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서론 = 1
Chapter 1 거시경제학 입문 = 3
1.1 거시경제학은 무엇에 관한 연구인가? = 3
장기적 경제성장 = 4
경기순환 = 7
실업 = 8
인플레이션 = 9
국제경제 = 11
거시경제 정책 = 12
집계 = 14
1.2 경제학자는 무슨 일을 하는가? = 15
거시경제예측 = 15
거시경제분석 = 16
거시경제 조사연구 = 17
데이터 개발 = 19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경제이론의 개발 및 검증 절차 = 20
1.3 거시경제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다른 이유 = 21
고전파와 케인즈파 = 23
거시경제학의 통합된 접근방식 = 26
Chapter 2 국민경제의 측정과 구조 = 33
2.1 국민소득회계 : 생산, 소득, 지출의 측정 = 34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국민소득 및 생산계정 = 36
세 접근방법이 같은 결과를 내는 이유 = 37
2.2 국내총생산 = 38
GDP 측정을 위한 생산접근방법 = 3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천연자원, 환경 그리고 국민 소득계정 = 40
GDP 측정을 위한 지출접근방법 = 44
GDP 측정을 위한 소득접근방법 = 47
2.3 저축과 부 = 51
총저축의 측정치 = 52
민간 저축의 용도 = 54
저축과 부의 연결 = 55
2.4 실질 GDP,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 58
실질 GDP = 58
물가지수 = 60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컴퓨터 혁명과 연쇄가중된 GDP = 62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소비자 물가지수 인플레이션과 핵심물가지수 인플레이션 = 64
2.5 이자율 = 67
응용|연방준비은행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측정치 = 68
Part 2 장기적 경제운용의 성과 = 81
Chapter 3 생산성, 산출물, 고용 = 83
3.1 국민경제가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가? 생산함수 = 84
응용|미국의 총체적 생산함수의 생산성 향상 = 86
생산함수의 형태 = 88
공급충격 = 93
3.2 노동의 수요 = 95
노동의 한계생산물과 노동수요 : 예 = 96
임금의 변화 = 99
노동의 한계생산물과 노동수요곡선 = 100
노동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101
총노동수요 = 103
3.3 노동의 공급 = 104
소득-여가의 선택 = 105
실질임금과 노동공급 = 106
노동공급곡선 = 109
총노동공급곡선 = 110
응용|미국과 유럽의 노동시장 비교 = 112
3.4 노동시장의 균형 = 114
응용|석유가격 파동 기간 중 산출량, 고용, 실질임금 = 116
완전고용산출량 = 117
3.5 실업 = 118
실업의 측정 = 11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노동시장 데이터 = 120
고용지위의 변화 = 121
사람들은 얼마나 오랫동안 실업상태에 놓여 있는가? = 122
왜 실업자는 항상 존재하는가? = 123
3.6 산출량과 실업률의 관계 : 오쿤의 법칙 = 125
부록 3.A. 오쿤의 법칙 : 성장률 식 = 137
Chapter 4 소비, 저축, 투자 = 139
4.1 소비와 저축 = 140
개인의 소비와 저축에 대한 의사결정 = 142
현재소득의 변화 효과 = 144
기대 미래소득의 변화 효과 = 145
응용|싱가포르 총소비의 특이점 = 146
부의 변화 효과 = 149
실질이자율의 변화 효과 = 149
재정정책 = 152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 = 154
응용|소비자는 세금환급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 159
4.2 투자 = 161
바람직한 자본스톡 = 161
바람직한 자본스톡의 변화 = 165
바람직한 자본스톡에서 투자까지 = 169
응용|조세가 투자에 미치는 영향 측정 = 170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투자와 주식시장 = 174
재고 및 주택 투자 = 176
4.3 재화시장의 균형 = 177
저축-투자 그래프 = 178
응용|주가의 폭등과 폭락에 따른 거시경제적 결과 = 183
부록 4.A. 소비와 저축의 정형적인 모형 = 197
Chapter 5 개방경제에서 저축과 투자 = 219
5.1 국제수지계정 = 220
경상계정 = 221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국제수지계정 = 223
자본 및 금융계정 = 225
경상계정과 자본 및 금융계정 간의 관계 = 226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화성이 경상계정흑자를 가질 수 있는가? = 229
순해외자산과 국제수지계정 = 229
응용|외채가 얼마나 심각한가? = 231
5.2 개방경제에서 재화시장의 균형 = 232
5.3 개방소국경제에서 저축과 투자 = 234
개방소국경제에서 경제적 충격의 효과 = 238
5.4 개방대국경제에서 저축과 투자 = 240
응용|글로벌화가 미국 경제에 미친 영향 = 243
응용|미국 경제계정적자의 최근 경향 = 245
5.5 재정정책과 경상계정 = 249
결정적 요인 : 국민저축의 반응 = 249
