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07334 | |
005 | 20220721100721 | |
007 | ta | |
008 | 120530s2012 ulka 001c kor | |
020 | ▼a 9788989420781 ▼g 03010 | |
035 | ▼a (KERIS)BIB000012774610 | |
040 | ▼a 211020 ▼c 211020 ▼d 211020 ▼d 211009 | |
082 | 0 4 | ▼a 070.5023 ▼2 22 |
085 | ▼a 070.5023 ▼2 DDCK | |
090 | ▼a 070.5023 ▼b 2012 | |
245 | 0 0 | ▼a 편집자로 산다는 것 / ▼d 김학원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c 2012 | |
300 | ▼a 280 p. : ▼b 삽화 ; ▼c 22 cm | |
500 | ▼a 출판의 비전을 찾는 6인 6색 편집 강의 | |
500 | ▼a 공저자: 정은숙, 강주헌, 이홍, 변정수, 정민영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학원, ▼d 1962-, ▼e 저 |
700 | 1 | ▼a 정은숙, ▼e 저 |
700 | 1 | ▼a 강주헌, ▼g 姜周憲, ▼d 1957-, ▼e 저 ▼0 AUTH(211009)5699 |
700 | 1 | ▼a 이홍, ▼e 저 |
700 | 1 | ▼a 변정수, ▼e 저 |
700 | 1 | ▼a 정민영,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116673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212201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51308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116673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2122019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5023 2012 | Accession No. 1513086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출판계 대표 편집자가 말하는 6인6색 편집론. 한국 출판계에서 주목받는 행보를 보인 6인의 편집자가 각자의 영역에서 구축한 편집론을 이야기하고, 출판의 비전을 모색하는 강좌를 정리한 책이다. 저자인 김학원, 정은숙, 강주헌, 이홍, 변정수, 정민영은 출판의 최전선에서 겪은 경험과 노하우를 엮어 출판 관련 저서를 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책은 “책이 무엇이며, 책이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으며, 그 속에서 편집자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여섯 개의 프리즘을 통해 바라볼 기회를 주며, 동시에 ‘편집자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스스로 길을 열어갈 질문을 던진다.
출판계 대표 편집자가 말하는 6인6색 편집론.
한국 출판계에서 주목받는 행보를 보인 6인의 편집자가 각자의 영역에서 구축한 편집론을 이야기하고, 출판의 비전을 모색하는 강좌를 정리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김학원(휴머니스트 대표, 『편집자란 무엇인가』 저자), 정은숙(마음산책 대표, 『편집자 분투기』 저자), 강주헌(번역가, 펍헙에이전시 대표, 『기획에는 국경도 없다』 저자), 이홍(리더스북 대표, 『만만한 출판기획』 저자), 변정수(출판컨설턴트, 『편집에 정답은 없다』 저자), 정민영(아트북스 대표, 『정민영의 미술책 기획노트』 저자)은 출판의 최전선에서 겪은 경험과 노하우를 엮어 출판 관련 저서를 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책은 “책이 무엇이며, 책이 어떻게 변화해가고 있으며, 그 속에서 편집자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여섯 개의 프리즘을 통해 바라볼 기회를 주며, 동시에 ‘편집자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스스로 길을 열어갈 질문을 던진다.
책을 둘러싼 환경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김학원 휴머니스트 대표는 앞으로의 3~5년 안에 지난 20년의 변화보다 더 큰 변화가 출판계에 올 것이라는 인식에는 동감하지만, 종이책이냐 전자책이냐 하는 이분법에 대해서는 경계한다. 그보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지식의 생산자와 수신자의 역할이 뒤바뀌고, 경계가 허물어지는 미디어 혁명이 가져올 출판 생태계의 변화를 포착하고, 편집자가 어떤 관점과 태도를 가져야 하는지 구체적 사례로 설명한다. 그밖에도 앞으로 다가올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편집자의 전문성과 네트워크 조직 능력, 리더십과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자신이 경험한 역사출판에서의 노하우를 전달한다.
편집자는 전문인인가, 만능인인가?
