학습과제 = 364
제6장 간호정보시스템(NI) / 조현 = 365
1. 간호정보학 = 366
2. 간호정보체계 = 367
3. 간호 분야에 있어서의 정보기술 활용 = 368
4. 앞으로의 과제 및 방향 = 377
학습과제 = 384
제7장 원격의료 / 조현 = 385
1. 서론 = 385
2. 원격의료의 형태 = 386
3. 원격의료시스템 = 390
4. 국내외 원격의료 추진 동향 = 395
5.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 405
6. 결론 = 408
학습과제 = 410
부록 = 411
참고문헌 = 427
찾아보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