정부의 재정적자와 국민저축 = 250
응용|쌍둥이 적자 = 252
Chapter 6 장기적인 경제성장 = 263
6.1 경제성장의 원인 = 265
성장회계 = 266
응용|1973년 이후 생산성 증가의 둔화 = 270
응용|최근 미국 생산성 증가의 급상승 = 272
6.2 성장 동력 : 솔로우 모형 = 276
솔로우 모형의 설정 = 277
장기적인 생활수준의 근본적인 결정요인 = 286
응용|중국의 성장 = 291
내생적 성장이론 = 292
6.3 장기적인 생활수준 향상을 위한 정부정책 = 296
저축률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 296
생산성 증가율을 상승시키는 정책 = 297
Chapter 7 자산시장, 화폐, 물가 = 305
7.1 통화란 무엇인가? = 306
통화(화폐)의 기능 = 306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포로수용소의 통화 = 307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통화집계량 = 311
통화공급 = 311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달러화화가 미국과 다른 나라에 미친 영향 = 312
7.2 자산구성과 자산수요 = 314
기대수익 = 315
위험 = 315
유동성 = 316
만기 = 316
자산의 종류와 특성 = 31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2007년에 시작된 주택(금융) 위기 = 321
자산수요 = 324
7.3 통화수요 = 324
물가수준 = 325
실질소득 = 325
이자율 = 326
통화수요함수 = 327
통화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 = 329
통화의 유통속도와 통화수량이론 = 332
7.4 자산시장의 균형 = 335
자산시장의 균형 : 집계화를 위한 가정 = 336
자산시장의 균형조건 = 337
7.5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339
기대 인플레이션율과 명목이자율 = 340
응용|전환기에 놓여 있는 유럽 국가의 통화 증가와 인플레이션 = 341
응용|인플레이션 예상의 측정 = 344
Part 3 경기순환과 거시경제 정책 = 353
Chapter 8 경기순환 = 355
8.1 경기순환이란 무엇인가? = 356
8.2 미국의 경기순환 : 역사적 기록 = 359
제1차 세계대전 이전 = 359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 = 36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경기순환 = 362
장기 호황 = 363
미국의 경기순환을 심각하지 않게 되었는가? = 364
8.3 경기순환의 실태 = 367
경제변수의 순환적 행태 : 방향과 시점 = 36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 : 동행지수 및 선행지수 = 369
생산 = 373
지출 = 374
고용과 실업 = 376
응용|구직률과 실직률 = 378
평균노동생산성과 실질임금 = 381
통화량 증가율과 인플레이션 = 382
금융 변수 = 383
경기순환의 국제적 측면 = 384
8.4 경기순환 분석 : 개관 = 385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 : 계절순환과 경기순환 = 386
총수요와 총공급 : 개요 소개 = 387
Chapter 9 IS-LM/AD-AS : 거시경제 분석을 위한 일반 모형 = 397
9.1 완전고용(FE)선 : 노동시장의 균형 = 398
FE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399
9.2 IS 곡선 : 상품시장의 균형 = 400
IS 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402
9.3 LM 곡선 : 자산시장 균형 = 405
이자율과 비화폐자산의 가격 = 406
화폐수요와 화폐공급의 균형 = 406
LM 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 = 409
9.4 IS-LM 완결 모형의 일반균형 = 414
IS-LM 분석체계 응용 : 일시적 공급충격 = 414
응용|다시 찾아온 석유파동 = 41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경제정책 분석을 위한 계량 경제 모형과 거시경제 예측 = 419
9.5 가격조정과 일반균형의 달성 = 420
통화팽창의 효과 = 421
IS-LM 모형에 대한 고전파 대 케인즈파의 해석 = 425
9.6 총수요와 총공급 = 427
총수요 곡선 = 428
총공급 곡선 = 432
AD-AS 모형의 균형 = 433
AD-AS 모형에서의 화폐의 중립성 = 434
부록 9.A. IS-LM/AD-AS 모형 계산문제 풀이 연습 = 445
부록 9.B. IS-LM/AD-AS 모형에 대한 수학적 설명 = 448
Chapter 10 고전파 경기순환 분석 : 시장청산 거시경제학 = 457
10.1 경기순환-고전파 모형 = 459
실질 경기순환이론 = 459
응용|경기순환 계측하기 = 463
고전파 모형에서의 재정정책 충격 = 471
고전파 모형에서의 실업 = 475
가계 생산 = 479
10.2 고전파 모형에서의 화폐 = 480
통화정책과 경제 = 480
화폐의 비중립성과 역 인과관계 = 480
화폐의 비중립성과 추가 근거 = 482
10.3 화폐의 비중립성과 오인이론 = 483
통화정책과 오인이론 = 487
합리적 기대와 통화 정책의 역할 = 490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 물가 예측은 합리적인가? = 492