정은숙 마음산책 대표는 편집자로서 직업적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다. 동료, 저자, 번역자, 디자이너 등 책 한 권에 얽힌 여러 사람과 소통하면서 늘 공부하는 자세로 살아야 하는 편집자는 전문인을 넘어 만능인에 가깝다고 말한다. 따라서 현실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다른 차원으로 승화시키지 못하거나, 자신과 맞지 않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 최대한 빨리 스스로 묻고 답하는 과정을 거치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한 권 한 권의 책을 기획·편집하면서 겪은 에피소드를 통해 장기적 안목으로 저자와 나아가는 방법도 전한다.
좋은 책이란 무엇인가?
번역가이자 펍헙에이전시 대표인 강주헌은 번역서를 기획하는 요령을 일목요연하게 알려준다. 그러나 그에 앞서 “좋은 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는 책에 대한 엄숙주의에서 벗어나, ‘책’ ‘번역서’ ‘좋은 책’ ‘문화상품’에 대해 자유로운 시각을 가져야 기획의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나는 책을 잘 아는가?
이홍 리더스북 대표는 ‘기획의 출발’부터 ‘지속가능한 기획’까지 기획편집자라면 알아야 할 기본기와 편집자 각자의 능력이 발휘할 수 있는 조직의 문제들을 다루었다. 그는 “출판기획은 상상의 영역이 아니라 가장 치열한 현실의 영역”임을 강조하지만, 상상력 있는 조직과 에디터가 없이는 좋은 기획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
편집자는 출판사에 다니는 사람이다?
변정수 출판컨설턴트는 출판 노동 환경이 변화하면서 비롯된 현실적 문제들을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한다. 그는 임프린트, 외부 기획위원 등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나듯 전통적인 분업구조가 해체되고, 편집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독립된 ‘사업단위’로서 기능하는 현실에서 편집자를 출판사에 다니는 사람으로 인식해서는 직업적 전망을 가질 수 없다고 지적하며, 편집자는 이제 ‘삶의 방식’이 되었다고 말한다.
책의 구조는 독자와의 심리전의 결실이다?
정민영 아트북스 대표는 한국 미술출판의 흐름을 바꾼 책들을 중심으로 미술책의 대중화 지점을 살피고, 도판 문제 등 미술책 기획·편집의 노하우를 전한다. 미술의 대중화를 위해 전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중간필자를 육성해야 한다는 화두를 던지며, 책의 구조와 실제 소통 과정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현재 책의 구조를 독자와의 오랜 심리전의 결과로 보는 시각이 새롭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주헌(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브장송 대학에서 수학한 후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건국대학교 등에서 언어학을 강의했으며, 뛰어난 영어와 불어 번역으로 2003년 ‘올해의 출판인 특별상’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 《습관의 힘》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행복을 풀다》 《총 균 쇠》 《12가지 인생의 법칙》 등 100여 권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 《원서, 읽(힌)다》 《기획에는 국경도 없다》 《강주헌의 영어번역 테크닉》 등이 있다.
변정수(지은이)
세상물정 모르던 20대에 한국어 연구자가 되겠다는 야무진 꿈을 꾸기도 했으나, ‘프리랜서를 빙자한 백수’로 불안정한 생계를 버티던 30대엔 잡글을 기고할 지면을 기웃거리는 간간이 출판편집자로도 일했다. 출판 편집을 가르치는 선생 노릇으로 제법 충만하고 떳떳한 삶을 꾸려내던 40대도 어느새 뒤로 하고, '페이스북 잉여'로 소일하는 한편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과 수학 문제 풀기에 탐닉하는 50대를 즐기고 있다. 지은 책으로 비평집 《출판생태계 살리기》, 《그들만의 상식》, 《만장일치는 무효다》, 《상식으로 상식에 도전하기》, 에세이집 《나는 남자의 몸에 갇힌 레즈비언》, 편집(자)론 《편집에 정답은 없다》, 옮긴 책으로 《일본 미디어와 정보 카르텔》, 엮은 책으로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출판편집자가 말하는 편집자》가 있다. 홈페이지 ddonggae.pe.kr
정은숙(지은이)
1992년 『작가세계』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비밀을 사랑한 이유』 『나만의 것』이 있고, 인터뷰집으로 스무 문인과 이야기를 나눈 『스무 해의 폴짝』이 있다. 책 만들며 사는 삶에서 정리한 인문서 『편집자 분투기』 『책 사용법』 도 있다.
이홍(지은이)
웅진 임프린트 리더스북 대표. 대학출판부에서 출판과 인연을 맺었고, 출판 입문 3년 만에‘출판기획사’를 차려 겁 없는 꿈을 꾸어보기도 했다. 출판편집학원에서 전임강사로 세월을 보내다 출판사에 복귀했으나 감각을 잃어버리고 오래도록 방황했다. 인문서부터 비소설, 판타지와 무협지까지 먹고살기 위해 온갖 출판사와 장르를 전전하다 더난출판에 들어가면서 경제경영서와 조우했다. 하지만 엉뚱하게 북로드라는 인문 브랜드를 만들기도 했다. 2005년 웅진의 단행본 임프린트인 리더스북을 시작해 지금에 이르렀다. 한겨레교육문화센터, SBI, 숭실대학교 등에서 책과 관련된 강의를 하고 있다.
김학원(지은이)
잡지 기자와 편집장을 거쳐 1992년 본격적으로 출판계에 입문했다. 인문사회과학출판사 새길 편집주간으로 ‘비판총서’와 ‘지혜가 드는 창’ 시리즈를 통해 《철학과 굴뚝 청소부》, 《상식 밖의 세계사》, 《미학 오디세이》 등 100여 종의 인문교양서를 선보였으며, 이후 도서출판 푸른숲 편집주간과 푸른역사 편집주간 및 대표로 있으면서 시, 소설, 인문, 역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220여 종의 책을 펴냈다. 2001년 5월 ‘가치 있는 삶의 동반자’를 모토로 휴머니스트를 창립, 20년 동안 《대담》,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나의 첫 역사책》,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시를 잊은 그대에게》 등 어린이에서 성인까지 독자의 생애와 함께하는 깊고 풍부한 지식·교양·학술·실용서 1,000여 종을 발간했다. 2013년 7월, 〈팟캐스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시작으로 〈연남책빵〉, 〈논어백독〉등 팟캐스트 방송을 진행하며, 저자와 독자가 만나는 새로운 독서 체험의 공간을 제공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출판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겨레문화센터 출판기획과정과 한국출판인회의 서울북인 스티튜트(sbi)에서 출판기획 강의를 했다. 2007년 미국 컬럼비아대학 동아시아연구소 방문학자로 출국, ‘동아시아, 미국, 유럽의 출판 환경과 시스템의 비교’와 ‘디지털 시대의 출판’을 연구하고 2009년 귀국해 《편집자란 무엇인가》를 펴냈다. 2013~2015년에 한국출판인회의 서울북인스티튜트 원장을 지냈으며, 2018년 ‘올해의 출판인’ 상을 받았다. 현재 (주)휴머니스트출판그룹 대표이사이자 발행인이며, 한국출판인회의 회장을 맡고 있다.
정민영(지은이)
미술책 애독자이자 미술 애호가. 네 권의 책을 냈다. 미술출판인으로서 미술 대중서의 기획 노하우를 밝힌 『정민영의 미술책 기획노트』, 독자로서 책의 몸을 사랑하는 법을 토로한 『편집자를 위한 북디자인』, 미술책 애독자로서 56권의 미술 대중서를 리뷰한 『미술책을 읽다』, 미술 애호가로서 서양 회화, 우리 옛 그림과 근현대미술, 동시대미술을 대상으로 포인트 감상법을 실천한 『원 포인트 그림감상』이 그것이다. 다섯 번째 책 『미술 글쓰기 레시피』는 『원 포인트 그림감상』의 이론편으로, 미술의 특성에 따른 글쓰기의 필요조건들을 소개하며 작품감상의 완성으로서 글쓰기를 제안한다. 함께 지은 책으로 『일그러진 우리들의 영웅?한국 현대미술 자성록』 『기전미술 2005』 『편집자로 산다는 것』 『29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문화의 지형도』 『21세기 한국인은 무슨 책을 읽었나』 등이 있다. 계명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했고, 정신세계사와 문학동네, 세계사에서 편집 일을 했다. 월간 『미술세계』 편집장과 단행본 스타일의 미술교양지 계간 『이모션』 편집인을 지냈다. 지금은 미술출판 일을 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편집력'은 누구나 갖춰야 할 미덕 / 한기호[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 = 5 01. 