부록 10.A. 오인이론에 기초한 고전파 AD-AS 모형 계산문제 풀이 연습문제 = 503
부록 10.B. 오인이론에 기초한 고전파의 AD-AS 모형에 대한 수학적 설명 = 505
Chapter 11 케인즈파 : 임금과 물가 경직성의 거시경제학 = 507
11.1 실질임금의 경직성 = 508
실질임금 경직성의 원인 = 509
효율성 임금 모형 = 510
효율성 임금 모형에서의 임금 결정 = 512
효율성 임금 모형에서 고용과 실업 = 512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헨리 포드의 효율성 임금 = 515
효율성 임금과 FE선 = 516
11.2 가격의 완고성 = 517
가격 완고성의 원인 : 독점적 경쟁과 메뉴 비용 = 518
11.3 케인즈파 모형에서 통화 및 재정정책 = 525
통화정책 = 526
재정정책 = 530
11.4 케인즈파의 경기순환이론에 거시경제 안정화 = 533
케인즈파의 경기순환이론 = 533
거시경제 안정화 = 536
케인즈파 모형에서의 공급 충격 = 540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DSGE 모형과 고전파-케인즈파 논쟁 = 542
부록 11.A. 노동계약과 명목임금 경직성 = 551
부록 11.B. 케인즈파 모형에서 승수 계산문제 풀이 연습 = 555
부록 11.C. 케인즈파 모형에서 승수 계산 연습 = 557
Part 4 거시경제 정책 : 제도와 환경 = 559
Chapter 12 실업과 인플레이션 = 561
12.1 실업과 인플레이션 : 상충관계인가? = 562
기대가 적용된 필립스곡선 = 564
필립스곡선의 이동 = 568
거시경제 및 연구와의 접속|루커스 비판 = 573
장기 필립스곡선 = 574
12.2 실업 = 576
실업비용 = 576
실업률의 장기추세 = 577
12.3 인플레이션의 문제 = 581
인플레이션 비용 = 581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물가연동계약 = 585
인플레이션 인하 : 기대 인플레이션의 역할 = 586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희생률 = 589
1980년대와 1990년대 미국의 디스인플레이션 = 591
Chapter 13 개방경제하에서의 환율과 경기변동 및 거시경제 정책 = 599
13.1 환율 = 600
명목환율 = 600
실질환율 = 602
절상과 절하 = 603
구매력평가설 = 604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빅맥지수 = 605
실질환율과 순수출 = 606
응용|달러 가치와 미국의 순수출 = 609
13.2 환율의 결정 : 수요-공급 분석 = 611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환율 = 612
환율의 거시경제적 결정요인과 순수출 = 614
13.3 개방경제에서의 IS-LM 모형 = 616
개방경제에서의 IS 곡선 = 617
개방경제에서 IS 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소 = 620
경기변동의 국제 전파 = 622
13.4 개방경제에서의 변동환율제도와 거시경제 정책 = 623
확장 재정정책 = 624
통화건축 = 626
13.5 고정환율 = 629
환율의 고정 = 629
통화정책과 고정환율제도 = 633
고정환율과 변동환율 = 636
통화연맹 = 636
응용|유럽 통화연맹 = 637
응용|아르헨티나의 위기 = 640
부록 13.A. 개방경제 IS-LM 모형에서의 계산문제 풀이 연습 = 650
부록 13.B. 개방경제 IS-LM 모형에 대한 수학적 설명 = 654
Chapter 14 통화정책과 연방준비제도 = 657
14.1 통화공급의 결정 원리 = 658
공개시장조작 = 660
통화승수 = 663
예금인출사태 = 666
응용|금융위기 기간 동안의 통화승수 = 667
14.2 미국의 통화공급 조절 = 671
연방준비제도 = 671
연방준비제도의 대차대조표와 공개시장조사 = 673
기타 통화공급조절 방법 = 675
지급준비금의 이자율 = 678
연방자금이자율 목표 = 679
통화정책의 수립 = 683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통화정책의 신용경로 = 687
응용|2008년의 금융위기 = 688
응용|제로금리한계 = 689
14.3 통화정책의 수행 : 준칙과 재량 = 693
통화주의자의 준칙 우호 주장 = 394
준칙과 중앙은행 신뢰성 = 696
테일러 준칙 = 698
중앙은행 신뢰성 확보를 위한 그 밖의 방안 = 701
응용|물가안정목표제 = 703
Chapter 15 정부지출과 재정 = 711
15.1 정부예산 : 요소와 특징 = 711
정부지출 = 711
조세 = 714
적자와 흑자 = 717
15.2 정부지출, 세금 그리고 거시경제 = 720
재정정책과 총수요 = 720
정부자본 형성 = 723
재정정책의 유인효과 = 723
응용|1980년대 노동공급과 세제개혁 = 726
15.3 정부 적자와 부채 = 728
정부부채의 증가 = 728
응용|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회보장제도 : 어떻게 고칠 수 있는가? = 731
미래 세대의 정부부채 부담 = 734
재정수지적자와 정부저축 : 리카도 등가 정리의 재해석 = 735
리카도 등가 정리의 현실 = 738
최신자료 및 연구와의 접속|2009년 경기부양책 = 740
15.4 재정적자와 인플레이션 = 740
재정적자와 통화공급 = 741
실질통화주조이차의 선택과 인플레이션 = 743
부록 15.A. GDP 대비 부채 비율 = 754
부록|기초수학 = 755
용어해설 = 764
찾아보기 = 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