편집자의 모든 것 / 김학원[휴머니스트 대표] = 15 저자, 출판사, 서점, 독자 사이의 변화 양상과 새로운 과제 미디어 혁명과 출판 생태계의 변화 서점의 변화 편집자의 변화 독자와 저자의 변화 차별성과 전문성, 그리고 네크워크와 파트너십 자신의 운동장을 갖는 것 새로운 형태의 파트너십을 고민해야 일과 삶의 포트폴리오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44 독자와의 만남, 어떻게 준비할까 모든 이야기가 담겨 있는 편집일기 스테디셀러 기획에 필요한 전략 변화의 시대, 소통과 대화가 필요하다 02. 편집자의 삶과 일 / 정은숙[마음산책 대표] = 59 편집자로 산다는 것 스스로 묻고 답하는 데 길이 있다 한 권의 책은 여러 인간관계의 총합 기획 단계에는 선명성이 중요하다 편집자는 만능인인가, 전문인인가 스스로를 괴롭히지 않는 마음 공부 필자와 편집자는 '원고를 사이에 둔' 관계 필자의 세 유형 가능형 필자를 찾아서 삼세판이 필요한 이유 필자, 번역가의 가능성을 발견하라 지금 만난 필자와 영원할 수 있다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90 후회는 적게, 앞으로 나아가는 법 원고를 거절하고도 호의를 얻는 법 편집자와 디자이너의 소통법 03. 번역서 기획, 어떻게 할 것인가 / 강주헌[번역가, 펍헙에이전시 대표] = 103 '좋은 책'이란 무엇인가 외서 기획을 위한 조건 주제별 책 찾기 디지털 시대의 출판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103 외서 검토시 고려할 사항 에이전시와 출판사의 상생 책을 파괴하라 04. 출판 기획을 시작하기 위한 인사이트 10 / 이홍[리더스북 대표] = 141 인사이트 1. 자신의 업을 기록하는 것, 기획의 출발 인사이트 2. 좋은 책을 열심히 읽는 것, 기획의 바탕 인사이트 3. 책의 물성을 잘 아는 것, 기획의 본질 인사이트 4. 독자가 원하는 책을 만드는 것, 기획의 이유 인사이트 5. 유지형 기획과 파괴형 기획을 고민하는 것, 기획의 성패 인사이트 6. 소통에 능할 것, 기획의 힘 인사이트 7. 몰입하고 또 몰입하는 것, 기획의 자세 인사이트 8. 설득을 통해 결정권을 확보하는 것, 기획의 필수 요소 인사이트 9. 지식은 쌓는 게 아니라 꺼내 활용하는 것, 기획의 몸통 인사이트 10. 스스로 진보하는 에디터, 지속가능한 기획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176 '좋은 기획'의 조건 비교우위를 찾아라 30%의 가능성을 모으는 지혜 05. 출판 환경의 변화와 편집자의 삶 / 변정수[출판컨설턴트] = 183 출판편집자의 진화: '에디터'에서 '에디팅 매니저'로 한 사람 한 사람이 독립된 사업 단위 무한 노동 강요하는 정글의 법칙 직업이 아닌 삶의 방식 목마른 사람이 샘 판다 1인 출판, 거품이 꺼진 자리에는 무엇이 남았나 '우물 안 개구리'조차 아쉽다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214 편집자적 재능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가치를 생산하는 일 06. 싱싱한 미술대중서 만들기 / 정민영[아트북스 대표] = 223 내가 겪은 국내 미술출판의 동향 '한 지붕 두 가족'이 된 미술 단행본 '미대생'이라는 독자의 정체 무서운 '도판 저작권' 사용료 1957년, 그 이전과 이후 '도판 죽이기'에서 '도판 살리기'로 '미술의 대중화'라는 화두 우리 미술출판의 흐름을 만든 책들 전문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중간필자' 어떻게 발상을 전환할 것인가 에피소드는 필수다 독자의 마음을 어떻게 편집할 것인가 대중서는 예능이다 아이디어는 우리 주변에 있다 편집자가 편집자에게 묻다 = 265 저자 안에 있는 것을 이끌어내기 일반 독자가 화집을 멀리하는 이유 찾아보기 = 275